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장금 Jan 27. 2021

만족감이 아닌 포만감을 주는 음식을 먹어야 살이 빠진다

만족감은 식탐이 멈춰지지 않고 내일이면 또 먹고 싶은 중독을 부른다.



중독하면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르나?

당신이 심각하게 여기는 마약 중독, 알코올 중독, 담배 중독만 중독이 아니다.

당신이 매일 마시는 커피도 중독이고 매일 먹는 탄수화물도 중독이다. 




이 세상 모든 다이어트의 공통점은 탄수화물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살을 찌게 하는 지방 저장의 수문장인 인슐린을 불러내지 않는 것이 살 빼기의 가장 기본 원칙이다.

인슐린은 원칙적으로 탄수화물을 먹을 때 분비된다. 

살을 빼려면 무엇보다 탄수화물의 섭취 비중을 줄여야 한다.

또한 한번 먹기 시작하면 쉽사리 멈출 수 없는 탄수화물 중독에 주의해야 한다.




과자 한 봉지를 뜯으면 바닥이 보일 때까지 멈출 수 없는 것은 당신의 의지력이 부족해서가 절대 아니다.

당은 포만감 호르몬인 렙틴을 분비하지 못하므로 뇌에서 그만 먹어라는 신호를 보낼 수 없다.

그래서 당신도 모르는 새 커다란 과자 한 봉지를 다 먹게 되는 사태가 벌어지는 것이다.  


렙틴이 분비되지 않으면 포만감을 느낄 수 없으므로 아무리 많이 먹어도 뇌는 여전히 배고프다. 

당은 도파민 호르몬이 분비되어 만족감만 느끼게 해 줄 뿐,

렙틴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아 정작 배가 부르다는 포만감은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음식이 목구멍까지 차오르고 숨이 헉 차오르는 물리적 배부름이 와야 비로소 먹는 것을 멈출 수 있다.   


당(탄수화물)은 체내에 흡수되면 대뇌에 도달해 만족 중추(=도파민)를 자극한다.

렙틴 호르몬이 주는 포만감은 만족감이 아닌 약간의 불쾌감인

"그만, 이젠 질려서 못 먹겠어"라는 명령을 하게 한다.


당(탄수화물)은 분명 우리에게 정신적 만족감인 행복을 준다. 

그런데 행복감이 그리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순식간에 올랐다가 다시 하강하면서 짜증이 나기도 한다. 

엄밀히 말해 기분이 잠시 업 되었다가 다시 다운되는 것이다.

당신은 탄수화물을 먹으면서 행복했던 기억을 잊지 못한다.

오늘 오후에 빵 한 개를 먹었다면 다음날 오후에 또 빵이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 이 때문이다. 



우리 몸은 아직 원시시대 / 권용철 / 김영사


탄수화물이 주는 만족감 = 중독이다. 

우리를 현혹하는 실속은 없고 겉모습만 화려한 탄수화물(질이 낮은 탄수화물)은

대부분 에너지로 사용되지 않은 채 뱃살로 바로 전환된다. 




지방은 탄수화물과 달리 포만감이 느껴진다.

기름진 음식은 생각보다 많이 먹지 못 하는 건 렙틴 호르몬(포만감 호르몬)의 영향이다.

오늘 점심에 삼겹살을 먹었는데 저녁에 만난 친구가 또 고기를 먹자고 하면 별로 내키지 않는다.

볶음밥이나 탕수육처럼 기름진 탄수화물을 먹으면 렙틴 호르몬(포만감)이 분비되어 많이 먹지 못한다.

기름진 음식을 먹으면 오늘 먹어도 내일 또 먹고 싶은 게 아니라 한동안 쳐다보기 싫은 맘까지 든다. 

 

포만감 호르몬(렙틴)은 지방을 먹을 때 가장 빠르게 분비된다.

살을 빼고 싶다면 정신적인 만족감으로 중독을 부르는 탄수화물이 아닌

정신적 포만감이 느껴지는 지방 중심의 식사를 해야 한다.  




이전 07화 음식을 먹는 순서만 바꿔도 살이 빠진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