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는 누군가 Aug 18. 2018

송학동 고분군

고성을 한눈에 살펴보는 곳

고령과 고성은 공통점이 있다. 어디서도 잘 보이는 곳에 거대한 무덤이 있다는 것이다. 고분이라 함은 당시 지배자나 지위가 높은 사람의 무덤이지만 누가 묻혔는지 알지 못할 때 부른다. 무령왕같이 누가 묻혔는지 알면 릉이라고 부른다. 정릉, 태릉 같은 이름은 그렇게 붙여진다. 경상남도 공룡의 고장 고성의 송학동고분군은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에 걸쳐 조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대가야의 고장 고령과 소가야의 고장 고성은 모두 가야인들의 땅이었다. 고성박물관 뒤쪽으로 무학산(舞鶴山) 또는 무기산(舞妓山)이라 불리는 구릉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고성 소가야(小伽耶) 지배자 집단의 중심 고분군(中心古墳群)이다. 이곳이 산이라고 부를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이곳에 올라가면 고성 주변지역이 한눈에 들어오는 것은 사실이다. 

날이 더우니 최대한 땀이 나지 않을 정도의 에너지를 써가면서 천천히 걸어서 올라가 본다. 송학동 고분군의 실체를 밝히기 위해 실시된 1호분의 발굴조사에서는 시굴조사 시 확인된 3기의 중첩 봉토분을 A·B·C호분으로 명명하고 조사하였다고 한다. 내산리 고분군에서도 2기의 주된 돌덧널을 중심으로 소형의 돌덧널들이 돌아가며 배치되었는데 이는 소가야 또는 고자국(古自國)이라 부르던 이 지역 삼국시대 정치체의 정체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잘 보이는 곳에 고분군이 만들어져 있으니 당연히 많은 도굴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발굴조사 당시 발굴된 유물은 토기류가 대부분이고 금속류는 거의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도굴 시 훼손된 것으로 보고 있다. 가야의 국가들이 고분군을 이렇게 잘 보이는 곳에 만들어놓은 것은 국가의 세력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고분군이지만 주변 둘레로 산책길을 조성해 놓아서 주민들의 운동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시신을 지하에 매장하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린 시설을 묘라고 부르는데 중국에서는 지하에 시신을 매장하고 지상에 아무런 시설을 가하지 않은 것을 묘(墓)라고 하고, 반대로 지상에 흙을 쌓아 올려서 시설을 가한 것을 분(墳)이라고 하여 묘와 분을 엄격히 구분하였다. 고대국가(古代國家) 형성 이후(역사시대)에 속하는 무덤만을 고분이란 이름으로 다루게 된다. 

올라와보니 멀리 고성군청과 고성 공설운동장, 고성군 종합운동장과 남산 공원까지 바라볼 수 있다.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면서 그 상황을 모두 파악하고 자신의 이익에 따라 이용하는 것을 농단이라고 하는데 필자는 농단할 생각으로 이곳을 올라오지는 않았다. 

오래전부터 생명이 그 힘을 다하면 혼이 빠져나가고 부패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위생상 문제가 되는데 무덤은 인간의 시신을 부패로부터 위생적으로 처리하려고 한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이런 고분은 그러던 와중에  지식이 축적되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무덤은 기념 물화(記念物化) 하여 시설이 확대되고 견고하게 만들게 된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정원을 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