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이 낙항하여 자리를 잡았다는 서천군의 비인면
이순신 시리즈의 마지막이기도 한 노량에서 이순신을 상대하는 왜군의 장수로 백윤식이 열연했던 시마즈 요시히로가 등장한다. 그는 에도 시대 사쓰마번 초대 번주 시마드 이에히사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사쓰마번은 일본이 봉건시대를 벗어나 근대일본으로 나아가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즉 메이지 유신을 주도하였으며 일본 제국 해군의 주축을 이루게 된다. 그 사쓰마번의 중급 무사였던 야스다 요시카타(安田義方)가 탄 배가 표류하다가 도착한 곳이 바로 지금 비인(현 서천군)이었다.
지금은 거의 흔적도 없이 사라졌지만 마을 안쪽으로 들어가서 살펴보면 비인읍성의 흔적이 남아 있다. 비인면은 크지 않은 곳이지만 역사 속에서 여러 번 등장을 한다. 1419년에 왜구의 습격을 받은 곳이 바로 비인이라는 지역으로 이 때문에 조선은 대마도(쓰시마) 정벌을 하게 된다.
서천군 비인면이라는 지역은 백제때 비상현(比象縣), 신라시대 비인, 고려시대 가림현(嘉林縣: 지금의 林川)이었다가 조선시대에 현감을 둔적도 있었다. 1419년(세종 1) 5월 50여 척의 왜선이 비인현 도두음곶(都豆音串)을 침공하여 비인성을 포위하였는데, 조정에서 대규모의 병력을 출동하여 왜구를 격퇴시키기도 했다.
전형적인 농촌마을의 전경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 서천 비인이다. 조선과 일본은 우호적인 관계를 200년 넘게 지속하고 있었기에 조선관리들은 도착한 일본인들을 잡아가두지는 않았었다. 야스다 요시카타(安田義方)가 이곳에 온 것은 1819년으로 이때의 충청도는 공청도(公淸道)라고 불렸으며 서천군은 비인(庇仁)이라고 불렀었다.
낯선 땅에 온 일본인은 비인에서 지냈던 이야기들을 기록으로 남기게 된다. 일본으로 돌아가기까지 6개월 동안 조선에서 있었던 일과 대화(필담)를 기록한 ‘조선표류일기’를 쓴 것이다.
비인에도 8 경이 있는데 이 지역 사람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는 월명산이 있다. 이곳에서 보는 해돋이가 서해에서 보이는 장관이라고 한다. 비인향교와 비인 5층석탑도 이곳에서 볼 수 있는 볼거리다.
야스타 요시카타가 이곳에 왔을 때 비인현감은 윤영규였다고 한다. 교분을 쌓았던 조선인들은 이들의 귀환에 앞서 명주와 베, 지필묵, 청심환 등 선물과 식량을 여러 차례 보내주기도 했다고 한다.
비인이라는 지역에도 전통시장이 있는데 지금은 5일장으로만 열리고 있다. 주변에는 여러 상점이 있는데 매일 오픈하고 있지는 않는 듯하다.
비인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위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이곳에서 근무했던 사람들의 비가 세워져 있다. 이 비석 군을 지나서 위쪽으로 올라가면 비인향교가 나온다.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된 비인향교의 건축형태는 강학 공간인 명륜당이 앞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뒤쪽에 있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이다.
서천군이라는 지역은 1419년 왜구의 습격이 있었으며 1816년에는 영국 배가 정박하여 성경을 전래하여 성경전래지도 남아 있다. 그로부터 3년 후에 일본인은 이곳에 와서 조선의 모습을 담은 기록을 남겼다. 그로부터 50여 년 뒤에 사쓰마번 주도로 일본은 획기적인 변화를 만든 메이지유신이 일어나게 된다. 명문이 낙향하여 자리를 잡은 비인면의 여러 성씨가 자리를 잡았는데 대표적으로 밀양박씨(密陽朴氏), 평산신씨(平山申氏), 강릉유씨(江陵劉氏)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