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 사랑과 1%의 영감이 만들어낸 천재 존 내쉬의 삶
마인드 컨트롤을 해야 한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사람의 감정이라는 것이 순식간에 생겨나던가 순식간에 사라지지는 않는다. 사람의 신체를 유지하는 자율신경을 제외하고 상당수의 결정이나 행동은 뇌에서 비롯이 된다. 정상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것은 어떤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을까. 정신적인 질환으로 발생이 되는 조현병(schizophrenia)은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음성 증상 등 여러 부적응적 증상들이 나타나는 정신질환이다.
과거 오랜 시간 정신분열로 불리었던 조현병은 현(현악기의 줄)을 조율한다는 뜻의 ‘조현(調絃)’에서 착안한 것이다. 균열을 뜻하는 그리스어 ‘schizo’와 마음을 뜻하는 그리스어 ‘phren’이 결합되어, 마음에 균열이 일어난 상태를 일컬어 영단어 schizophrenia가 만들어졌다. 사람의 마음을 제대로 조율할 수 없다는 것은 사회에서 살아가는데 제약이 많이 발생한다는 의미다. 우리는 정신적인 질환에 대해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을까.
최고의 엘리트들이 모이는 프린스턴 대학원. 시험도 보지 않고 장학생으로 입학한 웨스트 버지니아 출신의 한 천재에 대한 이야기를 그린 것이 뷰티플 마인드라는 영화다. 1949년 27쪽짜리 논문을 발표한 스무 살 청년 존 내시는 하루아침에 학계의 스타로, 제2의 아인슈타인으로 떠오르게 된다. 남자와 여자의 발병 빈도가 비슷하며 대부분 10대 후반에서 30대 중반 사이에 처음 발병하는 조현병을 앓은 것이 바로 영화 속 주인공인 존 내쉬라는 수학자다. 22살에는 지금까지도 널리 응용 및 연구되고 있는 ‘내쉬 균형’을 창안해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해당 이론이 훗날 그에게 노벨 경제학상을 안겨주게 된다.
존 내쉬는 평생을 조현병으로 인해 사회와 격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 그를 옆에서 지켜주었던 것은 사랑하는 여성 알리샤였다. 그를 당황케 한 것은 몇 만개의 암호가 아닌 사랑이란 인생의 난제였으며 그 난제를 준 알리샤는 그를 옆에서 지켜주었다. 그의 정신은 계속 흔들렸고 수십 년간 정신병원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였다. 지금도 그렇지만 과거에도 정신과 관련된 질환에는 사회적 편견이 있었다. 조현병 환자에게 상을 수여하면, 해당 상의 가치와 평판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 내쉬가 노벨 경제학상 및 아벨상을 수상하는 과정에서 반대가 많았다고 한다.
정신과 관련된 질환은 약물치료, 행동 치료, 인지행동 치료등이 병행이 된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인위적으로 질환을 치료한다는 것은 부작용도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 존 내쉬가 사랑했으며 그의 모습을 뷰티플 마인드로 보았던 그녀와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존 내쉬의 균형 이론은 모든 참가자들이 각자의 전략을 변경하지 않는 한에서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할 때 나타나는 상태를 의미한다. 30여 년간 내시의 삶을 지배한 조현병은 뇌가 성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경 발달 장애의 일종으로 환청·망상 증상뿐만 아니라 희로애락 등의 감정 반응이 둔화해 무감각해지고 사람들과 정상적으로 상호작용하지 못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