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반도 북단의 가장 큰 항구 서산 삼길포항
소득이 정체되고 물가가 오른다는 의미는 개개인의 구매력이 계속 떨어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자연스럽게 소상공인들의 매출은 떨어질 수밖에 없고 전통적인 방식의 영업은 힘들어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밖을 나가보면 알겠지만 물가가 오르지 않은 곳이 없다. 오직 중국의 대형 유통기업들만 물가를 거슬러 올라가는 느낌이다. 그 어느 때보다 현명한 소비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사용할 수 있는 돈과 미래를 준비하는 돈이 있다.
바다와 면해 있는 면적이 넓은 충청남도의 가장 큰 자원은 바다에서 나오는 자원이기도 하다. 충청남도는 친환경 수산양식과 고부가가치의 수산물 양식 등 미래 양식산업을 선도해 나가기 새로운 기술 지원 등을 위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필자는 자주 지역에 있는 수산물시장등을 방문해 본다. 시장을 가면 상인들의 얼굴에서 변화를 볼 수가 있다. 축제를 할 때면 사람들도 얼굴이 밝지만 1년 365일 축제만을 하면서 살아갈 수는 없다.
수산물의 특징은 빨리 상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곳에서 이루어지는 수산물거래의 특징은 어획물의 부패성이 대단히 강하여 거래상 시간적인 제한을 받고, 당해 수요량만의 거래를 원칙으로 하게 된다.
대도시에서 사는 사람들은 유통하는 사람들의 선물거래(先物去來)나 규격거래등으로 소비되는 것들도 적지가 않지만 수산물의 경우 어획량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선물거래(先物去來)나 규격거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격도 그날그날 달라진다.
수산물시장에서 일하지는 않지만 유통되고 판매되는 것들을 자주 본다. 삼길포항과 같은 곳은 소매시장으로 소매시장은 수산물이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최종유통단계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3월이면 아직 겨울에 먹을 수 있는 먹거리가 많은 때다. 새조개도 아직도 많이 나오고 있고 주꾸미는 알이 충분히 찼으며 봄에 먹으면 더 맛있다는 도다리도 이곳저곳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가 있다.
조개는 인간들이 가장 오래전부터 먹던 식재료다. 선사시대 역사의 흔적을 보면 조개무지가 있는 것을 많이 본다. 시의 전서나 규곤시의방등의 문헌에는 기록이 되어 있는데 재첩·대합조개·모시조개 등을 껍질째로 깨끗이 씻어서 물을 붓고 끓이다가 맛이 우러났을 때 채 썬 파를 넣는다. 어떤 조개든지 간에 많이 끓이면 질겨진다.
키조개의 관자를 회로 먹어도 좋고 모시조개를 넣은 찜과 된장국, 미나리 조개무침, 바지락칼국수, 동죽조개탕등 해산물이 들어간 음식을 말하다 보니 갑자기 배가 고파진다.
이제 굴은 거의 끝물이다. 해산물은 냉동이나 말리지 않는 이상 잘 상해서 확실히 제철의 호불호가 갈리는 것이 특징이다.
각종 해산물등에 대해 몸에 좋은 것 등을 말하는데 사실 맛이 좋은 음식을 먹는 것이다. 봄 도다리에 쑥을 넣은 쑥국을 좋아하는 것은 도다리의 보슬보슬한 살과 쑥의 향긋한 내음이 잘 어우러지기에 좋아하는 것이다.
유통의 시간도 짧아졌고 회의 선도를 유지하는 방법도 많이 개선되어 회가 정말 많이 대중화되었다. 회의 선도를 유지하기 힘들 때 살이 퍽퍽해져서 맛이 없어지는 것을 어떻게든 칼질을 통해 유지하려고 했었는데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다.
최근 낚시 때문에 어족자원 고갈이 우려되는 대표 자원으로 남해 갈치, 동해 문어, 서해 주꾸미가 꼽힌다고 한다. 한정적인 어자원을 오랜 시간 잘 보존하기 위해서는 개인별로 자율적 규제도 필요해 보인다.
주꾸미는 타우린과 DHA 등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콜레스테롤이 높고 지방이 많은 돼지고기와 함께 먹을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세상에 균형을 이룰 때는 아주 잠깐뿐이다. 자연 역시 그렇다. 밤과 낮의 길이가 정확하게 같을 때가 바로 춘분이다. 태양의 황경이 0도에 이른다. 지천에 돋아나는 봄나물을 뜯으려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튀르키예 같은 나라에서는 이날부터가 새해다. 봄에 생겨나는 봄나물과 서산 삼길포항에서 나오는 해산물이 어우러진 음식이 생각이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