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비용 사회에서 한국인은 무엇으로 사는가.
연애, 결혼, 출산에 들어가는 비용이 서울 및 수도권을 기준으로 본다면 평범한 집안과 직장인의 기준으로 본다면 감당하기 힘들 만큼 상당한 비용이 수반된다. 특히 남자들에게는 감당할 수가 없기에 아예 시도를 할 수 없게 만들어버렸다. 이런 현상은 아이를 한 명 낳으면 출산휴가와 더불어 돈을 얼마 지원해 주는 것으로는 해결할 수가 없다. 지금 MZ세대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집에서 귀하게 대접을 받으면서 자라났다. 여성들은 김치는 고사하고 요리라던가 집안일은 거의 경험해보지 못하고 사회에 나오게 된다.
남성과 여성 모두 가용한 범위에서 많은 교육을 받고 자라면서 직장생활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 20대에서 30대 초반의 결혼율이 낮아지는 이유는 여성들이 사회로 진출하기 이유도 있다. 대학까지 교육을 잘 받은 여성들에게 그들의 부모들이 사회생활보다 결혼을 권하는 경우는 많지가 않다. 가장 좋은 시기에 자신의 커리어를 쌓고 직장생활을 하기 때문에 남성들이 원하는 결혼 연령대에는 결혼시장에 나오지 않게 된다.
남성과 여성이 돈을 벌기 시작하고 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는 각자 다르지만 욜로 열품이 불었던 것처럼 조금만 모으면 해외여행을 가고 과소비라고 할 만큼 자신이 하고 싶은 분야에 쓰면서 젊음을 같이 소비한다. 이전세대와 달리 이것이 하나의 사회현상처럼 되어버렸다. 결혼과 함께 자산을 축적해 나가며 원하는 소비를 못하는 결핍되어 보이는 삶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남성이 원하는 생애주기와 여성이 원하는 생애주기가 매칭이 되지 않은 것이 요즘의 MZ세대의 삶이다. 남성 역시 과거 아버지가 보여주었던 가장에 대한 무게는 짊어질 생각은 하고 있지 않다. 가정에서 권위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아내의 서포트를 받는 것을 원하지도 않는 대신에 과거처럼 결혼등을 통해 짊어져야 하는 비용도 동등하게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성 역시 교육 수준이 올라가기도 했지만 어머니가 말했던 가부장적인 가정에서 살지 말라는 조언(?)을 들으면서 성장하게 된다. 문제는 남성에게 원하는 기준은 많이 바뀌지 않았다는 점이다.
분명히 삶을 바라보고 가정을 이루는 것에 대한 관점이 바뀌었는데도 불구하고 과도기에서 묘한 뒤틀림이 일어나고 있다. 자신만의 삶을 영위하던 여성이 30대 중반쯤 되어 결혼을 하려고 마음을 먹더라도 그녀들이 원하는 수준의 남성들은 아예 시장에 나오지 않던지 그녀들을 원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게다가 그 너들이 원하는 삶을 만족시켜 줄 정도의 경제적인 여력을 가진 남성들은 결혼을 했던지 아니면 시장에서 소수가 되어버린 것이다.
한국은 다른 선진국과 달리 누구나 상향 수준의 경제여건이 있는 사람의 결혼이나 교육을 따라 하려는 이상한 마인드가 있다. 이미 일본은 여성들도 일찍이 젊었을 때부터 아끼고 아껴서 자격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이전 세대들과 달리 삶을 바라보는 관점이 바뀌었지만 마치 전 세대의 가치관과 이후세대의 가치관이 오버랩되면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한 것이 아니라 돈과 과소비로 자신을 증명하려는 문화만이 자리를 잡았다.
남성과 여성 모두 40대까지는 그럴듯하게 삶을 영위할 수 있을지 몰라도 50대부터는 그들이 걸어온 삶의 발자취에 따라 확연하게 삶의 수준이 달라지게 된다. 돈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느냐를 보면 MZ세대는 이전과는 다르며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가진 가정의 생애주기와도 많이 다르다. 아무리 삶의 커리어를 잘 쌓아두었다고 하더라도 50대부터는 이제 조직이나 회사가 아닌 자신만의 삶을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사회로부터 얻은 커리어라는 우산이 사라진다는 의미다.
평균적인 소득 수준은 그렇게 성장하지 못했어도 각종 비용은 사람들의 욕망을 먹고 크게 늘어났다. 상가시장도 내리막을 걷고 자영업은 잘되지 않을지 몰라도 다른 사람보다 잘 사는 것처럼 보이는 결혼과 관련된 시장이나 육아, 사교육시장은 감당하기 힘든 고비용 시장이 되어버렸다. 시간이 지나면 분명히 사회적이 조정이 이루어지겠지만 그 시간이 언제 올지는 모른다. 돈의 밀도로만 살아가고 있는 가정의 생애주기는 현 한국사회를 보여주는 잣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