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도 다 알아요
너희는 몰라도 돼
집안 분위기가 무겁지만 아무도 설명을 해주지 않는다. 꼬마는 눈치를 보다가 그 말은 꺼내면 안 되는 거라고 생각했다. 나중에서야 알았다. 외할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것을. 꼬마는 어른이 되었지만 아직도 외할아버지가 언제 어떻게 돌아가셨는지 모른다.
어렴풋이 어릴 때 외할아버지를 본 것 같기도 하다. 언제부터 외할아버지의 존재가 슬며시 사라졌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엄마가 어렸을 때 외할머니가 돌아가시고 새엄마가 들어오고 엄마는 이복동생들이 생겼다. 그래서인지 외가집과 왕래가 많지 않았다. 왜 물어볼 생각도 못했을까. 외할아버지는 원래 없던 사람 같았다. 아무도 이야기 해주지 않았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그러할 것이다. 가족 중의 누군가 먼저 떠나면 그 사람의 이름은 금지어가 된다. @는 초등학교 때 사고로 동생이 세상을 떠났다. 중학교 때는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그러나 그 사건 사고에 대해서 아무도 설명해 주지 않았다. 엄마한테도 아버지에 대해서 물어 볼 수 없었다. 그냥 언급을 회피하며 서로 괜찮은 척하며 세월이 지났다. 답답한 집을 빨리 떠나고 싶었던 @는 일찍 결혼을 해서 외국서 살게 되었다.
어른들은 아이에게 죽음에 대해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몰라서 피하거나 말해도 모를 거라고 무시하기도 한다. 아이들은 말도 못 꺼내고 입을 다물어 버리고 만다. 엄마는 아이들을 위해서 살아야하니까 굳세게 버텨야 한다. 서로 그렇게 괜찮은 척 하다가 마음에 병이 든다.
가족을 먼저 떠나보낸 상실이 제대로 된 애도를 통해서 치유되지 않고 트라우마로 남게 된다. 어릴 때 아버지를 잃은 한 여자는 아버지에 대한 원망이 커서 자기는 결혼도 하지 않겠다고 한다.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만들면 언젠가는 자기가 떠날 때 상대방에게 그런 아픈 상처를 남길 까봐 두려워서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아이들은 생각이 깊다. 나름대로의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아이 눈 높이에 맞는 죽음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어른도 아이도 솔직하게 감정을 이야기하고 충분히 슬퍼할 수 있어야한다. 울고 싶은 만큼 울게 해주자. 슬픔을 씻어 낼 수 있게. 서로를 안아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