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혜경 Jan 26. 2022

갱생과 폭력의 경계에서 제시한 질문

[영화 <시계태엽 오렌지> 후기 /스탠리 큐브릭 영화 추천/결말 해석]




시계태엽 오렌지 (A Clockwork Orange, 1971)

"갱생과 폭력의 경계에서 제시한 질문"


감독 : 스탠리 큐브릭

출연 : 말콤 맥도웰, 패트릭 마지, 마이클 베이츠, 워렌 클라크



시계태엽 오렌지 시놉시스


노숙자 폭행, 집단 싸움, 차량 절도, 주택 침입… 10대 소년 ‘알렉스’는 친구들과 어울려 극악한 비행을 저지르고 다닌다. 여느 때와 다름없이 한 저택에 침입해 주인과 싸우고 달아나려던 순간 경찰에 검거된다. 살인죄가 적용되어 14년 형을 살게 된 ‘알렉스’. 좀 더 빨리 감옥을 탈출하고자 ‘루도비코 갱생 프로그램’에 자원한다.



스탠리 큐브릭. 나는 이 이름을 들으면 정신이 아득히 멀어지는 느낌을 받는다. 어질어질하다. 스릴러의 세계에 눈을 뜨게 해 준 영화 <샤이닝>을 처음 봤을 때의 충격은 10여 년이 훨씬 지난 지금도 여전히 생생하게 남아있다. 그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같은 시대를 뛰어넘은 SF 명작과 여러 장르의 작품을 남긴 감독이기도 하지만, 이상하게도 나에게 ‘스탠리 큐브릭’은 충격적인 영화를 만든 감독으로 기억되고 있다. <샤이닝>을 접했을 때의 충격이 너무 강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몇 달을 볼까 말까 고민했던 이 영화, <시계태엽 오렌지>를 보고 이 느낌은 더욱 확고해졌다. 그는 여러모로 파격적인 역사를 남긴 인물이자 나에게 충격을 선사한 영화인이다.



<시계태엽 오렌지>는 모든 사람들이 깨면 안 된다고 말하는 벽을 인정사정없이 걷어차다 못해 산산조각 내버리는 영화 같았다. 1971년 당시 이 영화가 제작되었다는 것 자체가 놀라울 만큼. 영화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확실하나, 그에 닿기까지의 과정이 심히 자극적이고 폭력적이라 나름 무던하다고 자신했던 나도 보고 있기 조금 힘든 수준이었다. 우선 절대, 가족과 함께 볼 영화는 아니고... 누구랑... 아니, 그냥.. 혼자 봐야 할 것 같다.



범죄 본능을 가진 주인공


영화의 주인공은 10대 소년 알렉스다. 그는 밤이 되면 친구들과 가벼운 비행을 넘어선 온갖 범죄를 저지르고 다닌다. 보통 이렇게 탈선을 한 주인공이 나오면 그가 이렇게 행동하는 간단한 이유라도 있기 마련인데, 알렉스에게 명확한 이유는 없다. 그에게 범죄란 본능이다. 폭행하고 갈취하고 추행하는 모든 파렴치한 행동이 그저 즐겁게 느껴질 뿐이다. 마치 이런 행동들을 하기 위해 태어났다는 듯 알렉스는 거침없이 일을 저지르다 청소년이라는 든든한 울타리로도 막을 수 없는 범죄를 저지르게 된다.


공범인 친구들에게 배신당하고 모든 죄를 뒤집어쓴 알렉스는 태어나 처음으로 감옥에 수감된다. 하지만 ‘갱생’이라는 타이틀을 위해 범죄자들을 관리하는 커다란 조직 안에서도 알렉스는 반성의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머리에 악마라도 들은 거냐?”는 질문에 나도 함께 고개를 끄덕이게 될 만큼, 그는 악의 기질을 타고난 골칫덩이로 보인다.


그렇게 감옥에서의 지겨운 시간이 지나고 알렉스에게 조기 석방의 기회가 생기는데, 그 시점부터 알렉스가 말하는 ‘비극’과 새로운 폭력이 시작된다.


* 아래 내용부턴 영화의 스포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강력한 시각적 자극


<시계태엽 오렌지>라는 영화를 가장 짧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문장은 이것밖에 없다.

“미쳤다.” “처음부터 끝까지 빈틈없이 다른 각도로 미쳤다.”


악과 정반대에 있는 순수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흰색 옷을 쫙 빼입은 악마 같은 주인공, 둔탁한 무기들, 지독한 주인공의 눈빛과 시선을 옭아매는 기다란 속눈썹. 그리고 주인공을 둘러싼 생기 대신 음기가 가득한 배경까지. “이거 이렇게 만들어도 되나?” 싶은 것들이 한두 개가 아니다. 거기에 아주 적나라하게 표현되는 범죄 장면들은 보는 이의 시각을 강하게 자극하며 주인공 알렉스에 대한 혐오도와 온갖 복잡한 감정을 일으킨다. 배경이 좀 잔잔해지나 싶으면 알렉스가 날뛰고, 날뛰는 그를 보고 있자면 그 눈빛에 사정없이 갈려버리는 느낌이 든다. 여러 가지 의미로 띠용-하느라 눈이 쉴 틈이 없다.



본능을 뒤바꿀 교화에 대하여


자극적인 사건들과 함께 한숨을 푹푹 내쉬다 보면 어느샌가 이 영화가 던지는 물음에 가닿게 된다. <시계태엽 오렌지>의 초반부엔 살짝 역하게 느껴질 만큼 지독한 폭력들이 반복적으로 나온다. 알렉스의 일상은 폭력으로 가득하다는 것과 그가 이렇게 행동하는 건 우리가 밤에 잠을 자고, 아침엔 일어나는 것과 같은 루틴이자 본능임을 끊임없이 강조한다.


그리고 영화의 중반부에 닿았을 때 알렉스의 폭력적 본능을 교화시킬 새로운 충격요법 ‘루도비코 갱생 프로그램’을 보여주며 본능을 뒤바꿀 새로운 폭력을 가하기 시작한다. 갱생과 폭력의 경계선에서 타고난 본능과 강력한 충격이 부딪히며 이야기는 점점 알 수 없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시작한다.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개인이 개인에게 가하는 폭력의 강도가 점점 더 강해지고, 결국엔 국가가 개인에게 가하는 폭력까지 영역을 넓히게 되는 것이다.



타고난 본능을 바꾼다는 건 과연 가능한 일일까?


악의 본능을 타고난 자를 교화시키는 게 가능한 것인지, 모두가 내면에 아주 작은 선이라도 갖고 태어난다는 말이 진실인지. 그리고 그 선을 충격을 통해 발현시킬 수 있는지. 특수한 상황에서 그 본능을 발현시키기 위해 우리는 어디까지 선을 넘어도 되는지. <시계태엽 오렌지>는 질문을 던진다.


개인적으론 결국 변한 것은 없고 남은 건 폭력뿐이라고 생각한다. 알렉스는 그저 고통을 피하기 위해 잠시 본능을 미뤄두는 것일 뿐 스스로 선택을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러서도 본능과 반대되는 가치(선)를 적극적으로 택하진 않는다. 차라리 이 고통을 벗어나기 위해 죽음을 택하면 택했지, 진실된 내면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폭력성을 개선하기 위한 교화 프로젝트는 결국 국가폭력에 지나지 않았으며 결과물은 선인이 아닌 잘못 비틀려버린 악인 한 명뿐이다. 만일 알렉스가 교화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14년 형을 마치고 출소했다면, 그가 진정한 선인이 되었을까? 그렇지 않을 확률이 더 높지 않을까?



나는 타고난 본성은 쉽게 변하지 않으며 모두가 선을 품은 채 태어나는 건 아니라고 느끼며 살아왔다. 인류가 사라질 때까지 반대되는 두 개의 본능은 끝없이 부딪힐 거고, 그때마다 새롭게 발생하는 폭력과 피해를 100% 막아내는 건 불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는 언제까지나 이것을 다스리기 위한 방법의 종류와 적절한 경계 사이에서 끊임없이 질문하고 질책하고 다투게 될지도 모르겠다. <시계태엽 오렌지>에서 보여주는 폭력은 잘못된 방법 중 하나였을 뿐이고.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hkyung769/

블로그 : https://blog.naver.com/hkyung769

매거진의 이전글 죽음이 지나가도 사라지지 않을 소중한 순간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