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형민 Sep 09. 2023

일본인 팀원들과 한국인 팀장

Ep34.  팀장이 되어 지냈던 1년간의 짧은 스케치

"이번 분기 승진자 발표합니다. EC팀 김상(씨). EC팀리더 (팀장)로 승진"


코로나 와중에 회사를 옮긴 지 약 1년 만에 팀장이 되었다. 맨 처음 이 회사에 들어왔을 때 목표했었던 임원으로 가는 길에 성큼 가까워져가고 있음을 느꼈다. 


EC팀 자체는 4명으로 적은 인원수였지만 먼저 들어왔던 일본인 직원들을 앞서 팀장이 되었다는 것은 분명 기쁜 일이었다. 팀장이 되는데 큰 역할을 했던 것은 분기 (KPI) 목표를 팀원 중 유일하게 120% 이상으로 초과 달성했기 때문이었다.


연이어 재택근무가 이어지고 하루 종일 모니터 화면만을 바라봐야 하다 보니 정말 할 수 있는 게 '일'밖에 없었고 이전 회사에서도 성과를 만들어 봤던 경험이 있었던지라 회사에서 놓치고 있는 부분을 어느 정도 알고 있었던 것도 크게 한몫했다.


그나저나 팀장이 되고 난 이후로는 일반 사원이었을 때보다 추가로 주어지는 업무들이 (당연히) 있었다.


그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던 것은 팀원 관리


팀 전체 실적목표를 공유하고 개별 포지션을 정해서 KPI를 설정한다. 그리고 매주 성과달성 척도를 체크(주간보고)한다. 당연하지만 모든 것들이 일본어로 이루어진다.


일본에 온 지 회수가 꽤 지났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일본어가 부족한 건 사실이다. 그렇다고 어쭙잖은 일본어와 실력으로 이들과 대면했다가는 팀장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할 것 같다는 위기감에 직면했다.


그래서 업무전후나 주말에는 일본어 공부에 다시금 매진했다. 그리고 사내 또는 다른 회사와의 미팅에서 일본 사람들이 쓰는 표현 중 자주 쓰이거나(하지만 내가 잘 몰랐던) 활용하면 좋을 것 같은 표현들은 별도로 메모해 두었다가 활용했다.


그리고 내 일 외에도 이들이 하는 업무 하나하나 체크하고 혹시 놓치고 있는 게 없는지 체크하기 시작했다. (일명 마이크로 매니지먼트라고 한다.) 그렇다고 사사건건 참견해서는 오히려 역효과가 날 것이 뻔하기에 긴급을 요하는 일이 아니라면 주로 개별 주간보고 때 내용을 전달했다.


다행히도 팀원들은 특별히 문제없이 잘 따라와 주었고 팀장으로의 역할에도 금세 익숙해졌다. 팀원들이 먼저 나에게 손을 내밀어 도움을 청하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들이 쌓이며 회사에 있건 재택근무를 하건 서로 웃으면서 독려하면서 일을 해나갈 수 있었다.


만약 코로나만 없었더라면 자주 회식도 했었을 것 같다. 코로나 잠잠해지면 일 끝나고 다 같이 맥주 한잔 시원하게 하자고 서로들 이야기를 주고받기도 했다.


그렇게 ec팀을 맡게 된 지 1년이 지났을 때, 비로소 다 같이 맥주를 한잔 할 수 있는 날이 다가왔다. 그날은 아이러니하게도 나의 퇴사날이었다.


팀 미팅을 마치고 회의실 창밖으로 내려다본 주변 풍경



※일본 거주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에세이입니다. 시점은 2021~2022년이며, 일부 편협하거나 주관적인 부분이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재택근무는 지옥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