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숙제강박 Mar 28. 2023

아이의 결점을 통해 실망과 안심하는 순간

부모는 아이를 낳는 순간부터 본능적으로 자신과 닮은 점을 찾아낸다. 아니, 심지어 태어나기 전 뱃속의 아이를 찍은, 알아보기도 힘든 초음파 사진 속의 아이에게서도 기어코 닮은 점을 찾아내려 애쓴다. 아이가 어릴 때는 외모적인 면에서의 유사점을 찾지만, 아이가 조금 더 자라 말을 하기 시작하고, 타인과의 교감을 시작하게 되면서부터는 말버릇이나 고집 등 또 다른 차원의 닮은 점이 드러난다.


특히 나처럼 아이와 성별이 같은 경우에는 그 특징이 도드라진다. 단순히 남자라서,라는 말로는 설명되지 않는 특이한 공통점이 나와 아이 사이에 발견될 때마다 나는 생명의 신비, 유전의 강력함에 대해 소스라치곤 한다. 신생아 시절에는 귀 뒤에 뾰족하게 튀어나온 뼈를 찾고는 신기해하기도 했고, 아이가 조금 자라 의자에 앉을 수 있게 되면서는 발을 제대로 딛지 않고 바깥쪽 날로 디디고 있는 모습에 경악하기도 했다. 신체적 특성은 그러려니 했었지만, 습관까지 유전의 영향을 받는다는 말인가?


올해로 여섯 살이 된 아이는 유치원에서 나름의 사회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선생님들과 친구들이 모인 그 공간에서 아이는 친구에 대해 좋고 싫음이 분명해지고, 때로는 나름대로 심각하게 싸우고 화해하며, 특정 문제에 대해서 과민반응을 하고, 때로는 평소 무관심했던 선생님의 사랑을 갑자기 갈구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분명히 성격적 결함이 그 원인이라고 판단될 때가 있는데, 최악까지 상상하곤 하는 부모의 입장에선 여간 걱정되는 것이 아니다. 아내가 그런 문제로 골머리를 썩을 때, 나는 옆에서 몰래 내 성격적 결함을 아이의 그것과 결부시킨다. 5년 간 아이를 키우며 유전의 강력함을 경험해 온 나로서는 어쩔 수 없는 대처다. 원래 사주나 미신 같은 것들도 한두 번 맞아 들어가다 보면 믿음이 굳건해지지 않던가?


아이와 나의 성격적 결함을 찾으면 맨 처음 드는 느낌은 ‘실망’이다. 왜 하고 많은 성격 중 저런 것이 아이에게 넘어갔는지, 하늘의 무심함을 원망한다. 하지만 조금 더 깊이 생각해 보면 전혀 반대의 마음이 생겨난다. “잠깐만. 그럼 내가 가진 성격적 결함도 유전적인 발현일 수 있는 것이 아닌가? 그럼 내가 이 성격을 고쳐보겠다고 뛰어본들 소용없는 것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들면 마음 한편이 순식간에 편안해진다. 내 지랄 맞은 성격은 내 잘못이 아니었던 거다. 그저 유전자의 잘못이었다. 어찌 내가 감히 유전이라는 큰 물길 속에서 방향을 바꿔보겠다고 호기를 부렸단 말인가?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과감히 유전에 무릎을 꿇고 생긴 대로 사는 것뿐일진대.


인터넷에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을 검색하면 다양한 해결책이 등장한다. “나를 벗어나 한 꺼풀 밖에서 스스로를 바라보는 ‘메타인지’”, “어쩔 수 없는 것에 집중하지 않고 내가 컨트롤할 수 있는 부분에만 집중하기”, “과거의 잘못을 반추하지 않기” 등 여러 방법이 등장하지만 그 줄기는 하나다. 내 잘못이 아닌 것들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하지 않는 것.


아이의 결함을 통해 내 결함을 발견하고 그것을 내 탓이 아닌 유전자 탓으로 돌려버리기. 나는 이 방법을 통해 본의 아니게 마음속 평화를 얻는다.

앗! 혹시 내가 지금 하는 이 생각과 행동까지도 유전자의 명령일지도?

작가의 이전글 슬픈 정수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