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근처 도서관에 어린이를 위한 무료 미술 프로그램이 있길래 아들 이름으로 신청했다. 신청 후 며칠 뒤 도서관에서 초대장이 날아왔다. 그 안에는 ‘내가 가장 행복했던 때’에 대해 생각해 보고 오라는 미션지가 들어있었다. 아들이 가장 행복했을 때는 언제일까? 나도 갑자기 궁금해졌다. 아이에게 조심스레 물어보자, 잠시 고민하더니 답했다.
“엄마 아빠가 처음 바이올린 사줬을 때!”
"3년 전, 그러니까 다섯 살 적 일이생각나니?”
“며칠 전 방 정리할 때 그 바이올린 보고 기억났어요. 그때 진짜 좋았거든.”
아이가 다섯 살이던 시절. 다니던 어린이집에서 특별활동으로 바이올린을 배운다는 소리에 고개를 갸우뚱했다. 아이들이 바이올린을 망가뜨리지나 않을까 싶었는데, 선생님께서 보내주신 사진 속 아이들은 꽤 그럴듯한 자세로 바이올린을 들고 활을 켜고 있었다.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고부터 아들은 틈만 나면 바이올린을 사달라고 졸라댔다. 한동안 망설이다가 중고 용품 거래 사이트에서 작은 바이올린 한 대를 4만 원 정도 주고 사줬다. 아이는 바이올린을 받아 들고는 기쁨에 겨워 팔짝팔짝 뛰더니 이내 진지한 표정으로 활을 그어가며 끽끽 소리를 냈다. 한참을 그러더니, 자기 키와 그리 차이 나지 않는 길쭉한 케이스에 바이올린을 넣고는 그걸 메고 낑낑대며 돌아다녔다. 조금 저러다 흥미를 잃겠지 싶었으나 바이올린에 대한 사랑은 날로 더해져, 결국 아이가 여섯 살 되었을 때 집 근처에 사는 대학생에게 바이올린 레슨을 맡겼다.
이제 갓 대학에 입학한 솜털이 보송보송한 선생님은 꼬맹이와 작은 바이올린을 무척 귀여워했다. 레슨 첫해, 아이는 뼈와 피부가 여려 어깨에 바이올린을 괴는 것조차 힘들어했다. 30분 레슨 시간 동안 바이올린 연주시간은 5분 남짓 될까 하는 정도였다. 레슨비를 생각하면 이게 과연 잘하는 일일까 싶었지만, 어린이집을 다니는 것 외에 별다른 사교육을 받지 않는 아이가 선생님이 들려주시는 바이올린 선율 속에서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며 아이에게 나름 호사스러운 교육 기회를 주기로 마음먹었다. 그렇게 일 년이 지났고, 선생님은 입시생 레슨을 이유로 아이와 작별을 고했다. 그렇지 않아도 선생님의 방문이 일하는 엄마에게는 여러모로 부담됐던 터라, 아이를 학원에 보내기로 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가장 염두에 두었던 곳은 입소문이 자자하고, 선생님의 스펙이 무척이나 화려한 곳이었다. 학원생들은 외국 학생들과도 교류할 기회도 주어진다고 했다. 마침 내가 방문한 시간은 초등학생 1, 2학년 아이들의 합주 시간이었다. 선생님은 군대 관현악단을 지휘하는 것처럼 보일 정도로 카리스마가 넘쳤는데, 아이들의 조그마한 실수에도 소리를 질러학원 안에는 우레가 끊임없이 치는 것만 같았다. 아이들은 잔뜩 주눅 들어있었는데, 그중 누구도 바지에 오줌을 싸지 않는 게 신기할 정도였다. 하지만 그보다 더 신기했던 것은 근처 소파에 앉아있던 엄마들의 반응이었다. 그들은 큰 목소리로 저녁 식사 준비 등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다가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소리를 지르면, “어머, 내가 이래서 우리 선생님을 신뢰하잖아. 아이들 확 휘어잡는 것 봐!”라며 감탄했다. 가뜩이나 내성적인 아들 녀석은 선생님의 수업이 진행될수록 눈을 연달아 찡긋거리는 게 아무래도 틱이 온 것 같았다. 지켜보던 나 역시 가슴이 쿵쾅거리다 못해 호흡 곤란이 올 것 같았다. 수업이 끝난 뒤, 다그치듯 아들의 신상 정보를 캐묻는 선생님께 황급히 인사를 하고는 아들을 이끌고 자리를 벗어났다.
다음으로 찾아간 곳은 집 근처 음악 학원이었다. 방문 전 전화를 걸어 문의했더니 피아노 전문 학원이지만 바이올린 전공 선생님도 이틀간 근무한다고 했다. 학원에 들어선 순간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 꼬불꼬불한 복도를 중심으로 양쪽에 작은 방들이 쭉 늘어서 있는 게 마치 개미굴에 들어온 것 같았다. 방마다 피아노 한 대가 놓여있었는데 사람이 들어가면 과연 문이 닫힐까 싶을 정도로 비좁았다. 창문이 있을 리는 만무했다. 공간을 통해 효율을 중시하는 곳임이 느껴졌다. 원장님이 자리를 비우셨다며 부원장쯤 되는 선생님이 나를 보며 속사포같이 빠르게 설명했다.
“어머님, 이곳은 진도를 아주 시원시원하게 빼 드려요. 어머님께서 원하시는 대로요.”
진도? 시원시원하게? 내가 원하는 대로? 수학학원에 잘못 들어온 건 아닌가 싶은 생각이든 순간, 뚱땅뚱땅 피아노 건반을 두들기는 소리가 들려왔다.
마지막으로 찾아간 학원은 인터넷 검색으로도 잘 나오지 않는 조그마한 바이올린 학원이었다. 얼핏 보면 중학생처럼 보이는 앳된 남자가 문을 열고 맞아줬는데, 알고 보니 학원을 운영하는 선생님이었다. 침착하고 차분한 말투로 아이에게 바이올린 활을 그어보도록 했다. 아이의 자세를 교정해 주더니, 아이에게 몇 가지를 가르쳐 주었다. 그 외 특별한 설명도 대화도 없었고, 그저 조용히 명함만 건네주셨다. 학원을 나와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아들이 여기에 다니겠다고 했다. 아들은 현재, 일 년 넘게 이곳에서 배우고 있는데, 슬럼프 없이 스즈키 4권을 마쳐가고 있다. 아이가 바이올린 학원에 다니는 모습을 지켜보면, 대화 없이도 마음이 통하는 결이 비슷한 친구를 만나러 가는 듯하다. 선생님과 음악, 이 두 친구를 통해 입 무겁고 내성적인 아이가 마음과 정서를 풀어내며 성장하고 있음에 감사하다.
이렇듯, 다섯 살에 만난 바이올린을 여전히 사랑하는 아이에게는 자신만의 바이올린을 처음으로 선물 받은 그날이 뜻깊고 행복한 날이 맞겠구나 싶었다. 아이가 도서관 프로그램에서 만들어 온 작품 속에 ‘행복했던 날’ 글귀 옆에 ‘정말 멋져!’라는 문구가 쓰여 있었다. 바이올린이 멋있다는 건가? 아니면 바이올린을 사준 부모님이 멋지다는 건가? 내심 기대하며 아이에게 질문했다.
“뭐가 멋지다는 걸까?”
“내가 멋지다고요.”
“뭐? 바이올린이나, 엄마 아빠가 아니고?”
아이가 황당해하며 답했다.
“아니, 바이올린을 켠 건 나니까, 내가 멋진 거지!”
아... 그렇구나. 네 말이 맞네. 아이의 자존감에 박수를 보내고 싶었다. 진심으로 기뻤다.
아들이 언젠가 철이 들면 바이올린 사준 부모에게 고마운 마음이 들 날이 오겠지. 지금의 아들보다 훨씬 어릴 적부터 부모에 대한 고마움과 더불어 원망, 안쓰러움, 미안함이라는 감정을 품어버린 나는 이토록 나이가 들어서도 자존감이라는 게 제대로 세워지지 않는다. 그래서 아이가 겪는 성장의 과정, 순서가 참으로 기쁘다.
아들아, 너를 세워나가되 점차 네 주변에 있는 이들을 돌아보며 그들에게 감사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길. 또한 건강한 모습으로 그들과 공존하길.잠든 네 이마를 쓰다듬으며네가 한 말을 나도 따라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