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주현 Aug 04. 2018

유물론자에게 정치권력은 결과가 아닌 원인

한국인은 유물론자들이다. 인간이 환경을 만들기보다 환경이 인간을 만드는 힘이 더 크고 강력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법 제도 정치권력이 결과가 아니라 언제나 원인으로 작용한다. 주민이 모여 논의하거나 바꾼 부분을 체계적으로 만든 결과가 아니라 주민을 바꾸기 위한 원인으로 삼는 것이다.


그 덕에 근대 제도를 수입한 한국이 빠른 시간 안에 어엿한 근대 국가 모습을 갖출 수 있었지만, 대신 법리가 민심과 동떨어져 있으며 실생활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형식적 법 제도가 많다. 또한, 정치인을 욕하고 폄하하면서도 뭐든 문제만 생기면 법대로 해~ 정치인은 뭐하고 있냐~고 정치권력에 의지하며 정치인을 왕이나 사대부 양반 같은 리더로 여기는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정치 시스템은 유권자를 팔로잉하게 돼 있는데 유권자는 정치가 자신들을 바꾸고 사회를 이끌길 요구한다.


내가 실제로 바꿀 수 있는 부분, 내가 바뀌는 실질적 방법보다 거대 담론에 더 이끌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당위성에 입각해 법 제도 같은 거대한 무언가를 바꾸는 것이 방법이라고 여기는 것이다.


  

법 제도에 의해 사회가 바뀌는 게 아니라 그 사회구성원이 바껴서 법 제도가 바뀌는 방식은 쉽게 이루지는 일이 아니다. 법 제도로 인간을 바꾸고 사회를 바꾸는 일보다 훨씬 더디다. 많은 갈등과 실패 과정을 겪어야 한다. 혁명이 늘 법 제도를 바꾸는 직접적 힘을 가진 대상을 공격하면서 이루어지는 이유다. 즉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대로 혁명이 대부분 실패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법 제도의 힘으로 사람들 태도와 생각을 바꾸(개조 또는 계몽)려고 하는 한 그 사회구성원이 그 법 제도의 주체가 되는 일은 불가능하다. 그 사회의 주인도 되지 못한다. 자기가 사는 곳의 주인이 되지 못하는 자가 과연 자기 삶에서는 주인일까?

매거진의 이전글 시장 실패와 정부 역할에 대한 혼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