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춘욱 Nov 26. 2022

총요소 생산성 향상률 1위 국가는? 한국!

노동과 자본의 투입이 일정할 때, 달성하는 생산량의 증가가 진정한 경쟁력

어떤 나라의 경쟁력이 개선되는지, 혹은 떨어지는 지 여부를 판단할 방법이 없을까요? 특허건수라던가 혹은 뛰어난 대학을 얼마나 많이 보유하느냐 등 다양한 대안이 있겠습니다만.. 그 가운데에서 가장 유용한 방법은 바로 생산성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생산성이란, 투입 시간 당 생산량으로 측정이 됩니다. 그런데, 시간당 생산량이 늘어난다고 해서 이게 경쟁력의 개선을 뜻한다고 보기는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기계장비가 바뀌거나, 혹은 더 성능좋은 기계로 대체됨으로써 시간당 생산량이 늘어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즉, 투입한 자본량이 많으면 시간당 생산량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얼마전 올렸던 중국관련 글(뉴욕 연은 - 중국의 성장 여력은 어디에?)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투입한 자본이 늘어날 수록 그 효과는 떨어지는 게 일반적입니다. 왜냐하면 기계에 한 대 있을 때보다 2대가 되고 3대가 될 때, 점점 기계 추가에 따른 효과는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땅 파기일 것입니다. 군대에서 삽 들고 소대원이 달라 붙어서 일 할 때 한달 걸리는 분량이 굴삭기 한 대 투입되면 하루만에 끝나는 것을 보고 허탈한 적 있었습니다. 즉 생산의 효율이 30배 늘어난 셈입니다. 그런데, 굴삭기가 2대 혹은 3대가 된다면? 아마 추가 투입에 따른 효과는 크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처럼 자본이 투입됨에 따라 생산성의 향상이 둔화되는 것은 '수확 체감 현상'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면, 미국이나 주요 선진국은 어떻게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달성한 것일까요? 그 답은 노동력이나 자본의 투입으로 설명할 수 없는, 진정한 의미의 생산성 향상이 지속되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를 총요소생산성(Multi-factor-productivity)이라고 합니다. 경제개발 협력기구(OECD)에 다르면, 총요소생산성의 변화는 기업 경영능력, 브랜드 파워, 조직 변화, 구성원의 지식 수준, 네트워크 효과, 조정 비용, 규모의 경제, 불완전 경쟁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합니다. 좀 더 쉽게 이야기하자면, 노동력과 자본 투입이 고정이라고 가정했을 때의 시간당 산출물의 변화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총요소생산성이 향상되어야 진정한 의미의 혁신 국가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총요소생산성의 중요성을 파악했으니, 이제 다음 순서로 2005~2021년 동안의 OECD 가입 국가의 총요소생산성 향상률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붉은 선으로 표시된 게 한국이죠.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압도적인 향상율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한국은 총요소생산성의 향상 면에서 지난 16년 세계 톱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부에서 '경쟁력이 약화되어 망한다'고 주장합니다만, 그 근거는 매우 희박하다고 볼 수 있죠. 


https://data.oecd.org/lprdty/multifactor-productivity.htm


***


그렇다면, 최근이 아닌 장기에 걸친 총요소생산성의 향상률은 어느 나라가 톱일까요?

아래 <그림>은 1990년부터 2021년까지 약 30년이 넘는 기간 동안의 연 평균 총요소생산성 향상률을 보여줍니다. 한국이 연 2.8% 성장해서 압도적인 1등이며, 인구가 어느 정도 되는 나라 중에서는 미국이 0.9%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그 밑으로는 독일과 영국, 그리고 캐나다와 일본이 위치하고 있군요. 

한국이 어떻게 이런 놀라운 생산성의 향상을 기록했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이 거론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 이 문제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https://stats.oecd.org/index.aspx?queryid=54566


작가의 이전글 미국 달러강세를 촉발한 원인은? - NBER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