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춘욱 Jan 05. 2023

인도 경제의 앞날은?

"보이지 않는 중국"에서 거론된 고등교육의 중요성 관점에서 보면..


얼마전 소개했던 이코노미스트지의 칼럼("2023년 인도인구, 세계 1위"-Economist紙)에서, 인도가 본격적으로 '인구배당'을 수령할 것이라며 낙관론을 펼친바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일전에 소개했던 책 "보이지 않는 중국"의 관점에서 보면 인도 경제의 앞날을 낙관하기는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


"보이지 않는 중국"의 저자는 "중진국 함정을 벗어나 선진국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잘 교육된 근로자들이 필요하나 중국은 이 부분에서 큰 문제를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2015년 국가 인구조사 데이터를 보면, 중국의 노동인구 중 12.5%만이 대학교육을 받았다. 중국 수준의 1인당 소득을 가진 나라 중 가장 낮은 숫자이다. (중략) 고등학교 교육에서도 중국은 아주 후순위에 속한다. 2015년 조사를 보면, 중국 노동인구의 30%만이 고등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았다. 이 숫자를 기준으로 하면, 중국은 멕시코나 태국 같은 중간소득 국가보다 후순위에 있다. (21쪽)


왜 잘 교육된 근로자가 필요할까요? 


국내외 새로운 고용주들은 비판적으로 글을 읽고, 기초적인 수학을 할 수 있으며, 세심한 논리적 결정을 내리고, 컴퓨터를 사용하며, 영어를 할 줄 아는 노동자들을 필요로 할 것이다. 고용 가능한 노동자 가운데 이런 기본적인 능력조차 가진 이가 적다면, 잠재적인 고용주들은 중국에 공장을 세우지 않을 것이다. (중략)

한국과 대만의 경우를 보자. 저숙련 제조업에 대한 의존에서 전환을 시작했을 때, 그들의 노동력 중 3/4가 고등학교를 졸업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90년, 한국과 대만의 노동력 중 대학교육을 받은 비율은 각각 37%와 45%였다.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는 이후 (저부가가치) 제조업 분야가 고갈 되었을 때, 그들이 고소득/고생산성/혁신경제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책 22쪽)

  

즉 저숙련 근로자가 대량으로 필요한 경공업 중심의 경제구조에서 벗어나 중화학공업으로, 더 나아가 정보통신산업을 발전시키려면 더 잘 교육 받은 근로자가 필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면에서 볼 때, 아래 <그림>은 많은 것을 시사합니다.


25~34세 연령대의 사람 중에서 대학 교육(및 석박사 과정)을 받은 사람의 비중을 보여주는데, 한국은 49%, 미국은 40%, 이탈리아가 28%를 기록하고 있죠. 그런데 인도는 단 13%에 불과하며, 중국은 8%입니다. 고등교육을 받은 이들의 비중이 이렇게 낮은 상황에서, 고숙련 근로자가 다량으로 필요한 산업을 육성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https://doi.org/10.1787/888934161919




작가의 이전글 "영국, Brexit 이전 이후" -Economist紙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