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리즈 May 10. 2024

도시 소음을 벗어난 아득한 천년 절터, 원주

-폐사지터가 주는 공간의 그윽한 매력





문득 일상이 버겁게 느껴진다면, 계절이 바뀌면서 다가오는 하루하루가 때로 막연할 때 사찰이 있다. 종교의 유무를 떠나 가만히 품어주고 차분히 가라앉혀준다. 거기엔 세월의 풍진이 켜켜이 쌓인 느티나무가 버텨왔고, 깊은 역사도 스며 있다.


오래된 큰 나무들이 만들어낸 그윽한 숲이 있고, 산사의 자연 풍광은 언제나 아름다웠다. 예서 잠시 숨을 고를 수 있다. 마음을 간질이는 봄이다. 초파일 즈음 맑고 깊은 기운 가득한 너른 절터로 떠나는 마음 여행이다. 


부론, 얼핏 우리말인가 싶었다. 부드러운 외국어 같기도 한 부론은 강원도 원주 서남단에 위치한 지명이다. 원주시 부론면(富論面) 골짜기 부롯골의 보를 막아 논농사를 지을 때 보논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했던가. 원주 서쪽 경계의 호젓한 섬강과 충주 쪽에서 흘러오는 남한강 합류 지점의 비옥한 평야 덕분에 고려시대에는 나라의 세곡 운송을 위한 흥원창이 있었고 경제활동의 요지였다. 각 지역의 사람들과 물자가 모여들었고, 자연스럽게 말이 많이 오가는 언론의 중심지가 되었다. 말 그대로 ‘말이 많이 오가는 곳’, 부론(富論)이었다고 전한다. 당연히 국가 지도 이념이던 불교의 번창으로 이어졌다. 부론면, 여기에 두 곳의 대형 폐사지 터가 남아 있다.  


맑은 산천과 강물이 펼쳐지는 아침나절에 원주에 닿았다. 지역이 크고 넓은 들판이라 하여 불리는 원주(原州)다. 들녘 풍경이 유독 눈부신 것은 봄 햇살 때문만은 아닌 듯하다. 이른 아침 윤슬이 반짝이는 남한강과 느릿한 물길이 산천에 고이 깃든 세월을 헤아리며 기분 좋게 떠밀려가듯 원주 땅에 들었다.



원주에는 3대 폐사지가 있는데 남한강과 섬강을 따라 천년의 흔적을 지닌 법천사지(法泉寺址), 거돈사지(居頓寺址), 흥법사지(興法寺址)가 자리 잡고 있다. 3대 폐사지를 둘러본다는 것은 어찌 보면 원주 여행의 하이라이트가 아닌가 싶다. 그중 부론면에 위치한 법천사지와 거돈사지는 천년사지길을 따라 숲과 들을 지나는 트레킹 코스다. 남한강 주변 천년 고찰의 흔적을 따라 걷는 17.5km의 원주굽이길 10코스 천년사지길은 도보 여행자들에게 인기 있는 테마 여행길이다. 그 길에서 화려하고 융성했던 시절의 영화로움과 무너져가는 역사를 지켜보며 세월을 견뎠을 노거수를 만나고 들꽃을 만난다.  


웅장했을 규모의 전각은 사라지고 폐사지는 드넓다. ‘진리가 샘물처럼 솟는다’는 뜻을 지닌 부론면 법천리의 법천사(法泉寺)는 사적 제466호다. 지금은 너른 터만 남아 휑하니 썰렁하다. 법천사는 고려 중기의 대표적인 사찰로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져 고려시대에 크게 번창했다. 고려 문종 때 당대 제일가는 고승 지광국사가 승려의 길로 접어든 곳이며, 말년에 입적한 곳이기도 하다.


법천사지는 입구에서 건너편 끝까지 보이는 마을 전체가 절터라 하니 당시의 규모를 짐작해 볼 만하다. 현재는 잘 정비되어 초석을 볼 수 있고, 흙을 걷어낸 석재들이 널리 분포된 모습이다. 이 지역은 예부터 담배 농사가 활발하던 곳이다. 지금은 주민들의 이주로 담배건조장 건물이 철거되었지만, 법천사지 내 건조장은 그대로 남아 있어 볼거리를 제공한다.  


드넓은 절터에 서면 상상력이 발동된다. 당시 대사찰 안에서 오가던 수백 명의 승려와 백성들이 오버랩된다. 사찰 건축물이 임진왜란으로 불타기 전에는 당시 내로라하는 승려는 물론이고 서거정, 한명회, 권람 등 학자들이 시문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거대한 규모의 사찰 공간이 머릿속에 그려지고, 당대 논객들의 이야기가 허공에서 맴도는 듯하다. 폐사지터가 주는 공간의 매력이 이런 게 아닌가 생각해 본다.  


명봉산 자락 아래 남겨진 절터는 권역별로 구분해 놓았다. 걷다가 잠깐씩 멈추어 당시 이미지를 상상해 볼 만큼 넓다. 군데군데 석재들이 흩어져 있고, 절터를 둘러싼 산기슭에 탑비가 보인다. 지광국사가 입적하자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탑과 공적비는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겪으며 수난이 시작된다. 지광국사탑은 한국의 석탑 중 가장 아름답고 정교하다고 평가받고 있는데, 일본의 수탈로 밀반출되었다. 그 후 반환되어 경복궁과 대전 등으로 100년 넘는 세월 동안 유랑생활을 해왔다. 최근에 본토인 원주로 돌아왔다.


2023년 법천사지 터 옆에 법천사지 유적전시관이 개관되었다. 지상 2층 규모의 전시관 앞쪽으로는 옛 법천사 입구임을 알리는 당간지주가 보인다. 내부로 들어가면 1층에 기획전시홀이 있고, 로비에 ‘무단 반출 그 후, 112년의 기다림’이라는 이름으로 비로소 제자리를 찾아온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이 해체된 모습으로 전시되어 있다. 해설사의 안내를 받으며 머잖아 완성된 모습을 기대해 본다.


유적전시관 안에서는 다양한 유물을 만나볼 수 있다. 발굴 조사를 통해 출토된 유물의 양은 어마어마하다. 전시관 안의 법천사지실과 열린 수장고, 기획전시실에서 영상자료와 수천 점의 귀한 불교 미술품을 비롯해 다양한 유물을 관람할 수 있다. 천년 고찰의 살아 숨 쉬는 유적과 유물을 통해 법천사지의 매력을 생생히 확인할 기회다.



법천사지를 나와 자동차로 10분쯤 완만한 언덕길을 달리면 느티나무가 보이고, 거기서부터 사적 제168호인 거돈사지 터가 펼쳐진다. 고려시대 국사였던 원공스님이 기거하던 곳으로 의미가 있는 거돈사지(居頓寺址)다. 


축대 끄트머리의 느티나무가 절터를 호위하듯 서 있는 옆으로 돌계단을 오르면 보물 제750호 거돈사지 중앙의 삼층석탑이 눈앞에서 자태를 보인다. 단순하면서도 멋스럽다. 탑에 그려진 연꽃무늬 조각이 놀랍도록 사실적이고 자연스럽다. 탑 뒤편으로 금당 터가 반듯하게 잘 보존되었다. 이 자리에 큰 법당이 있었을까 혼자 추정해 본다. 


절터 저편 산자락 입구에 있는 원공국사탑이 숲과 어우러진다. 그 옆길로 내려오면 길가에 원공국사의 생애와 공적을 기리는 내용이 새겨져 있는 원공국사탑비가 모셔졌다.



부론면에서 조금 떨어진 흥법사지는 원주시 지정면에 자리 잡고 있다. 좁은 마을길을 지나 언덕을 오르니 밭일을 하던 동네 어르신이 허리를 펴고 일어서서 바라보신다. 민가와 밭으로 둘러싸인 진공대사탑비와 삼층석탑이 덩그러니 고적하기만 하다. 한때 왕사가 머물던 대찰이었던 흥법사는 고려 전반기의 선종계 사찰로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를 돌아보면서 만나는 사람들은 역사 속을 거닐듯 깊은 생각에 잠긴 듯하다. 또는 드넓은 옛터에서 도심의 소음을 벗어나 힐링의 시간을 보내는 모습이기도 하다. 


요즘의 핫한 볼거리나 복잡한 세상에서 누리는 도시 문화의 즐거움과는 확연히 다른 시간을 맛보는 공간이다. 모든 걸 내려놓고 한숨 돌릴 수 있다. 세월의 뒤안길로 사라져 쓸쓸함이 연상되는 폐사지라는 이름과는 달리 본래의 공간을 떠올리며 상상의 나래가 펼쳐지고 가슴이 뛴다. 깊고도 멋진 시간이다.  




-깊은 산속 절집과 고판화의 만남

기왕 예까지 왔으니 한 군데 더 가보자. 원주 남쪽 끄트머리 깊숙이 앉혀 있는 절집 명주사에 가면 산사와 박물관의 만남을 경험한다. 명주사는 창건 주지인 선학스님이 운영하는 고판화박물관으로 더 알려져 있다. 


절집으로 오르는 길에 전통 판화학교가 있는데 이곳에서 판화 수업이나 고인쇄 문화 템플스테이와 인문학 강좌가 열린다. 명주사에 이르니 깊은 숲 속의 좁은 절마당이 편안하다. 절집 옆으로 고판화도서관과 고판화박물관이 나란하다. 


불교미술을 전공한 주지스님의 판화 열정이 박물관 안에 빼곡하다. 한국은 물론 인도나 중국, 티베트 등의 판화 작품이 2500점이 넘는다. 박물관에서 고판화 예술을 접하고 나면 직접 판화 인출 체험도 할 수 있다. 치악산 깊은 산속의 고판화 명상숲길 따라 여유롭게 머무는 봄날이다. 






https://bravo.etoday.co.kr/view/atc_view/15362


매거진의 이전글 서산 갯마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