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예나네 Apr 25. 2023

저 편을 향한 그리움



너 바보 아니야?


요즘 바보는 눈치 없는 사람이란다. ㄴ이 호감을 가지고 다가오는데 딴청만 피는 을 보고  언어의 화살이다. 화살이 빗나갔는지 에겐 아직도 불이 켜지지 않았다. 그러나 자기애에 빠져있는 보는 ㄴ은 ㄱ이 들꽃이라도 되는 양, 마냥 바라볼 수 있음이 행복해한다.


ㄴ에게는 ㄱ이 전부이고 ㄱ은 ㄴ이 한 부분일 뿐이지만 그래도, 곁에 있어 좋다. 그렇다고 ㄱ은 ㄴ을 외하진 않는다. 외로울 때 다가가 함께 을 만들기도 하고, 엎어졌다 물구나무서기를 했다 하서 역할을 대신해 주기도 한다. 그냥 좋은 벗이니까. 그럴 마다 ㄴ이 에 거는 치는 올라간다. '특별히' 좋은 벗이니까.


그들보다 한 획이 많은 선배 ㄷ은, 계를 하게 꿰뚫고 있지만 자신의 에서 어여쁘게 바라보아준다. 셋은 필요할 때 서로 마주 보다가 다시 제자리로 아선다. 각자 일상의 배를 타고 숨 가쁘게 노를 젓는 것 지만 자고 일어나 보면 늘 그 자리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문양과 색상을 선택하고 하여 생의 를 만들어 나간다. 무한대의 고통을 내포하고 무한대의 비를 지니면서도, 그에 비할 미지의 망과 사랑 또한 존재한다는 것을 믿기에 , 어제의 자리로 되아가 내일을 위한 호흡을 고르 한다.





제자리로 돌아오는
지구가 자전하는 곳에 살아서 그런 건가.


 등이 굽은 인생의 띠를 장식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것 같지만 늘 그 자리에 있다. 사람이 죽나 생이별을 겪어 픔에 빠져있다가도, 시간을 과하면 본연으로 되돌아온다. 상, 컴퓨터, 책장이 모두 그전 그대로인 방으로 되돌아온다. ㄱ도 ㄴ도, 우리 모두의 삶도, 다 그렇다.


늘 그 자리인 촌놈들, 요즘은 촌에 산다고 촌놈이 아니란다. 같은 자리에 머물다 낯선 곳에 가행동을 하다 보면 촌놈이라 불린단다. 서울사람이 시골에 가도 촌놈이고, ㄴ의 음을 모르는 도 촌놈이다. 다수인이 는 것을 홀로 몰라 촌놈으로 통한다. 식물의 이름을 모르고 소를 먹을 줄 모르는 서울사람이나, 예술의 깊은 뜻을 모르는 시골사람이나 다 촌놈이다.


누구나 한두 번쯤은 놈이 된 적이 있는데, 촌놈 소리를 은 사람은 겁먹은 자라목처잠시 위축된다. 차라리 촌놈인지도 모를 때 기가 팔하다. 사람들다방면으로 귀 기울이는 이유는, 촌놈소리 듣지 않기 위한 행동인지 모른다. 그러나 놈에어리석음보다 순수가 어려 있어서일까. 그 단어에는 부정보다 긍정이 더 묻어 나온다.




 그래서일까.
촌놈을 고집하는 사람도 더러 있다.


촌놈임을 고집하는 미개인. 요촌놈을 오래 고수하다 보면 미개인이 된단다. 남들은 이메일로 전하는데 펜으로 편지를 써서 우체국까지 가서 부치는 자칭, 미개인이라는 친구는, 워드작업을 안 하고 몽당연필로 칼의 노래, 현의 노래를 써 내려간 소설가 김훈도 미개인이라며, 김훈과 지기라도 된 양, 왠지 우해한다. 버스 탈 때 카드를 대지 않고 지폐를 넣는 사람도 미개인이란다. 디지털의 세상을 아날로그로 역주행하는 자를 보고 미인이라 한단다. 그럼 미개인을 역주행하면 무엇이 나올까.


오래된 미래


 바보를 지나, 촌놈을 과하고, 미개인을 거치고, 시간을 거꾸로 계속 가다 보면 '오래된 미래' 나온다. 작은 티베트 리는 곳에서 자연처럼 살아가던 라다크 사람들을 문명의 눈으로 바라보면, 모두가 바보고 촌놈이고 미개인이다. 순종 촌놈인 그들은 어도 웃의 때깔이 어린아이만큼 투명하고 맑고 아름답다.


그들의 생활은 고상한 은유와 직유가 따로 없어도 그 자체로 신성다. 어학자이던 헬레르베리 호지는 그들의 자연친화적인 순수에 매료되어16년간 그곳에 살면서 라다크를 묘사한다. 그녀는 라다크의 생태학적인 '과거' 모습을 보고, 오래부터 예견된 인류의 '미래'했다.


보나 촌놈, 개인이나 오래된 미래가 지니는 공통점은, 한 곳에 오래 머물면서 그곳을 천국으로 알고 자신에게 충실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바보, 촌놈, 미개인이라는, 조금 폄하된 불에도 개의치 않고 삶의 궤도를 꽃잎처럼 피워내는 사람들이다.


누구나 바보가 되거나 촌놈이 되거나 미개인이 되는 그런 날이 가끔 있겠지만, 그런 사람이라고 인을 찍는다면 거부겠지만, 디지털의 시대를 쫓아가기 버거울 때마다 그들을 그릴 때가 종종 있다. 다람쥐 쳇바퀴처럼 돌아는 문명과 이기를 내버리보와 촌놈, 미개인과 오래된 미래로 건너가고 싶을 때가 있다.




저편에 있어 그리울까.


바다 아득히,  평원  너머 - 금 그어진 수평선과 . 지구가 동글어서 생끝 모를 포물선. 열려있으나 보이 않저쪽의 세계를 동경하게 하는 유연한 . 끝없이 드넓은 바닷가에 있다 보면 저편을 향해 건너가 보고 싶어 진다. 곳 사람의 표정과 몸 그리고 펼쳐질 풍경이 궁금해진다.


바닷가 저편에 바보와 촌놈, 미개인이 사는 오래된 미래가 있다면 나도, 그쪽으로 건너가 그들과 하룻밤쯤 묵고 싶다.


《오래된 미래》, 녹색평론사.




이 글은 저의 책 《물빛》 (2006. 12.) 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이전 03화 비움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