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후우카 Sep 18. 2020

목포의 맛 - 쫄복

목포 조선 쫄복탕

봄비가 내렸다.

2주간 재택근무로 방에만 있어야 하는 나와 달리 봄은 여전히 기지개를 켜고 달릴 준비를 한다. 지난주 보았던 도서관 담벼락 벚나무에도 잔뜩 봄기운에 간지럼을 느낀 꽃망울들이 간질거리는 몸을 잔뜩 부풀린다. 다행이다. 어쩌면 이 봄비로 부푼 몸의 열기가 조금은 식혀지지 않을까? 짧게 지나가버릴 아쉬운 봄을 조금은 내 옆에 잡아두고 싶다. 이렇게 비가 내리는 날에는 은근히 끓여 오랫동안 온기를 전해줄 국물이 그립다. 첫 술은 입술을 델까 염려함으로 호호 불어 조심조심 입으로 가져가야 하지만 어느새 뜨거워진 열기를 받은 숟가락질이 속도를 올리고 마지막 바닥을 긁을 때에는 아쉬움으로 숟가락 든 손이 힘을 잃게 되는 “탕”.

남편에게 바람을 넣는다. 재택근무를 권할 만큼 바깥출입을 삼가야 할 때이지만 “쫄복탕”을 먹지 않으면 안 되는 서른마흔다섯 가지 이유를 늘어놓고 차에 시동을 건다. 근대화거리를 돌아 항구에 접한 쫄복탕 집에 도착했다. 음식의 깊은 맛을 알 나이가 아니고서는 결코 들어서지 않을 낡고 허름한 가게다. 메뉴도 쫄복 하나다. 지리로 할지 탕으로 할지 그 선택만 하면 된다. “이것 하나만큼은 자신 있다.”라는 단일품목과 주방장의 자부심을 읽을 수 있는 인테리어의 무심함은 오래된 건물 곳곳에 숨어 있다. 이런 집에 앉게 되면 왠지 모르게 겸손해진다. 켜켜이 시간이 쌓아놓은 묵직함들이 가볍고 화려한 것에 치중하는 젊은이들에게 보내는 충고가 가슴에 느껴지는 까닭일 것이다.

바다의 쇠고기라 불리는 쫄복. 복어의 한 가지인 쫄복은 졸복 아지, 복쟁이, 졸복, 쫄복으로 부른다. 몸은 25cm 정도로 작다. 작다고 해서 복어 특유의 독성이 없을까? 아니다. 난소와 간장에는 강한 독이 있고, 근육과 정소에는 약한 독이 있다. 그런 까닭에 탕 한 그릇을 끓여내기 위해 세심한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하다. 끓여놓으면 지극히 소박한데 그 이면에는 독을 제거하는 화려한 칼놀림이 담기게 된다. 쫄복은 탕으로도 지리로도 맛이 뛰어나다. 순수한 담백함이 비리지 않고 함께 넣어 먹는 미나리나 콩나물로 인해 더욱 시원한 맛을 느끼게 된다. 오늘의 선택은 지리가 아닌 탕이다. 주인장은 거친 손으로 무심히 탕을 내려놓으며 부추무침을 넣어 먹으라 권한다. 탕은 지리에 비해 국물이 탁하다. 그 희멀건한 탁한 국물이 빨갛게 물든다. 빨갛고 탁한 국물 이건만 목구멍을 넘어가는 순간 입에서 나오는 첫마디는 “시원하다”이다. 두세 번 연거푸 입으로 가져간다. 뜨겁다. 시원하다. 뜨겁다. 맛있다. 이어지는 탄성이 잦아들 즈음에야 탕 속을 들여다본다. 25cm의 작은 고기를 삶아 국물을 밭쳐내고 몸살을 바른다. 나머지는 엉성한 로 받쳐 거친 뼈는 골라내고 다시금 끓여낸다. 여간 손이 가는 음식이 아니다. 그래서일까? 탕 한 그릇에는 쫄복이 들려주는 바다의 이야기와 만든 이의 손길에 묻어난 인생의 이야기가 담겨 먹는 이의 마음을 잡는다. 따뜻하다. 탕의 온기가 아닌 그들의 이야기가 온몸을 따뜻하게 한다. 두꺼운 뚝배기의 밑이 보인다. 아쉽지만 여행을 끝내야 한다. 어느새 내리던 비가 그쳐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목포의 맛 - 팥칼국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