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nadatodo Jul 24. 2022

과학적 근거 없는 MBTI MZ세대 몰입, 불안 때문?

인간의 무궁무진함을 16개로 유형화, 획일 단순화 아닌지

MBTI에 빠진 한국 MZ세대를 외신도 주목한다는 내용의 기사를 읽었다. 기댈 곳 없는 N포 세대의 불안한 미래를 반영한다고 외신이 보도했단다.


MBTI가 별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건 오래전 얘기다. 언젠가 과학잡지 스켑틱(SKEPTIC)에서도 봤고, 국내 여러 심리학자나 뇌과학자들도 같은 얘기를 한다.


그런데 유난히도 우리나라에서는 방송을 비롯해 기업 마케팅에 지겹도록 나온다.


나는 1991년 전후 복학하면서 당시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MBTI를 해봤다. 가깝게 지내던 심리학 교수님이 수업에 도입해보려고 한다며 권유했던 것 같다.


그때 나는 INTJ였다. 내 기억에 상당히 까다로운 유형의 성격으로 보였다. 권장 진로가 사상가, 전략가 같이 뭔가 치밀한 논리로 자기만의 세계를 설계하고 구축하는 류의 직업들이 많았다. 조직에서 일하면 목표치가 높아서 조직원들을 힘들게 할 거라고 설명이 있었던 것 같기도 하다.


지금 내 직업인 공무원은 INTJ엔 안 맞는 옷이고, 사실 답답하다. 난 타당하지 않은 지시를 하거나 내 가치나 기준과 너무 거리가 먼 행동을 하는 간부에겐 막 개긴다. 공무원들에겐 금기시된 직선적 발언과 행동을 종종 하는 거다.


수십 년 전 MBTI 검사 후 들었던 생각은, 전체적으로 나를 매우 정확하게 분석하고 설명하는 것 같았지만, 동시에 내가 선호하는 나에 대한 자의식을 반영하는 거 아닌가 하는 의심이었다.


인간의 성격이나 성향을 4가지로 분류하고 각각 상반된 2개 양극단에 놓아 2⁴=16가지로 패턴화 한다는 게 과연 과학적인가?


인간의 심오하면서도 무궁무진함, 갈피를 잡지 못하는 변덕과 변화무쌍함, 그리고 fragile 함을 16개 타입에 담아낸다? 인간에 대한 모독 아닌가?


* 개인 페이스북에도 게시한 글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36년 만의 귀환, 가슴 설렘 줄고 뜨거움 더욱 강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