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민주 May 07. 2022

최여사 일기

끝나지 않는 소모전

5월 1일 소모전     

  오월의 첫날, 일요일로 시작된 오월 아침부터 시어머니와 소모전이 다시 시작됐다. 아침 설거지를 끝내고 들여다보니 심심해하시는 것 같아 화투놀이라도 해 드릴까하고 들어갔더니 농사타령을 한다. 깨도 심고, 콩도 심어야 하는데. 고추 모종도 내야 하는데. 푸념을 하던 어머니는 또 터미널에 데려다 달라고 한다. 터미널까지만 데려다 주면 시골집으로 가셔서 여름나도록 농사를 짓겠단다. 혼자서는 열 걸음도 걷지 못하시면서 틈만 나면 농사타령이다.

  달래고 설득하려다 그만 두고 짐을 싸시라고 했다. 원하시는 대로 터미널까지 모셔다 드리면 되겠냐고 했더니 정말이냐고 되물으신다. ‘네, 죽은 사람 소원도 들어준다는데 산 사람 소원하나 못 들어드릴까요. 볼일 보고 한 시간 뒤에 올 테니 준비하고 기다리세요.’ 알겠다는 대답을 등 뒤로 남기고 집으로 왔다. 그러려니 하면 될 일에 또 감정이 앞선다. 온전하지 않은 정신인 걸 알면서도 짜증나는 건 아직 나의 수양이 깊지 않아서 일 것이다.

  다시 되돌아오니 어머니는 혼자 중얼 거린다. 아들 생일이 다 되어 가는데 생일 밥은 먹고 가야지 않겠냐고 물었다. 아들 생일이 뭐 대수라고, 그냥 말 나온 김에 길 나서자고 했더니 눈치만 살핀다. 지팡이 없이 열 걸음을 못 걷고, 숟가락 들기도 버거운 형편에 농사에 대한 자신감은 도대체 어디서 샘솟는지 알 길이 없다.

  어머니 앞에 앉아 차분히 여쭈었다. 기어 다니며 농사를 지어서 그걸로 뭘 할 거냐고. 너 줄려고 그런다. 전 그거 받을 생각 없는데요? 힘 있을 때 지어주신 거야 감사하게 잘 받았지만 기어 다니면서 지은 곡식은 받고 싶지 않아요. 가만있어도 손가락이 아프다면서 질긴 잡초 는 어찌 뽑으려고요. 

  아들 생일 핑계를 대지 않았다면 정말로 터미널에 모셔 드리고, 먼발치로 미행을 하다 난관에 봉착하면 다시 모시고 올 생각이었다. 머리로만 생각하는 일들이 실제 본인에게 얼마나 힘든 것인지 몸소 확인하는 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었지만 솔직히 고생해봐야 더는 헛된 희망을 가지고 푸념하지 않을 것이라는 마음도 없지 않았다. 

  어쩌면 이런 일련의 일들이 어머니의 대화법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제대로 된 대화를 한 적이 없는 어머니는 자식들에게 하는 말은 ‘뭐 하지마라, 그건 왜 그리 하느냐.’ 등의 지시하는 말과 탓하는 말이 대부분이다. 그러고 보면 부모 자식 간의 대화는 그런 종류가 대부분이다. 소통을 위해 무엇인가 애쓰고 노력해야지만 건전하고 건설적인 대화가 이루어진다. 

  아흔이 넘은 어머니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대화의 기술을 익히는 것도 불가능하고 자식의 마음을 어루만질 푸근한 말도 하지 못한다. 배울 생각도 없지만 평생의 습관이 고쳐질 것 같지도 않다. 그저 듣는 사람 몫으로만 남는다. 어머니가 할 수 있는 것은 하던 대로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웃으며 흘려듣는 것이다. 그것이 우리 고부간에 유일하게 사용 가능한 대화의 기술이다.

작가의 이전글 최여사 일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