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혜교 Apr 06. 2023

언제까지 열심히 살아야 하나요?

아주 최소한의 갓생



현대인의 3대 영양소라는 알코올, 니코틴, 카페인 중독을 넘어, 갓생 중독을 주의해야 하는 세상이 왔다. 온 세상이 내 눈앞에서 <갓생 살자!>라고 적힌 종이를 흔들어대며 "밥벌이 이외에도 어학 공부나 건설적인 취미 생활을 해야지!"라고 말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면, 그건 착각이 아니라 현실이다. 실제로 온 세상이 갓생으로 뒤덮여있다.


인스타그램에서 해시태그 #갓생, #갓생살기를 검색해 보면, 25만 건에 육박하는 게시물이 올라와 있다. 유튜브에 '갓생 브이로그'를 검색하면 직장인부터 초등학생까지 저마다 자신이 얼마나 열심히 사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10년생의 17시간 공부하는 브이로그♬' 같은 제목의 영상을 보고 있으면 '킥킥, 아줌마 잘 놀지.' 같은 생각을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걱정이 든다. 갓생 열풍, 정말 이대로 괜찮은 걸까?






이 갓생, 제 거 맞나요?


'갓생 붐'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나? 신조어인 만큼 그 정확한 시작점을 찾아내기는 다소 힘들겠지만, 네이버 데이터랩의 통계에 따르면 갓생이 처음 검색된 것은 2020년 4월이며, 이후로 꾸준히 검색량이 증가했다. 코로나 19가 확산되면서 처음으로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작한 것도 바로 이 시점이다. '갓생 열풍은 코로나와 함께 쑥쑥 자랐다'라고 말해도 과언은 아니다.


2020년 경기도교육연구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많은 학생이 코로나19 이후 ‘나는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다른 친구들은 어느 정도 실력인지 구분할 수 없다’, ‘성적이 떨어질까 봐 불안하다’ 등의 의견을 냈다고 한다. 비록 현실 세계에서는 거리를 두고 있었지만, 온라인 세상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지낸 지난 몇 년이다. 그 초연결사회가 더 많은 비교와 우울을 낳았다.


사실 오프라인 세상에서는 비교 대상이 한정적이다. 학창 시절에는 주로 같은 학교나 학원의 친구가 거의 전부고, 성인이 된 후에도 동료나 가까운 지인 등 나와 직접 대볼 수 있는 대상이 그리 폭넓지는 않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로 SNS 등 디지털 세상에 오래 머물게 되면서, 비교할 대상도 비교할 시간도 늘어났다. 이제는 정형화된 '갓생 챌린지'에 동참하는 것이 정말 나를 위한 것인지, 2020년대의 새로운 과시 거리인지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다.






갓생과 혐생만 있는 건 아니야


한편, 갓생과 반대되는 신조어로 '혐생'도 등장했다. 혐오스러운 인생. 뭐 하나 잘난 것 없는 자신의 삶을 비관할 때나 마음에 들지 않는 삶을 칭할 때 사용한다. 갓생과 마찬가지로 꽤 보편적으로 퍼져있는 단어라, 자신의 삶을 혐생으로 칭하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꼭 삶에서 어떤 실패를 겪어야만 쓰는 말이 아니다. 당장 출근하기 싫지만 회사에 가야 하는 끔찍한 현실도 쉽게 혐생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삶을 갓생과 혐생으로 이분화할 수는 없다. 삶에는 갓-, 개-, 킹- 같은 요즘의 접두사로 형언할 수 없는 수많은 작은 기쁨이 숨어있으니까. 언제나 갓생을 사는 사람 같은 건 존재하지 않고 존재해서도 안 된다. 갓생이 삶의 목적이 될 수는 없다. 가끔은 자신에게 화가 나고 실망스럽고 바꿀 수 없는 현실이 원망스러울 수도 있다. 하지만 기억해야 한다. 혐오가 모든 슬픔을 대변할 수 없다는 걸. 미적지근한 생도 있고 울적한 생도 있겠지만, 이 모든 것을 혐생이라고 부르는 건 그리 옳지 않은 방향이다. 갓생과 혐생 사이 그 어딘가에 수억 가지의 생이 있다.






갓생은 얼어 죽을 갓생!


시리즈의 제목을 '아주 최소한의 갓생'으로 지은 이유는, 갓생에 깐깐한 조건을 달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부지런한 사람만 갓생을 살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게으름은 삶을 고단케 하는 악독한 친구 같은 존재지만, 그렇다고 해서 게으른 자신의 생을 곧 혐생으로 부르는 것은 옳지 않다는 걸 더 많은 사람이 알아줬으면 했다. 성취의 크기는 타인이 정해주는 것이 아니라는 걸, 갓생의 방향을 한 곳으로 정해놓아서는 안 된다는 걸.


1화에서 나는 나 자신을 '게으른 애 중에 제일 부지런한 애'라고 칭했다. 하지만 나 자신을 이렇게 정의하는 데까지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렸다. 휘몰아치는 갓생 열풍을 보면서 나는 절대 '부지런한 사람' 축에는 들 수 없겠구나, 이번 생은 죽을 때까지 이불 정리를 귀찮아하다가 끝나겠구나 같은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아프니까 청춘이고 부지런해야 사람인가, 나는 그냥 안 아프고 게으르게 살고 싶다. 그냥 조금 피곤할 수도 있고 조금 느리게 갈 수도 있는 거니까.


갓생, 갓생, 얼어 죽을 갓생의 울타리는 다 집어던지자. 내 안의 게으름과 적당히 타협하고 어제보다 조금 더 발전하는 방법을 알아내기만 한다면, 그것만으로도 '아주 최소한의 갓생'은 달성한 셈이다. 앞서 말했듯 ‘갓생’이란, 내 삶의 키를 원하는 방향으 꾸준히 돌려놓는 삶이니까. 내가 내 삶을 갓생이라 부르겠다는데, 누가 뭐라고 하겠는가. 그 노력의 끝에 진정으로 나의 게으름마저 사랑하게 된다면, 그게 바로 최고의 갓생이 틀림없다.




게으르니스트's 한 마디

"아프니까 청춘이고 부지런해야 사람인가, 나는 그냥 안 아프고 게으르게 살고 싶다."


소소한 일상과 각종 소식을 인스타그램에 올리고 있어요!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