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트노마드 함혜리 Mar 20. 2021

건축 탐구:집다운  집의 조건

전통한옥에서 주택의 답을 찾다

먹방 시대가 저물고  ‘집방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요즘 집에 대한 TV 프로그램이 많다. 코로나 19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집에 대한 관심이 졌기 때문이다. 반듯하게 구획된 아파트를 벗어나 마당이 있고 하늘을 들여 놓을  있는 집다운 집에서 살고 싶은 욕구 더욱 거세지고 다. 

집은 이제 단순한 거주의 공간을 넘어 교실, 사무실, 여가를 해결해야 하는데 단조로운 구조의 아파트에서는 아무리 해도 그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실감하고 있다. 1평(3.3㎡)에 1억 원을 넘는 아파트도 늘고 있다지만 경제적 가치가 진정한 집의 가치를 가늠하는 척도는 아닐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과연 ‘좋은 집’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건축가 정재헌 경희대 건축과 교수는 “집다운 집은 아파트의 대척점에 있다”고 말한다. 아파트의 대척점에 있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지 정 교수가 디자인한 ‘새정이마을 주택’을 통해 알아본다.


그린벨트를 지정하면서 흩어져 있던 가옥들이 이주해 만들어진 새정이마을은 행정구역상 서울 서초구에 속한다. 하지만 아파트 숲이 아니라 청계산 주변의 그린벨트에 인접하고 있어서 진짜 숲을 지척에 두고 있다. 서울에 이런 곳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자연의 변화를 시시각각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앞 산의 나무 가지 끝에는 물이 올라 봄을 맞을 채비를 하고 있었다. 마을 이름이 마음에 들어서 작품 이름도 그대로 부른다는 ‘새정이마을 주택’은 자연을 배경으로 해를 듬뿍 받으며 반듯하게 차려입은 선비처럼 정좌하고 있다.

새정이마을 주택 외관(  건축가 정재헌 제공)

“좋은 집은 자연을 가장 가까이 품고 있어야 합니다. 바깥공기, 빛과 같은 인공적이지 않은 것들을 집 안 깊숙이까지 품을 수 있어야 합니다. ”

정 교수는 아파트에서 가질 수 없는 자연을 가장 효과적으로 집 안으로 끌어들이는 방법으로 전통 한옥에서 보는 일자 형태의 ‘홑집’을 제안한다. 네모 형태에 방과 거실, 주방, 화장실로 구성된 아파트는 겹집이다.

우리나라 전통 가옥에서처럼 홑집을 하면 볕이 잘 들고 통풍이 좋다. 표면적을 늘여 자연과 접촉면을 늘이는 것이다. 고온 다습한 여름에 환기가 잘되고, 겨울에는 볕을 많이 받는다. 정 교수는 “전통 한옥은 우리 환경에 최적화된 주거 형태”라면서 “시대와 환경이 아무리 변해도 주거의 본질은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통 한옥의 개념을 현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재해석해 내면 그것이 우리에게 맞는 집이 된다.”고 말한다.

‘새정이마을 주택’의 주인은 40대의 맞벌이 부부다. 남편은 전원생활을 원하고, 아내는 직업상 강남권을 떠날 수 없어 절충해서 땅을 찾았다. 언덕 아래에 위치한 대지는 70평 정도. 정남향에 자연 지형을 살려 지은 집은 크기가 다른 직사각형 상자 두 개를 쌓아놓은 것 같다. 보기엔 단순하지만 곳곳에 건축가의 섬세한 감각과 의도가 숨어있다.

열림과 닫힘이 자유로우면서 공간의 전환이 자유롭다.(건축가 정재헌 제공)
강릉 선교장( 건축가 정재헌 제공)

새정이마을 주택을 외부에서 볼 때 가장 먼저 눈에 띄는 특징은 담과 벽이 일체를 이룬 점이다. 넓지 않은 대지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꽉 들어차게 설계한 결과다. 서울의 한옥마을에서 보는 개량형 한옥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진입 문은 정면에서 바라봐 왼쪽에 있는데 이 문은 서재로 쓰이는 별채로 연결된다. 정면의 3분의 2는 차고인데 나무로 된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해 공간의 열림과 닫음을 자유롭게 했다.

별채와 차고가 횡으로 일자 형태인데 골이 진 강판 지붕을 비스듬하게 설치했다. 비 올 때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고 겨울엔 고드름도 만들어진다. 우리 전통 한옥에서 행랑채와 대문이 일직선상에 놓여 있으면서 담장으로 연결된 것을 연상하면 이해가 쉽다. 집안으로 들어서니 딴 세상에 온 것 같다.

새정이마을 주택은 홑집 두 채가 마당을 사이에 두고 있는 구조인데 채가 집이 되고, 경계가 되고, 어딘가에서는 담장이 된다. 채와 담으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은 아늑하다.

일자형 서재는 행랑채 혹은 사랑채처럼 완전히 독립된 공간이어서 재택근무가 많은 요즘 훌륭하게 제 몫을 한다. 서재에서 연결되는 담에는 벽장을 만들어 정원용 도구를 넣어 정리할 수 있도록 했다.

정교수는 좋은 집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아늑함’이라고 말했다.

“ 이 시대에 집이란 어떻게 보호받을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폼 잡기 위해 집을 짓기도 하지만 집은 무엇보다도 아늑한 보금자리여야 하고 절대적 편안함을 주는 공간이어야 합니다. 시각적이든, 심리적이든 사는 사람이 편안함을 느껴야 합니다. 집을 내향적으로 만들면 집이 고요해지고 심리적으로 편안해집니다. ”

정 교수는 프랑스에서 건축을 공부했다. 서양식 주택을 머릿속에 담고 돌아와 처음 주택 설계 의뢰를 받아 설계했는데 우리나라 기후여건을 감안하지 않았다는 것을 뒤늦게 깨달았다. 전통 한옥들을 답사하며 우리 지형과 기후에 맞는 주택 유형을 찾았다. 강원도 강릉의 선교장은 공간의 구성과 관계성에서 많은 영감을 주는 공간이다. 전통 가옥에서 가장 보편적인 형태가 행랑채, 마당, 안채가 있는 구조인데 마당을 향해 열려있기 때문에 편안하게 느껴진다. 채 자체가 담장이 되고 보호막이 되어 가족 전체의 삶을 담는 공간이 된다. 홑집으로 자연과의 관계성을 최대한 확장하고 다양한 풍경을 만들면서도 아늑함을 느낄 수 있다. 양평의 펼친 집과 왕버들 집 모두 전통 한옥에서 가져온 홑집으로 디자인했다.  

양평 펼친 집 (건축가 정재헌 제공)

새정이마을 주택은 본채 건물의 1층 왼쪽에 꽤 넓은 데크가 설치돼 있다. 지붕이 덮여있고 한쪽에는 직사각형의 연못이 길게 설치돼 있다. 물소리는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작은 연못은 낮에는 하늘을 담고, 밤에는 달을 담는다. 심지어 더운물을 담으면 여기서 족욕도 할 수 있다. 연못 위로는 하늘이 보인다. 연못은 내부이자 외부인 공간이다. 바람이 순환하는 기능도 하고 하늘도 볼 수 있다. “규정하지 않은 공간이기 때문에 그만큼 여러 가지 의미를 담을 수 있다”고 정교수는 설명했다.

거실과 주방은 마당을 향해 통유리를 설치했다. 대청마루와 방 사이의 문을 열면 공간이 확장되듯이 이 집에서도 데크는 거실로, 식탁이 있는 주방의 연장이 된다. 거실도, 주방도 그다지 크지 않은데 데크 덕분에 꽤 넓어 보인다. 거실과 마당이 통합이 되고, 식당에서 보이는 장면은 공간적으로 통합이 되면 더 좋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하면서 디자인했다고 한다.

정 교수는 디자인할 때 큰 선을 사용한다. 심플하고 정갈한 디자인을 살려주는 것은 재료다. 세월이 지나면서 그 세월을 담아내는 것들이 건축 공간의 재료로 좋다고 정 교수는 강조한다.

“작은 선들은 세월을 견뎌내지 못합니다. 풍경이 산만해지고 세월이 지나면 금방 싫증이 나지요. 건축을 할 때는 돌, 철, 나무 같은 가공되지 않은 일차적인 재료들을 사용합니다. 산업화된 것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추해지는 반면 일차적인 재료들은 시간과 함께 우아하게 나이를 먹거든요. ”  

새정이마을 주택에서 사용된 재료는 나무, 돌, 철, 그리고 콘크리트이다. 집의 내부도 노출 콘크리트가 사용됐다.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콘크리트와 나무의 조합인데 깔끔하고 현대적인 이 집의 성격을 그대로 담고 있다. 그 벽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른 모양, 다른 위치에 그림자가 그려진다.    

 

“아파트는 방과 거실, 주방으로 나눠 놓았지만 사실은 모두 똑같은 공간입니다. 집에서 중요한 부분은 풍경과 자연과 마당과 방과 방 사이를 어떤 관계성으로 놓느냐의 문제입니다. 전통 한옥은 채 나눔과 홑집, 그리고 마당으로 공간을 다채롭게 구성합니다. 대문을 들어 서면 마당이 있고, 사랑채가 있고, 다시 마당을 사이에 두고 안채로 연결되면서 공간의 전환이 이뤄집니다. 집에서 중요한 것은 자연공간과 외부공간의 관계성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입니다.”

이 집에서는 보는 장소마다 다양한 풍경과 자연을 만날 수 있다. 계단을 올라 2층으로 가면서, 2층 거실과 테라스에서, 목욕실에서도 시시각각 변화하는 자연의 다른 얼굴들이 보인다.

정 교수는 “집이란 기억의 저장소”라고 했다.

“ 어릴 적 어머니에게 꾸중 들으면서 딴청 피우느라 바라보곤 했던 마루의 옹이가 아직 시골집에 있는 것을 발견했을 때 무척 감동했습니다. 시간이 흘러도 미세한 추억들이 집구석구석에 배어 있었던 거죠. 획일화된 구조의 아파트에서 유목민처럼 살면 공간에 기억과 추억을 저장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채로 안과 밖을 나눠 보호막을 만들고, 홑집으로 자연을 집안 깊숙이 들이면서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오붓하게 가족의 추억을 쌓을 수 있는 집이 좋은 집입니다.”

** 건축가 정재헌이 말하는 ‘좋은 집’의 조건.

1. 자연지형을 최대한 활용하라.

2. 남향으로부터 자유로워라. (절대적 향보다는 상대적 향을 중시)

3. 홑집으로 하라.

4. 내부와 외부를 적극적으로 연계하라.

5. 작게 짓거나 별채를 활용하라.

6. 가능한 단순화 하라.

7. 문을 없애 하나의 공간으로 만들라.

8. 유실수를 정원에 들이고, 근경에 관심을 가져라. (원경은 멋진 전경을 제공하고 근경은 서정적 감동을 준다.)

9. 햇볕을 끌어들여 습기를 몰아내라.

10. 가족이 함께 요리를 할 수 있는 부엌을 계획하라.


매거진의 이전글 마리오 보타의 남양성모성지 대성당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