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새로고침1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효니 Sep 22. 2020

낭만에 대하여

박수지

박수지(@mooncrystalight) by 월간사진 에디터 박이현(@2_hyoni_)


# 회화 같은

사실 내 사진이 회화 같다고 생각한 적이 없다. 그러한 느낌을 내기 위해 의도한 것도 없고. 그런데도 보는 이가 그렇게 느끼게 된 이유를 추측해보면, 첫 번째로 그림 그리기는 어린 시절부터 좋아하고, 친숙한 창작 활동이었다. 두 번째로 낭만주의와 인상주의 화풍, 그리고 옛날 일러스트를 선호하는 취향이 은연중에 반영됐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단순한 기록을 넘어, 작업 목적으로 사진을 찍기 시작했을 때 시를 읽고 난 뒤의 감상을 바탕으로 촬영했던 것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싶다. 지금은 일상과 자연 속에서 느끼는 감정, 그리고 그들과 이어지는 기억 등에서 소재를 얻고 있다.



# 나를 드러내기

빛의 변화, 계절의 향기 같은 단면은 다양한 감정을 유발한다. 그러나 이를 외부로 표출하는 일은 드물다. 사진은 이러한 내면을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게 한다. 즉, 사진은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이자, 내 존재를 드러내는 유일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비전공자인 내가 사진 작업을 대중에게 보여주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온라인’이었다. 처음에는 페이스북을 이용했다. 하지만 인스타그램이 시각적 요소에 더 특화된 플랫폼이고, 사람들 반응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어 이곳에 사진을 집중적으로 올리고 있다. 인스타그램 덕분에 사진집도 출판할 수 있었다.


#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대중은 예술을 친숙하게 접할 수 있게 됐고, 창작자는 대중과 쉽게 소통할 수 있게 됐다. 코로나 이후 내가 공유한 사진에 언제 어디서나 반응하는 사람이 있다는 데서 위안을 받는다. 그러나 이는 ‘인스턴트성 소비’라는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한다. 온라인으로 작품을 보는 것을 ‘감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 단순히 스크롤을 내리면서 ‘좋아요’를 누르는 것이 아닌, 눈과 마음으로 느끼는 감상. 스크린 너머의 픽셀보다 물리적 거리와 형태가 주는 힘이 더 강하다고 생각한다. 이 때문에 예술가와 대중 모두 작품 감상에서 아날로그 방식을 고수해왔던 것 아닐까. 어찌 됐든 온라인 매체는 언택트 시대 예술을 향유하기 위한 유일한 대안이 되었다. 그럼에도 예술 콘텐츠를 단발적으로 소비하는 인식에는 변화가 있었으면 한다.


# 디지털 vs 종이 매체

현대인의 일상에서 오프라인 작품 감상은 필요 이상의 일일지도 모른다. 언제 어디서든 예술 콘텐츠가 쏟아지니까. SNS에서 독자는 의지와 상관없이 게시물의 노출 대상이 된다. 반면, 인쇄 매체는 소비자가 직접 찾아 나서야 한다. 시간이나 금전적인 투자를 해야 감상할 수 있다는 말이다. 상호작용면에서도 둘은 차이가 있다. 창작자는 오프라인에서 선보이는 작품의 메시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인다. 종이 재질, 조명 등의 요소는 감상자의 감각을 자극하고, 색다른 감동으로 이끈다. 이런 이유로 내 작업을 실체적 형태로 접하려는 노력과 관심이 뜻깊게 다가온다.




매거진의 이전글 보랏빛, 동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