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냥 재미있게 보고 끝내기 힘든 이유
넷플릭스 화제작 <더 글로리>와, 지상파 TV 드라마 <모범택시> 간에는 커다란 공통점이 있다. 두 작품의 서사 모두 '복수'가 핵심이라는 사실. <더글로리>는 학폭 가해자들을 차근차근 무너트리고, <모범택시>는 다양한 범죄자들을 옴니버스 식으로 단죄한다. 빌런들의 악행에 분개하던 시청자들은 주인공의 복수를 지켜보며 속이 뻥 뚫리는 쾌감을 느낀다.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 <더글로리>와 <모범택시>의 주인공들은 사법 체계 밖에서 복수한다. 기존의 법질서나 권력으로는 응징하기 힘든 가해자들을 처벌하기 위해 초법적인 수단을 동원하는 것이다. <더글로리>의 주인공 문동은은 오랜 세월 쌓아 올린 치밀한 전략과 인맥을, <모범택시>의 주인공 김도기는 뛰어난 격투술과 특수 장비, 동료들을 통해 악에 맞선다.
살면서 복수심이라는 감정을 한 번도 느껴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드라마 속 피해자들처럼 극단적인 처지에 놓이는 게 아니라 해도 타인에게 분노하지 않기란 쉽지 않은 세상이다. 자신이 직접 겪는 일이 아니라 해도 - 이를테면 각종 매체를 통해 흉악 범죄자들을 접하는 경우 - 우리는 종종 피해자의 입장에서 ‘복수’를 생각해 보게 된다. 하물며 어떠한 형태로든 물리적, 정신적 피해를 입은 경우라면 가해자들도 똑같은 고통을 받길 바라는 마음이 생기지 않을 리 없다.
끔찍한 피해를 입고 악에 받친 사람에게 복수심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느니 하는 말은 그야말로 ‘한갓진’(더 글로리에서 동은이 종종 쓰던 어휘) 소리다. 가해자가 처벌이라도 제대로 받는다면 모를까, 적반하장의 태도로 활개치는 세상에서 피해자들은 2차, 3차 피해로 고통받기 때문이다. <더글로리> 속 동은의 고데기 자국과, <모범택시> 속 김도기의 호루라기 트라우마는 피해자들의 처절한 고통을 압축적으로 담아낸다. 가해자들의 처벌이 곧 치유법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처벌을 배제한 채 아픔을 달랠 길은 도저히 없어 보인다.
복수 판타지가 각광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피해자들의 억울한 사연은 드라마를 통해 생생히 묘사되어 시청자들의 분노를 일깨운다. 특히 <더글로리>와 <모범택시>의 사례들이 실화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극 중 유명 배우들이 실제보다 더 실제 같은 재연을 펼침으로써 웰메이드 드라마는 부조리한 사회를 고발하는 기능까지 수행하는 것이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드라마를 통해 재미와 흥미 이상의 공감과 위안을 얻는다. 다큐멘터리 방영은 사실을 드러내는 이상을 해내기 힘들지만, 드라마 방영은 철저한 응징이라는 통쾌함까지 덤으로 제공하는 덕분이다.
아! 왜 없는 것들은 인생에 권선징악, 인과응보만 있는 줄 알까?!
<더 글로리> 속 대표 빌런 박연진의 대사다. 권선징악, 인과응보식 전개를 내심 바라지 않던 시청자조차 속이 부글부글 끓을 만하다. 더욱이 요즘 드라마는 뻔하고 고리타분한 스토리를 펼치지도 않는다. 극적인 우연은 보다 자연스러워졌고, 처벌법과 조력자들은 보다 참신해졌다. 무엇보다 주인공은 능동적으로 삶을 개척하며 가해자들에게 당당히 맞선다. 90년대 드라마의 문동은이었다면 박연진 앞에서 울다가 재벌 남자 친구의 손에 이끌려 나왔겠지만, 2023년의 문동은은 "입을 찢어버려야 하나?"라며 직접 응수한다.
<모범택시>의 김도기가 깡패들을 뚜까 패는 장면도 속이 시원하기는 마찬가지다. 사기캐라고 해도 좋을 정도의 압도적인 실력으로 가해자들을 처벌하는 모습에서 시청자들은 복수의 쾌감을 짜릿하게 소비한다. 피해의 서사는 사실적이라 해도 극적으로 와닿는 반면, 복수의 서사는 극적이라 해도 사실적으로 와닿는다. 피해의 아픔까지 두 눈 크게 뜨고 지켜보기엔 마음 여리지만 복수의 기쁨만큼은 함께 즐기고 싶은 사람들이 대다수 아닐까? 복수 드라마들은 바로 이러한 사실과 극의 혼동을 통해 시청자들의 스트레스를 해소해 주고 있다.
어제도, 오늘도 뉴스는 온통 큰소리치는 가해자들 소식이다. 수십, 수백억 원을 횡령한 이들이 법을 운운하고, 뒤가 구린 정치인들은 시도 때도 없이 국민을 입에 담으며 자기들끼리 헐뜯는다. 입에 담기조차 어려운 짓을 저지른 범죄자들이 단 몇 년의 형기를 마치고 출소한다는 소식이 들려올 때면 적개심 이상의 혐오감마저 느껴질 때가 많다.
복수가 드라마에서만 이뤄지지 않고 현실에서 작동하기를 바라는 건 지나친 바람일까? 가해자의 기본권을 보장한답시고 피해자의 인권을 유린하는 법이 존재한다면 수긍해야만 하는 걸까? '눈에는 눈, 이에는 이' 함무라비 법전을 과격한 고대법으로 치부하기에는 세상이 너무 혼탁해진 게 아닐까?
흥행 드라마의 완결에 손뼉 치고 끝내기에는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는 새로운 피해 소식들로 심란한 마음이다. 이제 하버드대에서 '정의란 무엇인가' 다음으로 '복수란 무엇인가' 강의가 나올 때도 되었지 않나 싶다. 감정적인 대처가 사회를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게 한다는 보장은 없겠지만, 어쩌면 우리는 드라마를 통해 현실 너머의 감정적인 연대를 꿈꾸고 있는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