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형준 Jul 16. 2021

장모님 감사합니다

밥상머리에서 배운 것들

“자기야, 지금 엄마한테 연락받았는데 보민이가 열이 많이 나서 지금 응급실에 있다고 하네.”

“뭐! 응급실? 왜? 열이 얼마나 났는데?”

“몰라 정확한 건 가봐야 알겠지. 일찍 올 수 있어?”

“알았어. 서둘러 갈게.”

병원으로 오는 동안 보민이는 응급실에서 1인실로 옮겼고, 아내가 지키고 있었다. 의사를 만난 아내는 하루 정도 지켜보며 몇 가지 검사를 해봐야 정확히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장모님은?”

“내 얼굴 보고 집으로 가셨지.”

“장모님이 많이 놀라셨겠네.”

“병원에서 엄마 보고 깜짝 놀랐다. 집에서 입고 있던 옷에 슬리퍼만 달랑 신고 있더라고.”

“정말? 이 추운데? 정말 놀라셨나 보네.”  

보민이가 태어난 지 60일쯤 지난 1월 중순에 일이었다. 오전 내 멀쩡하던 아기가 오후가 되면서 열이 나더니 해열제를 먹였는데도 40도까지 올라 무조건 들쳐 엎고 응급실로 뛰었다고 하셨다. 아기가 찬바람을 맞을까 봐 아기용 담요만 덮은 채로.    

   

칠순을 앞둔 장모님은 막내딸 부탁에 망설임 없이 옷가방 하나만 들고 와주셨다. 2남 2녀를 키웠지만 다시 갓난아기를 돌보는 건 쉬운 선택은 아니었다. 그래도 막내딸에 대한 애틋함 같은 게 있으셨는지 어떤 조건도 없이 한 달음에 와주셨다. 그 덕분에 아내는 계속 일을 할 수 있었다. 장모님도 막내딸이 한참 일할 수 있는 나이에 아이 때문에 쉬어야 하는 걸 못마땅해했다. 그런 마음도 결정하는 데 한몫했을 거라 짐작만 할 뿐이다. 솔직히 아직도 장모님이 어떤 마음으로 결정을 하셨는지 모른다. 장모님은 큰 아들이 세 딸을 키울 때도 육아에는 일절 관여하지 않았다. 큰 아들이 서운함을 느낄 만큼 전혀 도움을 안 줬다. 그래서 우리가 부탁을 했을 때도 큰 기대를 하지 않았다. 기꺼이 돌봐주겠는 대답을 듣고도 장모님이 어떤 마음이었는지 알 수 없었다. 그래도 8년 동안 두 아이를 건강하게 키울 수 있었던 건 모두 장모님 덕분이었다.       

  

장모님은 말수가 적으셨다. 실없는 농담도 안 하신다. 나도 말수가 적다. 특히 집에서는 더 말이 없어진다. 장모님이 아이를 봐준 8년은 잦은 이직으로 직장 생활도 불안했던 때였다. 바깥일이 잘 안 풀린다는 핑계로 집에서는 입을 닫고 있었다. 둘러앉아 저녁을 먹어도 농담 한 마디 없이 묵묵히 밥만 먹었다. 장모님은 맞벌이를 하는 우리를 위해 매일 저녁 반찬을 준비해주셨다. 보민이 낮잠 자는 동안 반찬 한두 가지를 매일 준비해 주셨다. 그러니 아내도 퇴근하면 살림 대신 보민이를 돌보는 데 더 집중할 수 있었다. 매일 저녁을 준비하는 장모님을 위해 가끔은 배달 음식을 먹기도 했다. 보쌈 한 접시 시켜놓고 막걸리 한 잔을 먹는 게 유일한 술자리였다. 내가 유일하게 말수 느는 때가 술자리이다. 마시는 술의 양에 비례에 말 수도 늘어난다. 그렇다고 장모님 앞에서 취할 정도로 마실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래도 막걸리 한 잔 먹고 용기 내 말을 건넸다. 익숙하지 않은 대화라 낯선 기운이 감돌았다. 순간의 어색함을 참을 수 없었다. 결국 몇 마디 못하고 조용히 보쌈만 집어 먹었다. 살가운 사위가 되겠다는 다짐의 말도 했지만 함께 사는 동안 처음보다 가까지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장모님은 퇴근 한 우리가 아이를 보기 시작하면서 혼자만의 시간을 가졌다. 혼자만의 시간이라고 특별한 걸 하는 건 아니었다. 매일 같은 시간 방영하는 일일 드라마를 즐겨 보셨다. 그 시간은 누구에게도 방해받고 싶지 않으셨다. 짐작컨대 장모님의 일과는 저녁에 보는 드라마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것 같았다. 저녁을 먹든 안 먹든 그 시간이면 어김없이 TV 앞에 있어야 했다. 그 때문에 아내와 나도 빼놓지 않고 드라마를 챙겨봤다. 두 아이도 커갈수록 드라마에 빠져들고 있었다. 드라마를 빨리 배운 건 둘째 채윤이었다. 채윤이는 유난히 장모님을 잘 따랐다. 보민이는 아내와 내 성격을 닮아 조용했지만, 채윤이는 정 반대였다. 말도 많았고 늘 활기찼다. 그런 성격이 장모님과도 잘 맞았다. 늘 옆에 붙어서 장모님이 보는 걸 똑같이 보고, 본 대로 따라 했다. 그런 채윤이를 지켜보는 게 장모님의 낙인 것 같았다. 장모님은 또 시간이 날 때면 늘 책을 읽으셨다. 잠들기 전이나 아이를 보지 않아도 되는 휴일엔 어김없이 책을 읽으셨다. 여느 부모와 마찬가지로 아이가 책을 읽기 바라는 마음으로 월급의 반을 털어 전집을 장만했었다. 결국 장모님을 위한 전집이 되었다. 늘 방에서 두 발을 뻗어 포개고 그 위해 책을 올려놓고 보셨다.    

 

친구도 없고, 돈벌이도 할 수 없는 곳에서 그저 막내딸을 위해 손녀를 돌보겠다는 마음 하나로 8년을 함께 했다. 당신의 아이를 키울 때와는 많은 게 달라졌다. 편하지 않은 사위 눈치를 보는 게 아이를 키우는 것보다 더 힘들었을 수도 있다. 낮에 일하느라 고생하는 딸과 사위에게 따뜻한 밥 한 끼 챙겨 주기 위해 매일 반찬을 만든 것도 만만하지 않았을 거다. 갓난아기가 당신 때문에 어떻게 될까 봐 늘 노심초사하셨을 거다. 내복을 껴입어도 추운 날씨에 티 한 장 달랑 입고 병원까지 정신없이 뛸 땐 모든 게 당신 탓인 것 같았을 거다. 8년 동안 한 결 같은 정성으로 두 아이를 키워주신 덕분에 아내와 나도 걱정 없이 직장생활을 할 수 있었다. 두 아이에게 한글을 일찍부터 가르친 덕분에 또래보다 말이 빨랐던 것도 감사한 일이다. 퇴근 후 몇 시간 보는 것도 쩔쩔맸던 우리가 장모님 도움 없었다면 지금처럼 잘 키울 수 있었을지 의문이다. 개인적으로 이렇게 고마운 장모님께 좀 더 살갑게 대하지 못했던 게 여전히 아쉬움으로 남아있다. 사위는 손님이라는 보이지 않는 벽이 여전히 가로막고 있는 것 같다. 벽은 언제든 허물 수 있다. 의지만 있다면.

매거진의 이전글 둘째가 태어나던 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