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제 May 19. 2022

말할 엄두가 나지 않는 주제에 대해서

매일 발행 46일차

매일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이날을 그냥 넘겨도 될지 고민하게 되는 날이 있었다. 4월 16일이 그랬고, 5월 18일 오늘이 또 그랬다.


내가 상상할 수도 위로할 수도 없는 고통에 대해, 무거운 역사적 사건에 대해 말할 용기도 없고 감히 할 말도 생각나지 않았던 것이다. 진상을 규명하고 오월 정신을 이어받기 위해 내가 딱히 한 일도 없는데, 말뿐인 소리를 하는 게 부끄러워서. 하지만 아무리 말뿐이라도, 기억하고 있다고 손이라도 드는 사람이 많을수록 좋을 것 같아 짧게 남겨본다.


올해 초, 드라마 <오월의 청춘>을 보고 슬픔에 빠졌었다. 명희가 숲속에서 홀로 죽어가며 풀벌레 소리를 듣던 장면, 자신만만하고 장난기 많던 희태가 명희를 잃은 뒤 혼자 남아 바다로 걸어들어가던 장면, 41년 후 명희의 유골을 찾았다는 소식을 듣고 청년의 모습으로 돌아가 울던 장면을 생각하면 지금도 울컥해진다.


이런 이별이 얼마나 많았을지, 얼마나 더 참담한 사연이 많을지, 얼마나 많은 분들이 지금도 그 흉터를 가지고 살고 있을지 생각하면 기가 막힌다. 세상이 어떻게 이럴 수가 있지? 어떻게 몇몇 권력자의 힘으로 이렇게까지 큰 비극을 만들 수가 있지? 어떻게 전두환이 끝까지 잘먹고 잘살다 죽을 수 있지?


나라면 그런 잔인한 학살에 맞서서 싸울 수 있었을까. 나는 지금 그 무엇과도 싸우지 않는 사람이 되어버린 것 같다. 누가 밟으면 '빨리 밟고 지나가라' 생각하며 그냥 엎드려 있을 태세다. 그런 겁쟁이로서, 목숨바쳐 싸운 광주 시민의 저항정신이 더 존경스럽다. 앞으로 내가 이 땅의 민주주의에 기여할 자신까지는 없지만, 글 쓰는 사람으로서 무거운 주제를 마냥 피하지만은 말자는 정도의 작은 다짐을 해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넌 얼마나 쓰니' 5년차 유저의 활용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