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인기 Jun 25. 2019

인문계 직무 길잡이 (1) 시작하며

직장 -> 산업별 조직/기업문화 -> 다음은 직무이다. 



대기업 연수원에서의 근무가 유익했던 것 중 하나는 다양한 임직원들을 만나 그들 업무의 세부사항을 듣고 고충 등을 알게 된 것이다. 또, 여러 신입사원들이 배치, 이동, 직무순환하는 모습을 보면서 조직과 직무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접하게 되었다. 회사를 나와 다양한 직장인들을 만나 그들의 조직과 직무에 관하여 이야기를 나누면서 신기했던 것은 타대기업, 중견급기업, 공공기관까지 여러 사람들이 조직과 직무에 관한 나의 이야기에 공감했으며 기업/정부 및 공공기관, 제조업/금융업 모두 스탭조직과 직무의 기본적인 틀은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렇고 보면 직장은 사람이 근무하는 곳이고 사람들이 모이는 조직 속에 결국 사람은 비슷한 생각을 하는 것 같다.      


요즈음 구글 등과 같은 에자일 조직, 셀 조직 등 작고 유동적인 조직으로 구성된 기업들이 많이 있다. 그러한 조직은 제품이나 컨텐츠를 기획하는 부서, 개발하는 부서가 주를 이룰 뿐 스탭 부서나 매출과 물량을 관리하는 영업/마케팅부서는 대부분의 회사가 큰 틀에서 비슷함을 볼 수 있다. 이는 금융업 또한, 금융관련 매출과 금융상품을 운영/관리하는 것만 다를 뿐 대부분의 조직/직무는 대동소이하다. 물론 기업이 취급하는 세부적인 제품(컨텐츠, 금융, 물리적 형태를 지닌 제품)에 따라 그 문화와 분위기, 성격은 다르지만 기업을 운영, 관리하는 스탭부서, 영업/마케팅부서는 명칭만 다를 뿐 대부분 비슷한 조직의 형태를 띠며 비슷한 업무를 수행한다. 

     

이제까지 강조한 이 부분에 관하여 개념이 생기게 된다면 조금 더 높은 위치에서 조직을 바라보고 세부 조직이 어떠한 업무를 수행하는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첫 번째 자신이 지원하는 또는 속해있는 조직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앞으로 자신이 나아갈 수 있는 방향에 관하여 예견해 볼 수 있다. 

두 번째 직무순환 또는 전환을 할 때에 방향을 설정하여 커리어를 관리할 수 있다.      


이공계의 경우 대학의 전공이 정해지면 그에 따른 기업의 산업군이 정해지고 회사와 회사내 조직도 어느 정도 정해진다. 기계공학, 건축공학, 전자전기 관련 전공을 한 사람들은 해당 전공을 많이 채용하는 회사가 어느 정도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문/사회계열은 조금 상황이 다르다. 기업마다 스탭, 영업, 마케팅, 구매, 총무 등의 인력들은 어느 회사나 필요로 하다. 그리고 그 조직 구성도, 하는 업무(직무)들도 비슷하다. 


앞으로 몇 회에 걸쳐 인문계 직무에 관하여 전체적인 틀과 세부적인 직무를 사례와 더불어 이야기하고자 한다. 영업, 마케팅, 인사, 재무, 구매, 홍보, 기획 등 인문계 직무별 조직의 형태와 업무 등에 관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아마 대학교 때 배웠던 직무와 앞으로 설명하는 실질적인 내용이 많이 다를 것이다. 부디 본 글들이 여러분들이 현재의 위치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 본 브런치의 글을 강의영상으로도 만들었습니다. 

https://youtu.be/27n_V7xhYBU

이전 10화 산업별 기업문화 (6) 마무리하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