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진심과 열심 Dec 11. 2023

1,768페이지의 의미

나는 과연 그만큼 성장했을까?

1,768페이지는 내가 올해 만든 책 페이지의 총합이다. 최근에 마감한 책까지 올해 총 6권의 책을 편집했다. 국내서 3권, 외서 3권. 누군가에겐 이 6권이 많게 느껴질 수도, 적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결코 만만치는 않았다. 최소 2달에 한 권을 만들었다는 의미니까. 게다가 뒤에 세 권은 거의 한 달 간격으로 연달아 완성했던 거 같다.


348 + 340 + 288 + 216 + 324 + 252= 1,768쪽. 올해 책은 신기하게도 6권 모두 띠지를 제작했다.


여섯 권이 내게 선물해준 경험

책 만드는 일의 장점 중 하나는 작업의 결과물을 물성으로 만질 수 있다는 거다. 이렇게 매해 마지막 책까지 실물을 손에 쥐고 나면 만감이 교차한다. 올해도 결국 무언가를 만들어냈다는 안도감과 함께, 내 한 해의 많은 시간이 여기에 담겨 있구나 싶어서.     


올해 마감한 책은 경제경영, 자기계발, 인문, 에세이 분야를 아울렀고, 책의 주제 또한 브랜드, 조직, 말투, 독서, 심리, 여성으로 다양했다. 연차가 쌓이면서 조금 더 손이 가는 분야의 책이 생기지만, 그럼에도 매번 새로운 주제의 책에 도전하고 싶은 마음이 꿈틀댄다. 편집자는 기획 단계뿐만 아니라 초고를 피드백하며 원고를 완성해가는 과정 그리고 최종 원고 단계에서도 거의 두 달 동안은 해당 책을 집중해서 편집하기에 그 주제에 깊이 몰입하게 된다.

언제부턴가 ‘많이 팔리는 책을 만들어야지’ 하는 욕심 한 편엔 ‘만드는 시간 동안 많이 배우고, 즐겁게 작업하며, 그 시간이 내게도 의미 있게 남았으면’ 하는 바람이 크다. 이렇게 책을 만들면 관심사도 경험도 확장된다. 책에 소개된 물건을 직접 따라 사보기도 하고, 원고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내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최대한 경험해보려고 한다. 내가 깊이 이해해야 실수 없이 전할 수 있을 거란 믿음에서.      


올해 6권은 내게 이보다 더 큰 의미가 있다. 나와 첫 책을 출간하신 작가님의 후속작을 작업해보았고, 힘들었던 나와 동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기획한 책도 있고, 꼭 한번 전하고 싶었던 주제의 책도 있으며, 적극적인 편집을 시도한 책도 있고, 많은 우여곡절 끝에 결국 세상에 내보낸 책도 있고, 디자이너님과의 좋은 케미로 기대보다 훨씬 만족스럽게 완성된 책도 있다.    

  

이 일을 시작하기 전에, 업계의 원로 같은 출판사 대표님께서 “한 권의 책을 만드는 과정은 마치 패션 디자이너가 패션쇼를 준비하는 과정과 비슷하다”고 말씀해주셨는데, 마감할 때마다 이 생각이 났다. 마감 데이터를 올리고 그간의 과정을 떠올리면 완성된 결과물이 놀랍기만 하다. 이 길 저 길 미지의 세계를 막막히 탐험하다, 나침반을 습득해 한 방향을 따라 열심히 달려가다, 다행히 종착지를 찾아 무사히 안착한 느낌이다. 중간에 기분 좋은 우연도 만나는 힘들지만 설레는 모험 같다. 


한 글자에 밴 열심

작업한 책의 모든 페이지는 내게 특별하다. 매 페이지를 잘 구성하려고 노력했고, 컴퓨터 화면으로 교정본 것을 제외하고도 원고를 디자인해서 앉힌 후에도 최소 3번 이상은 읽으며 교정교열을 보았다. 교정지를 본다는 건 책을 읽는 감각과는 다르다. 오타도 없어야 할 뿐만 아니라, 한 문장이라도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없도록, 되도록 쉽게 읽힐 수 있도록 노력한다. 때문에 이 1,768페이지에는 한 문장, 아니 글자 하나하나에도 내가 애쓴 흔적이 담겨 있다. 다른 사람은 몰라도 내가 안다. 나에겐 치열한 전장이었음을. 끝내 타협하지 않았음을.  


책 만드는 일의 기쁨과 슬픔

책 만드는 일이 이전처럼 마냥 즐겁지만은 않다. 점점 팔리지 않는 책들을 바라볼 때면 슬프다. 공허하기도 하고. 서점 매대에서 결국 내가 만든 책이 빠져 있는 걸 마주할 때, 하루에 신간이 한 권도 팔리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자각할 때, 작가님의 오랜 인생의 결과물이 나로 인해 묻히는 거 같을 때 커다란 슬픔을 느낀다.

속상한 마음에 허덕이면서도, 신간이 나오면 매일 습관적으로 독자평을 검색한다. 구간도 주기적으로 독자평을 찾아본다. 이 책이 결국 누군가에게 어떻게 닿았는지, 나의 애씀이 과연 쓸모가 있었는지를 확인하고 싶어서. 그렇게 누군가에게 내 마음이 의미 있게 전달되었다는 걸 발견하면 뛸 듯이 기쁘다. 이렇게 누군가의 평이 지쳐 있던 나에게 커다란 용기를 건네준다. 아무 걱정 없이 다시 새롭게 시작해도 된다고.      


독자평 외에도 한 권 한 권엔 함께 작업한 사람들과의 몽글몽글한 추억이 배어 있다. 올해 한 디자이너님과 우연히도 3권의 책을 함께 작업했는데, 얼마 전 마지막 책을 마감하며 인쇄 감리를 볼 때 이 말씀을 드리니, 나보다 연차가 높은 디자이너님께서도 같은 편집자와 한 해 3권의 책을 작업한 건 처음이라고 하셨다. 누군가에게 처음인 사람이 되었다는 게 은근히 기뻤다. 내가 기획했을지언정 나 혼자 만든 책도, 나 혼자 애쓴 책도 없다. 만약 혼자서 작업했다면 지금보다 더 나은 형태로 만들어지지 않았을 거라고 확신한다. 각자의 애씀과 서로를 향한 응원이 연결돼 어엿한 한 권의 작업물로 완성되는 이 과정이 좋다.


정말로 나는 그 페이지만큼 성장했을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일이 수월하게 느껴지는 지점이 분명히 있다. 선배들이 해준 말은 사실이었다. 마감일에 긴장해서 점심도 못 먹던 내가 이제는 마감일에 강연도 듣는다. 이 책에는 충분한 시간을 쏟았다는 믿음이 있으니까. 올해 작업한 1,768페이지가 내게 어떤 의미였을까 곰곰이 생각해보니 각 페이지에는 나를 향한 꿋꿋한 신뢰가 담겨 있다.

요가매트 위에서 수련할 때, 근육이 몇 퍼센트가 붙고 유연성이 얼마나 길러졌으며, 마음이 얼마나 더 깊어졌는지 이런 수치를 계산할 순 없어도 그날 매트 위에서 애쓴 흔적은 스스로 새길 수 있듯이, 책을 작업할 때도 마찬가지다. 더 시간을 들였다고 누군가 알아주는 것도 아니고, 그 시간에 비례해 내가 얼마나 성장했는지는 모르지만, 분명한 사실은 조금 더 잘하고 싶어서 내가 많이 종종거리며 애썼다는 걸 알고 있다.

올해 더 기뻤던 건 예전 같으면 이 책들에 한 해 에너지의 80퍼센트 이상을 쏟았을 정도로, 일에만 지나치게 신경 쓴 해도 있었는데, 올해는 그렇지 않았다. 책도 열심히 만들었지만 ‘일상의 나’도 아끼며 지켰다.

사람도 인연이 있듯 책도 인연이 있다고 믿는다. 내년엔 또 어떤 책을 어떤 마음으로 만들게 될까. 거기서 또 어떤 경험을 하고 새로운 깨달음을 얻게 될까. 어떤 모험이 펼쳐질까. 적어도 회피하고 타협하지 않는 내가 되길, 지금처럼 꾸준히 마음 쓰고 애쓰는 내가 되기를 바란다.      

매거진의 이전글 지금 어떻게 물들어가고 있나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