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안녕 Oct 09. 2023

용인시 수지구 임장보고서 - 지역개요/호재

지역을 알아가는 재미

어서 와, 수지는 처음이지?


수도권 임장을 진행하면서 반드시 가야 할 곳 중 하나로 꼽히는 수지에 다녀왔다. 수지는 죽전/풍덕천동을 품고 있는, 분당 바로 아래, 수원 광교 신도시 바로 위에 위치한 곳. 지리적으로 신분당선을 이용할 수 있어 주요 업무지구인 강남에 30분 안으로 갈 수 있다는 것이 큰 메리트인 곳으로, 개인적으로는 분당에 들어가고 싶지만 가격 등 여러 컨디션으로 바로 진입할 수 없는 분들에게 제2의 선택지로서 할 만한 좋은 입지를 가진 곳이란 생각이 들어 임장을 가보기로 결심했다. 


예전엔 새로운 지역에 발을 디디는 것이 '굳이' 싶거나, 불편한 마음도 종종 들었었는데 이젠 즐겁다. 오, 여기는 이런 느낌이구나, 이건 평촌이랑 비슷하네, 오- 저런 건 처음 보는데? 하는 비교군들이 조금씩 생기면서 보는 재미가 더해지고, 언젠가 이런 좋은 집을 가질 수 있다면 좋겠네, 여기 사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생각해 보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지역과 집은 언제나 동기부여가 되고 알아내고 싶은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조금은 설렌 마음을 안고 지난 주말 수지에 다녀온 후, 지역개요를 정리해 봤다. 


용인시 수지구 임장보고서 - 지역개요/호재편 


1. 지리적 위치 

[7대 업무지구] 

최대 업무 지구 강남 직선거리 20km (교통수단 25km 내외) 1시간 이내 거리 

시청, 가디단 등 서울 주요 업무 지구와 1시간 내외 거리 

판교 업무지구와 9km 내외 근거리 

경기도에 위치해 있지만 주요 업무지구와 좋은 접근성  


[1기 신도시] 

분당과 인접 

평촌, 산본과 근거리 


[주변 도시]

의왕시, 수원시 장안구/영통구/기흥구, 성남시 분당구, 경기 광주시와 인접 


[나무위키 정보] 

수지구 이름 유래 = 수진면 + 지내면 

용인시에서 가장 먼저 개발, 도시화된 구 

업무 지구 베드타운 형태의 도시 

탄천, 경부고속도로를 따라 발전 


2. 수지구는 입지독점성이 있는 지역인가? 

경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죽전동 나뉨 

신분당선을 따라 생활권 발달 (그 외에는 산지, 녹지 지구) 

동천동, 신봉동 부근, 죽전동의 끝 부분은 산지가 포함되어 언덕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아파트 밀집 택지지구가 발달되어 있는 대부분의 동은 신분당선이 지나가는 좋은 교통 입지를 지님

빈 땅이 많지 않고, 있더라도 산지 사이사이 분포되어 있어 대규모 개발은 더 이상 힘들 것으로 보임 (= 입지독점성) 

선호도는 평지와 역세권인 풍덕천동이 가장 높을 것으로 생각됨   


[상권] 

각 생활권의 역 근처를 중심으로 상권 발달 

그 외 인접한 분당의 오리역 상권 등이 인접해 있는데, 전반적으로 분당에 비해 상권이 크지 않음 

= 외부 수요를 끌어들일 만한 상권은 아님 

(분임 해보니) 동천역 상권은 사실상 상권이라기보다는 물류센터가 몰려 있는 공업/기업지구에 가까움 


[주거] 

상권이 아닌 대부분의 지역이 아파트 가 밀집해 있음 

다른 구에 비해 빌라촌이 거의 없어 균질성이 높음 


[공업] 

수지에는 공업 지역 없음 


[생활권] 

경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우측 죽전동, 좌측 풍덕천/동천/성복동으로 크게 좌우로 나눠져 있음 


[녹지] 

상권, 주거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땅이 산 등의 녹지지역 

빈 땅이라 하더라도 사실상 개발이 어려울 것으로 보임 (= 입지독점성 있음)  

상권, 공업보다 주거 지역이 발달되어 있는 베드타운 형태 

지리적 위치 + 교통 강점이 가장 중요한 지역으로 생각됨 


3. 수지구 인구수 

[수지구 인구수] 

전체 인구수 1,090,907명 

경기도 28개 시(3개의 군 제외) 가운데 2번 째로 많은 인구수  

용인시의 세대당 인구수는 2.55

경기도 28개 시 가운데 2위 (과천시 > 용인시 > 의왕시 > 남양주시 > 안양시 > 광명시) 

경기도 평균 세대당 인구수 2.37보다 높은 편에 속함 

경기도 가운데에서도 비교적 가족 단위 가구가 많이 살 것으로 예상됨


[수지구 동별 연령별 인구] 

10/40대 완성형 가족 구성원은 풍덕천 2동, 신봉동, 성복동, 상현 1-2동 순으로 많을 것으로 예상 (대체적으로 세대당 인구수와 비슷한 경향) 

특히, 수지구청역과 인접해 있는 풍덕천 2동의 경우 35% 이상으로 높은 비율 차지  

영유아/30대 신혼부부의 경우 동천동, 풍덕천 2동, 죽전2동, 풍덕천 1동, 상현3동 순으로 구성 

신혼부부의 경우 강남과 좀 더 근거리에 있는 수지구의 위쪽 동네(동천/죽전/풍덕천) 근처의 역세권 위주로 거주 선호할 것으로 예상됨 (*평형 수도 작을 것으로 예상) 

그 외 60대 이상 인구의 경우, 성복동과 죽전 1동에 많이 거주 

실제 분임했을 때에도 성복동에 노인 많이 있었고, 죽전 1동에 정형외과/척추/보청기 등의 상권이 상당히 많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성복동은 수지구 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인 만큼, 완성형 가족 + 노인 연령대가 다양하게 많이 거주 


4. 수지구와 가장 영향을 많이 주고받는 도시 

경기 성남시, 수원시와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받음 

그 외, 서울의 1 급지인 강남/송파구와의 이동도 적지 않은 편 


[전입] 

경기 성남시로부터 가장 많은 사람들이 유입됨 

연령대의 경우, 유아/청년층보다는 30대 이상의 중장년층이 더 많이 유입됨 

성복동 등 큰 평수, 연령대가 높은 동으로의 전입이 많을 것으로 예상됨 


[전출] 

경기 수원시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나감 (성남, 화성으로도 많은 편) 

특히, 점차 좋아지고 있는 신축이 있는 수원 광교는 지리적으로 수지구 상현동과 인접하고 있어 근거리의 장점을 살려 나가는 사람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 

성남시의 경우, 좀 더 상급지인 분당구로 갈아타기를 하는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됨  


경기 수원, 성남, 화성, 광주시와 비교했을 때 수원/화성으로부터는 인구를 뺏기고, 성남/광주로부터는 인구를 얻음 (그러나 전체 규모로 봤을 때는 마이너스) 

서울 강남/송파구와의 이동 규모에 있어서는 전출보다 전입이 많은 편이고, 그 규모는 1만 내외 

상호 영향을 받는 도시들이 많고, 주기도 잦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대규모 새로운 단지가 생기거나 하는 등의 이슈를 잘 챙겨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음


5. 용인시 호재 - 용인플랫폼시티 (전문자료 하단 PDF 파일 첨부)


위치: 경기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일원 

목적: GTX-A 용인역 역세권 복합개발, 자족 도시 플랫폼 실현 

2024년 착공 예정, 2025년 하반기 용지 분양 공모(반도체 기업 입주 독려) 예정 

산업용지 44만 6431㎡ 

GTX-A 용인역 주변 30만㎡는 '역세권 복합단지 특별계획구역’ 사업 추진 검토 중 

주택 10,416 가구, 계획인구 28,125인 

단독주택 154세대 

공동주택 5,392세대 (공공/민간분양, 임대 포함) 

주상복합 4,870세대 (역세권 일원 특별계획구역 내)


위치상으로 기흥구의 호재지만, 수지구의 핵심 지역인 풍덕천동과 인접해 있는 곳의 호재이므로 풍덕천동을 중심으로 수지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호재라 예상 

IT 첨단산업의 입주가 예정되어 있어 입지 요소 중 직장, GTX-A 용인역을 거점으로 한 교통이 더 발달될 것으로 보이고, 이는 해당 호재와 인접한 풍덕천동, 그리고 수인분당선으로 해당 지역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죽전동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내년 착공 예정으로 시간이 좀 더 소요될 것으로 생각되는데, 어떻게 변할지 살펴볼 필요가 있음 


좀 더 알아보고 싶은 수지구!

매거진의 이전글 서울시 강동구 입지 분석 - 직장/교통/학군/환경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