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잼인 Oct 09. 2021

"남자 같은" 이름

남자가 아니라 실망한 모두에게

“정재민~”

학교에서 선생님이 출석을 부를 때마다 남자애들 쪽을 보곤 했다. 그때마다 나는 지겹다는 표정으로 손을 들었고, 선생님은 “아, 이름 보고 남자인 줄 알았네.”라고 했다. 학년마다, 첫 수업시간마다 같은 상황이 연출됐다. 


“이름을 왜 이렇게 남자같이 지었어?”

어릴 때 엄마에게 투덜대며 물어본 적이 있다. 엄마는 처음엔 할머니가 작명소에 가서 받아온 이름이라고 답했다. 기가 세서 이름은 뜻이 없어야 한다더라고(내 이름의 한자를 풀어보면 “옥돌이 있다.”라는 뜻밖에 없다). 의문은 풀렸으나, 기가 센 게 도대체 왜 안 좋은 건지 이해할 수는 없었고, 이름을 그렇게 지어서 내가 이렇게 소극적이고 온순한 거 아니냐며 탓했다.


머리가 크고 나서, 엄마는 또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내 이름이 남자 같은 건 사실 할머니가 아들을 바라는 마음도 좀 있었기 때문이라고. 아하! 커오면서 “남자 같은” 이름의 여성들은 대부분 그런 비하인드를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기에 어느 정도 예상은 하고 있었다. 하지만 역시 한 사람의 이름에 다음 사람의 성별을 바라는 염원이 들어간다는 건 기분이 나빴다. 할머니는 손자가 아닌 손녀를 얻게 되어 느낀 실망감을 내 이름에 고스란히 녹여냈으니까. 나와 마찬가지로 딸로 태어난 많은 여성의 이름엔 누군가의 실망이 담겨있다. 


출석부를 체크하는 시기가 지나면 이름 때문에 짜증 날 일은 없겠지 싶었으나, 성인이 되고 나서도 계속되었다. 첫 출근을 하던 날, 선임 팀원이 나에게 이렇게 말했다. “이름만 보고 남자인 줄 알았는데...” 순간 그의 표정과 말을 흐리는 것에서 실망감을 읽었다. 밑에 남자 신입직원이 들어올 거고, 힘쓰는 일을 시킬 수 있다는 근거 없는 기대감에 부풀어있던 그는 내가 여자라는 사실에 맥이 탁 풀린 듯했다. 그의 무례한 반응에 불쾌했지만, 동시에 그런 그를 실망하게 했다는 쾌감도 있었다. 


오프라인 독서 모임에 갔을 때도 매번 이런 일이 있었다. 여성 비율이 높았던 모임이어서 남성 참여자들이 내 이름을 보고 ‘동지가 있구나’하는 안도감을 안고 참석했더랬다. 하지만 와 보니 정재민이라는 사람은 여자였고, 내가 자기소개를 할 때마다 그들의 동공은 흔들렸다.  내 소개가 끝나면 그들은 본인 말고도 남자가 있어서 맘 편하게 왔다며 이 반전에 아쉬움을 표했다. 그럴 때마다 나는 그들의 실망감을 비웃기라도 하는 것처럼 어깨를 으쓱하며 씩 웃었다.    


제멋대로 나의 성별을 기대하고, 실망하고, 그리고 실망감을 감추지 않고 드러내는 사람에게 화가 나지는 않는다. 다만, 편협한 상상력과 조심성 없는 사회성이 안타까울 뿐... 덕분에 나는 그들에게 메롱 하는 기분을 즐길 수 있지만 말이다. 할머니의 실망에서 탄생한 나의 이름은 누군가에게는 실망감을 주는 이름이 되었고, 그 이름의 주인인 나는 그 실망감을 즐기는 사람이 되었다. 참, 내 뒤로는 아들이 태어나지 않았다. 그러니까 할머니가 내 이름에 담았던 기대는 이뤄지지 않은 거다. 


끝으로, 아들이 태어나지 않아 실망한 할머니와 남자가 아니라 실망한 모든 분들께 고합니다. 메롱!

         

매거진의 이전글 내가 마동석이었다면 좋았을 텐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