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재니정 Mar 10. 2019

공구로운생활의 '유통'

[#2] 산업용품 분야의 유통구조는 어떻게 될까?

출처: Pixabay

공장이 왜 모여있는지 아시나요?

만약 파이프를 만든다고 가정해볼까요? 파이프를 한 기업이 모두 해내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파이프를 만들기 위한 원자재를 수입하는 기업, 그 원자재를 일정한 함유량이 들어간 철자재로 가공하는 기업, 그 철자재를 녹여 파이프를 만드는 기업 등 파이프를 만들기 위한 공정들을 각자 도맡아 하는 기업, 공장들이 형성이 시작합니다. 그리고 효율적인 이동을 위하여 서로 가까이 위치하게 되었죠. 이렇게 70년대 산업화 시대부터 하여 제조 공장은 거대한 공단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공단 속의 수많은 공장들이 효율적으로 돌아가려면 각종 부자재들이 필요합니다. 수공구, 전동공구부터 하여 안전용품, 테이프, 비닐 등이 정기적으로 공급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단에 한두 개씩 거대한 유통상가단지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이 시장이 바로 소모성 기업자재(Maintaince, Resource and Operation), 공구유통상가가 입니다. 청계천, 구로, 인천 남동, 안산 반월, 시흥 시화 등 우리가 조금이라도 들었던 공단에 하나쯤은 다 있죠.


**소모성 기업자재에 해당하는 것들

공구, 수공구, 볼트, 와이어, 측정기, 포장재, 연마석, 전구, 청소용품, 사무용품, 윤활유, 공구 수리, 안전 작업복, 안전화, 마스크, 개스킷, 테이프, 캐스터(바퀴) 등


공구들만 해도 종류는 수만 가지가 넘습니다. / 출처: ProAndroidDev


* 유통상가는 어떻게 형성되어있을까?

공구유통상가는 오프라인 쇼핑몰과 비슷합니다. 다만, 그 오프라인 쇼핑몰의 카테고리 별로 제품군이 나뉜 도소매상들이 아파트와 같은 상가 건물에 입주해있죠. 매일 이 상가에는 수천 대의 트럭이 들락날락거리며 산업용품들을 배송해줍니다. 이게 산업용품 시장의 가장 보편적인 구조입니다.


*산업용품 시장의 유통구조는 어떻게 되어있을까?

산업용품 시장도 다른 분야의 유통 구조가 비슷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산업용품 시장의 구조는 크게 5가지로 구분되며 순환합니다.




1. 제조공장

말 그대로 생산기계를 가지고 제품을 제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생산 효율성을 최우선으로 성장하려 합니다. 누구에게 판매하냐도 있겠지만, 우선 기존 수요를 맞춰나가기 위해 내가 얼마나 생산할 수 있는가를 초점에 두고 있습니다. 유통 능력이 되는 기업들은 2번까지도 하는 경우도 있죠.


특징- 생산성을 최우선으로 삼음, 생산기계를 두고 있음, 값싼 임대료를 위해 지방에 위치한 경우가 많음.


2. 총판(왕도매)

공장에서 제품을 대량으로 매입하여 판매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이들은 제품을 컨테이너, 컨테이너 별로 사입하여 창고에 넣어놓고 소매상에게 판매합니다. 가령 장갑이라면 장갑을 월 몇십만 개를 사입하고 이 장갑을 10,000개, 1,000개씩 소매상에게 판매하는 것이죠. 다만 이들은 많이 팔리는 제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제품군이 깊지 않고 넓습니다. 보편적으로 팔리는 제품들만 있습니다. 가끔 장갑과 같은 간단한 제품을 생산하기도 합니다.


특징- 이케아가 생각나는 물류창고가 있음, 보편적으로 팔리는 물건만 있음,


규모의 경제를 통한 저렴한 매입이 총판의 경쟁력입니다. / 출처: 디쏘시스템코리아 블로그


3. 도소매

도소매는 공구상가에 있는 상가들을 생각하면 됩니다. 이들은 컨셉에 맞춰서 그 컨셉에 맞는 제품들을 구비해놓기 때문에 제품군을 물론 좁고 깊습니다. 만약 와이어브러쉬를 판매한다면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모양과 내/외경 사이즈 별로 디테일하게 구비를 해놓는 것이죠. 이들은 가게에서 판매를 하거나 공장에 물건을 갖다 주는 납품업을 같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도소매가 규모가 커지면 2번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특징 - 카테고리화한 제품을 디테일하게 구비, 납품 배송도 같이 함, 공구상가에 입주


 구로 기계공구상가 / 출처: 향토문화전자대전


4. 소매

소매는 동네 철물점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주택가, 번화가에 위치하여 그 주위 소비자를 위한 제품들을 판매합니다. 그 지역에 커스터마이징되어 다양한 제품을 구비하고 있는지, 그 지역 소매자와 어떤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는지가 경쟁력이 돕니다. 가격은 3번보다 비싸지만 지리적 위치에서는 우위를 가집니다.


특징 - 동네 철물점, 지리적 위치 장점, 로컬이 경쟁력


5. 최종소비자

말 그대로 최종으로 구매하는 소비자를 말합니다. 다만, 산업용품 분야에서는 제조업이 되겠죠. 결국 이 5번이 1번이 될 수도 있습니다.


6. Featuring: E - Commerce

위 5가지의 구조가 무너지고 있는 가장 큰 요인입니다. 1-5번까지의 모두가 이커머스로 소비자에게 직접 다가가려고 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가격, 물류, 배송 경쟁으로 치킨 게임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산업용품 시장에 100% 적합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에)



다음과 같이 산업용품 시장을 단순한 구조로 알아봤습니다. 이 밖에 MRO기업, 가공 정밀, 대리점, OEM 등 다른 구조도 있습니다. 이 구조는 산업용품뿐만 아닌 다른 산업분야에서도 통용될 구조라 생각합니다. FINE





공구로운생활 홈페이지

공구로운생활(정사장의공구창고) 네이버스마트스토어 바로가기

공구로운생활 페이스북

매거진의 이전글 공구로운생활의 '철학'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