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인문학의 상호보완적 관계
인문학과 기술은 보통 상반된 개념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인문학과 기술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은 그 자체로 정확한 분석과 비즈니스 규모를 바탕으로 개발, 창조, 생산하는 반면에 인문학은 교육, 예술, 역사, 철학, 심리학 등 인간의 심리적, 문화적 영역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두 분야는 매우 서로 다른 영역이지만 최근에는 기술과 인문학이 상호보완적인 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술은 때때로 윤리적 문제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적인 지식과 관점이 필요합니다.
또한,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문학적인 연구나 예술 활동에서 이를 활용하는 경우도 매우 많아지고 있습니다. 기술을 이해하면서 대화하고, 사고하는 역량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데 이것은 인터넷과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인문학 분야에서는 복잡한 인간 문제에 대한 탐구와 해결 능력을 발전시켜서 기술 분야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인문학과 기술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간의 지식과 경험을 나누어가며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문학의 중요성은 인공지능은 일반인공지능 A.I.(Artificial Intelligence) 외 범용인공지능으로 불리는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AGI)의 빠른 성장 속도를 고려할 때 사회적으로 논의되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현재 큰 관심을 모은 오픈AI의 Chat GPT의 경우 문자생성이라는 한 분야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과거 이세돌 구단과 대결을 했던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는 바둑에 특화된 인공지능이었습니다. 이 둘의 공통점은 학습한 언어 및 바둑 등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답을 모방 또는 제시해낼 뿐 인간처럼 생각하고 해답을 낼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즉, AI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을 모방한 기계들이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반면 AGI, 범용인공지능은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지적 작업을 이해하거나 학습할 수 있습니다. AGI는 ‘보다 인간에 가까운 AI’로 인간처럼 생각하고 인간처럼 행동하는 것이 바로 AGI입니다. AGI는 인간과 같은 방식으로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의료, 교육,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고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고 하니 현재 우리가 상상하는 것 그 이상을 AGI가 보여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물론 단기간에 일어날 일은 아니지만 세계석학들은 10~20년 후면 지금 우리가 하는 일을 기계가 해결해 줄 것이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런 세상이 되면 인간이 필요로 하는 것은 바로 인문학과 철학일 것입니다. 우리는 더 깊은 사색과 생각의 자유를 누리며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지식을 찾아야 합니다. 인공지능 시대에는
우리 모두가 지금보다 더 가치 있는 일에 참여하고 예술, 문학, 철학, 과학 등 인간의 독특한 감성과 능력을 고양시킬 수 있게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 앞으로 다가올 문제는 더 복잡할 것입니다. 희박한 정보와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인간이 고양시킨 철학과 직관이 발휘될 수 있도록 인간에 대한 탐구가 다시 한번 힘을 내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