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빌라정보통 May 01. 2019

서울 동대문구 부동산 개발호재

‘청마용성(청량리+마포, 용산, 성동)’이라고 불려지다!

부동산 관련 유튜브를 보면 동대문구 아파트에 대한 이야기뿐입니다.

신축빌라에 대한 정보는 없는데요. 왜 동대문 신축빌라에 주목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체적인 지도를 보면 25개구를 5개의 권역으로 나눴을 때, 동대문구는 동북권의 중심부에 있습니다.

동대문구 행정동 지도를 보면 법정동 10개, 행정동 14개로 나눠져 있습니다. 용신동은 동대문구의 행정동으로 용두동+신설동이 법정동입니다.

동대문구는 녹지지역이 50%를 차지할 만큼 녹지지역이 넓습니다. 동쪽으로는 중랑천, 배봉산이 있습니다. 많이들 알고 계시는 청계천도 있으며, 익숙하지는 않지만 우리나라 최초의 수목원 홍릉수목원도 있습니다.

주요 편의시설로는 이마트와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이 분포되어 있으며, 동대문구의 가장 큰 특징으로 한약재시장인 경동시장과 약령시장이 있습니다.

동대문구의 자랑거리인 교통환경. 1호선, 2호선, 5호선, 6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작년 말에 개통한 분당선까지 있습니다. 분당선은 청량리역에서 선릉역까지 환승 없이 24분이면 이동이 가능합니다. 

동대문구는 동부간선도로, 내부순환도로를 포함하고 있어 다른 구로 이동할 때 유용합니다.

명문대학교 밀집 지역인 동대문구로 서울대 진학률 6위를 기록한 휘경여고뿐만 아니라 KAIST, 경희대, 한국외대, 서울시립대도 위치해 있습니다.

수익성 부분에서 부결이 났지만 수원과 양주 노선 연장해서 예타 통과로 확정이 난 C노선. A노선은 착공이 시작되었고, B노선은 예타 심의 진행 중인 상태입니다. C노선이 착공되고 개통되면, 이용객이 늘어 노선에 속한 지역들이 지가상승의 수혜를 볼 수 있다고 예상되어집니다.


서울역과 삼성역, 청량리역을 트라이앵글로 봤을 때, 서울역과 삼성역은 도심에 포함, 청량리역은 도심에 포함된 지역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동북권의 교통허브 역할을 하면서 청량리역을 통과한다는 것은 아주 좋은 호재입니다.

경전철 동북선은 강북지역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추진 중인 사업으로 올해 하반기에 착공하여 2024년에 개통 예정입니다. 상계역~왕십리역까지 환승 없이 20분 만에 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호재로 제기동쪽에는 신축빌라 현장이 들어서고 있습니다.

동대문구 내에서 전농동과 장안동은 지하철을 이용하기 불편했지만 면목선이 개통되면 역 주변은 역세권이 됩니다. 작년 여름쯤 장안동쪽에 8개동 대단지가 있었는데, 면목선 개통호재로 분양이 빨리 끝난 사례가 있습니다.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은 상습 정체구간의 교통난을 해소시키기 위한 사업으로 지하화가 되면서 그 위로는 대형수립공원이 조성됩니다. 그 규모는 여의도의 10~11배 크기입니다.

동대문구의 핫플레이스 청량리. 뉴스만 보더라도 청량리역 주변 일대의 개발호재가 이슈화되고 있습니다. 위 그림에 표시된 곳 외에도 많은 구역이 있는데요.


청량리역 뒤쪽에는 63빌딩보다 높은 주상복합건물이 들어섭니다. 고가의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중산층의 수요가 몰려들게 되고, 주변 환경이 더 좋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 주변 건물도 같이 상승되면서 신축빌라의 가격도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직접적인 수혜지역이기 보다는 호재에 이어지는 배후주거지의 간접수혜지역으로 지속적인 가격 상승이 예상됩니다.

주된 호재는 ‘교통’입니다. 속초행 동서고속화철도는 속초 지역 주민들의 숙원사업이지만 청량리까지 연계되다 보니 호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18년도 지가상승 1위가 마용성(마포, 용산, 성동)이라고 합니다. 그에 버금가는 입지로 동대문구 그 안에서 청량리. 저평가되어 있지만 좀 더 오를 가능성이 많아서 앞으로는 마용성보다는 청룡시대라고 생각되어지네요.

장안동에 대부분, 제기동에 조금, 작년까지만 해도 용두동, 전농동, 휘경동에도 1~2개 정도는 있었던 신축빌라 현장인데요. 2019년 3월 기준으로 제기동과 장안동에서 신축빌라 현장을 많이 볼 수 있으며, 장안동에 밀집되어 있습니다.

평균적인 분양가 시세로 본다면 시세가 2년 전보다 3,000만 원 이상 올랐지만 면적과 입지 등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실입주금은 9.13 부동산 대책 이후로 대출 규제가 많아져 현금을 적게 가지고는 분양하기가 어려워진 상황으로 실입주금이 낮춰지기 위해서는 대출 규제가 풀렸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신축빌라 소통 공간 빌라정보통 바로가기

작가의 이전글 경기도 용인시 부동산 개발호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