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글밭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세중 Jul 18. 2024

접속은 대등한 성분끼리

문법을 대수롭지 않게 여겨서야

우리나라에 참으로 많은 법률이 있다. 이런 법이 있었나 싶은 법도 있는데 뇌연구 촉진법이란 법도 그런 것 중 하나다. 이 법은 1998년 제정되었다. 뇌에 대한 연구가 21세기 첨단산업기술분야와 정보화·지능화·고령화사회의 핵심적인 과제로 부각되고 있어 뇌 연구 촉진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한다. 이 법의 제2조는 용어 정의를 하고 있는데 그중 4호는 '뇌공학'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중략)

4. “뇌공학”이란 뇌의 고도의 지적 정보처리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이의 공학적 응용을 위한 이론 및 기술에 관한 학문을 말한다.


"“뇌공학”이란 뇌의 고도의 지적 정보처리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이의 공학적 응용을 위한 이론 및 기술에 관한 학문을 말한다."라고 되어 있는데 의아하다. '기능을 이해하고'는 동사구인데 접속어미 '-'가 쓰였으면 이어서 다른 동사구가 나와야 한다. 동사구와 동사구가 접속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사구는 보이지 않고 '이의 공학적 응용'이라는 명사구가 나왔다. 이렇게 부주의할 수 있단 말인가. 당연히 다음과 같이 씌었어야 바르다.


4. “뇌공학”이란 뇌의 고도의 지적 정보처리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공학적으로 응용하기 위한 이론 및 기술에 관한 학문을 말한다.


동사구와 명사구가 접속되어도 뜻을 파악하는 데 큰 지장이 없다고 생각했을까. 어떻든 법조문에 문법적으로 바르지 않은 표현이 오르고 말았다. 많은 사람들이 관여해서 만들었을 법조문에 이런 오류가 들어 있음은 부끄러운 일이다. 문법적으로 반듯한 문장은 단번에 이해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문장은 어색한 느낌을 주고 "이게 무슨 말이지?" 하는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명명백백해야 할 법조문이 그래서는 안 된다. 문법을 대수롭지 않게 여겨서는 안 된다. 문법도 법이기 때문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사이시옷 중독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