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희원 Jun 23. 2023

시간을 기다리면 나이가 줄어드는 나라

모쪼록 서른



  세상이 장난을 친다.

  2023년 6월이란다.



 나는 아직 2021년 같은데, 2021년에는 2018년쯤 같았을테니 지금은 2018년같은 2021년 같은 2023년.



  6월 28일이면 한국에서도 전면적으로 만 나이를 생활화한다. 전국민이 한 살내지 두 살 어려진다. 어려지기 위해서 시간을 기다리면 되는 나라라니!



   만 나이가 생활화된다고 육체가 젊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정신적으로는 플라시보 뭐시기를 기대해볼 수 있지 않을까? 우선 나는 기분이 좋다. 20대에 한 두살 차이는 크니까 더 젊어진 기분을 누릴 심산이다. (우리 동생이 이 글 봤으면 백퍼 젊꼰이라고 함)



   사람들끼리 만나서 나이로 위계를 따지는 나라는 한국뿐이라며, 게다가 해외보다 한 살 많게 친다며, 아 거 미국처럼 헤이 스미스 하면서 힙해질 수 없냐며.. 그래놓고 어려진다고 좋아하다니 영락없이 나이 집착을 벗어나지 못한 k국인이 나다.



  

  진짜로 회춘하는 것도 아닌데 왜 좋을까. 만나이 도입한다고 바뀌는 것은 새로운 누군가를 만났을 때 말고 더 있을까. 기껏 써먹을데라곤 “2n 빼기 2살입니다!“ 라고 말하는 그 순간 뿐이다. 마치 나이마다 주어지는 단계에서 자유로워지기라도 한 듯이 당당하게!



  지금보다 우리가 방황하고 고군분투할 때 친구 H와 동네 그네에 앉아 그런 대화를 했다. 왜 20대는 10년밖에 없는거냐고, 대학도 취준도 취업도 결혼도 해야하는데 10년은 너무 짧지 않냐고, 정지버튼을 눌러놓고 싶다고. 우린 29살이 되면 그 다음해부턴 29다시 1, 그 다음엔 29다시 2살이 되자며 낄낄댔다.



   한숨 섞인 우스갯소리가 현실이 될 줄이야. 기뻐할 시간은 1년정도 벌었고, 그만큼 지나면 다시 지금의 나이가 된다. 그리고 2년이 더 지나면 서른. 이 멋진 숫자가 두려운 건 서른의 나에게 바라는 모습이 있어서고..


 

    바라는 것과 달리 아직 미래의 내 모습이 잘 그려지지 않는다. 상상을 현실화하고 싶은데 상상부터 삐걱거린다. 하는 상상마다 어딘가 내게 맞지 옷을 입은 거 같고 통 내가 뭘하며 살면 적절할지, 무슨 일을 하는 쪽으로 방향을 정할지? 뭐에 쏟아부을 수 있는지 그런 것들을 고민하고 있다.










  이 글을 6월 초에 썼는데 최근에 어렴풋한 꿈이 생겼다. 상상한 미래의 내 모습이 꽤나 기분 좋았다. 근데 그 꿈에 대해 알아보면서, 역시 찾을 수 있는 건 대단한 케이스들이었고, 빛나는 것들에 비하면 내 꿈이 너무나 소박했단 사실에 초라해짐을 느꼈다. 이놈의 뇌구조는 누가 설계한걸까.


 그래도 모호하게 품고있던 세계관이 조금 더 구체적으로 꺼내졌다는 점은 소득이다. 둥그스러븐 소망에 조금의 각이 자라났달까? 각의 주변을 다듬고 다듬으면 만들고 만들고 싶은 어떤 모양이 생겨날지도 모르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오래된 카세트와 노홍철의 외침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