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뚝이샘 Mar 24. 2019

아이에게 불친절해도 된다. 격려와 믿음이면 충분하다.

엄마의 격려와 믿음이면 아이들은 결국 해낸다.

사례1. 학교, 체육시간                    


"선생님, 구름이가 피구하는데, 저한테만 자꾸 공 안줘요. "



"그래? 속상했겠네. 구름이한테 이야기 해 봤어?"



"아니요."



"구름이가 일부러 누굴 빼고 패스한 게 아닐 수도 있잖아."



"아 그게, 계속 그래요. 한번이 아니라, 피구 하는 내내."



"그래. 그러니까 너도 마음이 상했던 거고. 


그런데, 구름이의 의도는 구름이한테 확인을 해봐야 알 수 있어. 


너가 판단한 게 맞을 수도 있지만 아닐 수도 있어."



"그럼 어떻게 해요?" 



"구름이한테 물어봐야지.


내가 구름이를 불러서 대신 물어봐 줄 수도 있고, 


너가 직접 물어봐도 돼.


선생님은 너가 직접 해보는 걸 추천한다. 


너가 충분히 할 수 있는 능력이 있거든. 


해보고 안되면 그 때 선생님이 나서도 될 거 같아."



"그럼 제가 먼저 얘기 해 볼게요."



"그래. 멋지다!! 


둘이 서로 대화로 해결하는 게 제일 좋아. 


선생님이 굳이 나서지 않아도 스스로 할 수 있을 거 같아서, 


믿고 맡기는 거야.


얘기 나눠 보고 해결이 안되면 꼭 알려줘.


선생님이 도울게."



"네."



내게 도와달라고 다시 오지 않는다. 


둘이 웃고 있는 표정을 보니 다 풀린 듯 하다. 


내가 나서지 않길 얼마나 잘했던가. 


아이들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내가 빼앗을 뻔 했다.






사례2. 집, 동생과의 다툼






"엄마 요한이(동생)가 나한테 박치기 했어"



"왜?" 



"몰라! 참나, 가만히 있었는데 갑자기 그래"



"요한이한테 왜 그러냐고 물어 봤어??"



"아니."



"물어 봐. 그럼" 



"요한이 너, 나한테 왜 박치기 해??"



"누나, 내가 모루고 구래쪄." 



"엄마, 얘 모르고 그랬대. 보고 그랬으면서 몰라서 그랬대.


모르고 그랬어도 사과는 해야지 않어?" 



"사과 안한 건 엄마가 아니라 요한이니까, 


너가 요한이한테 직접 이야기 해 봐.


얘기 해보고도 안되면 엄마가 도와줄게."



"너 누나한테 사과 안해? 모르고 그랬어도 사과는 해야지."



"미얀해 누나" 



"괜찮어"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다면 


기회를 주고, 기다려 주어야 한다고 본다.


아이가 할 수 있는 일을 대신 해 주는 게 친절일까.


과잉보호고, 과잉친절이 아닐까.



아이가 스스로 해 보기도 전에 


도움을 구하는 이유는 불안해서다.


아이의 불안을 덜어주는 힘은


격려와 믿음이다.



할 수 있다는 격려와 


못해도 괜찮다는 믿음을 준다면,

아이들은 결국 해 낸다.



https://blog.naver.com/jiiyoung82/221495277847

작가의 이전글 초등생 글 잘쓰는 3가지, 소리내서 읽기/말하기/필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