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둥둥 Jan 21. 2024

2024년 사회복지사 1호봉은 얼마를 받을까?


사회복지사로의 취업을 준비하면서 가장 궁금했던 것 중 하나는 사회복지사의 인건비, 처우, 수당 등이었다.

2024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기본급 권고 기준(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기준]

서울 외 다른 지역은 근무를 해보지 않아서 잘은 모르지만 서울시 기준이 아니라 보건복지부 가이드를 따르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지자체별로 조금씩 받는 수당 금액이 다르다고 알고 있다. 그리고 시간외도 서울이 월 15시간 인정되는 것에 비해 다른 지역은 적은 것으로 알고 있다.


[보건복지부 기준]

보건복지부 가이드라인 기준으로는 처음 입사를 하면 4급 기준 1호봉이 2,140,300원이다. 다만 군복무를 했다면 2년 경력이 인정된다고 한다.



[서울시 기준]

서울시는 1호봉이 2,344,000원이다. 서울시의 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 현장 중에서는 가장 처우가 좋은 것 같다. 정신건강사회복지사나 의료사회복지사 급여는 좀 더 높은 걸로 알고 있다.



[가족센터]

가족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경우는 여성가족부에서 내려오는 호봉표가 있다. 서울시기준보다는 적고 보건복지부 기준보다는 많다. 내가 다니는 기관은 서울시 인건비 가이드 기준만큼 모자란 부분을 조정수당으로 받게 된다. 가족센터는 사업마다 급여가 다른 단점이 있다. 그리고 지자체 기관마다 사정이 달라 일반화를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그리고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에서 링크가 문자로 와서 영상을 봤다.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긴 했는데, 23년과 비교해서 기본급 2.5%가 인상됐다. 호봉과 직급마다 인상 퍼센트는 차이가 있고 호봉이 적은 경우 인상률이 좀 더 높았다.


[정액급식비]

정액급식비는 기존 10만 원 -> 12만 원으로 2만 원이 인상됐다. 그리고 공무원 정액급식비가 15만 원인데 그만큼까지 인상하는 것이 목표라고 한다.


[명절 상여금]

그 외 또 받는 것들을 살펴보면 명절 상여금은 설날과 추석에 한 번씩 나오고 월급의 60%가 각 명절마다 지급된다. 명절 상여금은 쏠쏠하다.


[가족수당]

가족수당이나 복지포인트도 쏠쏠하다. 가족수당은 조건에 해당하는 가족과 함께 거주할 경우(등본상) 인당 월 20,000원이 지급된다.


[복지포인트]

복지포인트는 10호봉 미만의 경우 30만 원이 나오고 10호봉 이상의 경우에는 40만원이 나온다. 1년 안에 사용하면 된다. 구나 시마다 복지포인트가 더 나오는 경우도 있다.


[시간외근무수당]

서울시의 경우 월 15시간까지 인정된다. 약 2년 전인 2022년에 사회복지 실습을 했던 부산은 월 2시간만 시간외 인정이 된다고 해서 충격을 받았었다. 지금은 월 10시간 인정이 된다고 하니, 시간외근무수당은 지역 편차가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그 외 직접 일하지 않으면 잘 모를 수밖에 없는데, 가족센터는 사업마다 급여 차이가 있다.(자세한 걸 여기에 써도 될지 잘 모르겠어서 혹시 궁금한 분들은 메시지를 보내주면 답을 해드리려고 한다)


그리고 2024년 9급 공무원 1호봉 기본급이 1,815,100원이라는데, 물론 연금도 나오고 각종 수당들이 나오니까 실제 받는 급여는 더 높겠지만 사회복지사도 공무원과 같은 퍼센트로 급여인상이 되고 각종 수당도 공무원에 준하게 받게 되고 있어서 나름 옛날에 비해 처우개선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나도 취업준비를 할 때 궁금했던 것들이니 예비 사회복지사들이 읽고 조금이나마 궁금증이 풀렸기를 바란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를 위로하고 응원하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