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한 성형외과 의사 지인과 이야기를 했는데, 요즘에는 미모가 뛰어날수록 얼굴에 손을 대지 않는 사람이 없다고 한다. 사실, 나는 잘 모르는 영역이라 막연히 세상에는 예쁘거나 잘생긴 사람들이 있다고 생각하며 살았지만, 알고 보면 상당수가 '만들어진' 미모의 사람들이라는 게 다소 신기하게 느껴진다. 말하자면, 우리는 '조작 혹은 계량 사회'에 살고 있는 것이다. 무엇이든 보이는 것들은 원래 그대로가 아니고, 만들어지거나 조작되거나 계량된 것들이다.
요즘 아이 부모들은 아이 키 때문에 난리도 아니다. 내가 어릴 땐, 키는 크면 큰대로 작으면 작은대로 살았던 것 같은데, 요즘에는 아이 키가 잘 안 큰다 싶으면, 1000만원씩 하는 호르몬 주사 등으로 아이 키를 키우려 한다. 교육 같은 것은 물론이고, 외모적으로도 아이들이 손해보고 클까봐 무엇이든 '평균 이상'으로 만들고자 하는 의식이 팽배해 있다. 남들보다 무엇이든 못한 존재로 클까봐 전전긍긍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나도 스스로를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고 싶고, 여러 면에서 성장하고 싶은 의욕도 있다. 나의 아이 역시 잘자라서 자기 인생을 잘 누리면서 행복하게 살았으면 싶고, 그를 위해 많이 도와주고 싶기도 하다. 그런데 이렇게 인생의 모든 것을 '조작'하여 '계량'할 수 있다고 할 때, 그 기준을 어디에 둘 것인가에 대해서는 깊은 고민이 필요할 듯하다. '모든 것'에 있어서 '남들'보다 못한 존재로 살지 않기 위하여, 계량을 하다 보면 근본적으로 그 일은 끝이 없다.
남들보다 근육도 많아야 하고, 키도 커야 하고, 얼굴도 잘 생겨야 하고, 남부럽지 않은 차도 타야 하고, 가방도 매야 하고, 시계도 차야 하고, 남들이 무시하지 않는 동네에 아파트도 가져야 하고, 브랜드 옷도 입어야 하고, 아이 학벌도 좋아야 하고 등 남들을 기준으로 놓고 조작과 계량의 세계에 뛰어 들기 시작하면, 근본적으로 자기를 온전하게 사랑할 방법이 없어진다. 대신 남들의 기준에서만 자기가 사랑받을 존재여야만 하는데, 이 남들이란 존재는 만족을 모르며, 우리에게 충족의 기준을 알려주지도 않는다.
얼굴이야 고치기 시작하면, 몇 억을 들여서도 더 고칠 것들이 있다고 한다. 눈, 코 입, 볼, 턱, 윤곽선 등 하나씩 하다보면 아파트 한 채값은 들일 수 있다고 한다. 명품의 세계에도 발 들이기 시작하면, 거의 끝없이 올라가는 영역이 있다. 아파트로 남들 신경 쓰기 시작하면, 서울 강남 안에서도 테북과 테남이 나뉘고, 그 안에서도 브랜드를 나누면서 타인들의 기준을 신경쓰느라 신경쇠약에 걸릴 수준이 된다. 우월감과 열등감은 동전의 양면이다. 우리가 누군가에게 느끼는 우월감에 중독되면, 반드시 다른 누군가에게는 열등감을 느끼게 된다. 만족의 기준을 '남들'과의 비교에 둔다는 점에서 그렇다.
나는 기본적으로 성장을 지지하는 사람이고, 정신이나 신체의 자기계발도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들어가지 않으면, 성장과 계발도 일종의 개미지옥이 된다. 그 개미지옥은 타인들의 시선이라는 모래로 이루어져 있다. 만족과 행복을 배우지 못한 아이들은 아무리 계량되어도 불행하게 살 것이다. 성장의 다른 이름이 때로는 결핍이라는 점, 그래서 우리는 바로 우리 자신의 진짜 결핍을 마주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그리고 그 결핍을 무한한 타인들의 기준들로 채울 게 아니라, 진짜 자기 자신이 되어가는 방식으로 채워야 한다는 점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