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베티 Dec 19. 2023

남겨진 자의 몫이라고만 생각했던 죽음


내가 무신론자라서 이런 생각을 하는 건지도 모르겠다.

그래… 죽으면 끝이지.

죽음은 남겨진 자의 몫.

망자의 가족이 고스란히 떠안아야 할 슬픔을 생각하면 그제서야 죽음의 무게가 희미하게나마 느껴졌다.

이게 죽음에 대한 그간의 나의 생각이었다.


48세의 젊은 나이의 큰집 사촌언니가 이틀 전 세상을 떴다.

담도암 선고를 받은 지 딱 일 년 만이다.



형을 아버지처럼 생각했던 아빠덕에 어릴 적 사촌들과의 교류가 무척 잦았다.

큰집은 충남 대천이다. 대천해수욕장으로 유명한 그 대천.

중풍에 걸린 친할머니를 십여 년 간 모셨던 큰엄마의 모습은 일곱 살 여덟 살이었던 내 눈에도 때론 대단하게 때론 짜증스러운 모습으로 기억되었다.

말단 공무원으로 지낸 큰아버지 댁은 나의 왜곡된 기억 속엔 초가집이었다. 사실 그 시절에 초가집은 없었을게 분명한데 내 기억은 그렇다.

지금도 기억나는 건 한겨울 추운 날에도 종을 울리며 새벽마다 돌아다니던 두부장수.

그 뜨끈하고 고소한 하얀 두부의 맛과 냄새가 지금도 코끝에 맴도는 듯하다.  


그 집엔 딸이 셋이 있었다. 큰딸은 나보다 한살이 많은 언니, 둘째 딸은 나와 나이가 같았는데 친척간이다 보니 모두들 그 애더러 나를 언니라고 부르라 했다. 지금 잘 기억은 안 나지만 나와 나이가 같은 사촌은 나에게 언니라고 부른 적이 한 번도 없는 것 같다. 나 같아도 그랬을 거 같다. 나이도 같은데 언니는 무슨… 그러더니 얘가 성인이 되어 친척 누군가의 결혼식장에서 마주쳤는데 날 보고 일말의 망설임도 없이, 너무나 살갑게 언니라고 부르는 거다. 그 상황이 재밌고 멋쩍었다. 배포도 큰 녀석! ‘야~ 무슨 언니야.. 그냥 이름 불러’라고 했지만 나와 나이가 같은 그 동생은 그 후로도 계속 나를 언니라고 부른다.


이렇게 셋, 나보다 한 살 많은 소영언니, 나 혜영 그리고 나이 같은 동생 선영.

우리는 명절 때 차례가 끝나면 대천 읍내에 영화를 보러 득달같이 달려 나갔다. 큰집 막내딸과 우리 집 내 동생은 나이차이가 나서 감히 우리 셋과 함께 놀지 못했다. 걔네들을 떼어놓고 읍내로 도망 나오느라고 온갖 속임수를 다 썼던 기억이 지금도 난다. 내 동생도 생생히 기억하고 있더라.  


이런 기억도 중학생 때 까지가 전부였던 거 같다.

고등학생이 되어 학업이 바빠지면서 큰집에는 아마 아빠만 갔던가… 우리 집도 각종 사건사고들로 바람 잘날 없었기 때문에 솔직히 잘 기억이 안 난다.

그리고 성인이 되어서는 뭐 더 말할 것도 없이 자연스레 교류가 끊겼고 일가친척 결혼식이나 있어야 간간히 얼굴을 볼 수 있는 정도였다. 어느 집이나 비슷할 것이다.


소영언니가 우리 집과 그리 멀지 않은 곳에서 수학 공부방을 하며 지내고 있다는 걸 알고는 있었다.

그럼에도 서로 먹고살기가 바빠 한번을 만나지 못했다. 짬을 내어 점심 한 번 먹을 법도 한데 나도 참 무심하다.


작년 12월…

소영언니가 담도암에 걸렸다는 얘기를 전해 들었다. 담도암 이란 게 치료가 꽤나 어려운 암이라는 것도 언니 소식을 듣고 인터넷을 찾아보며 알게 되었다.


엄마로부터 종종 소식이 들려온다. 수술도 못한다더라… 딱 맞는 치료제도 없다더라…



다행히도 지난 6월에 병원으로 찾아가 언니를 보고 왔다. 마르긴 했지만 얼굴은 그리 나쁘지 않았다. 병원 뒤 작은 언덕도 종종 산책한다고 했다.

언니의 큰 아이가 재수를 한다는 것도, 둘째는 중3이라는 것도 그때 알았다. 형부와는 대학1학년 씨씨로 만나 부부의 연으로 이어졌다는 건 진작부터 알고 있었다. 장례식 장에서도 비교적 평정심을 잘 유지하던 형부는 함께 학창 시절을 보냈을 대학 친구들 조문을 오면 이성을 잃고 소리를 지르며 오열을 했다.




두 달을 선고받았단 얘기를 들은 게 약 이주 전인데 그 두 달을 채우지 못하고 언니는 이틀 전에 세상을 떴다. 마지막엔 마약도 듣지 않아 고통 속에 머리칼을 쥐어뜯으며 괴로워했다고, 그리고 그 모든 과정을 큰엄마가 함께 했다는 얘기를 또 엄마에게 전해 들었다.





부인을 잃은 남편의 고통, 엄마를 잃은 어린 자식들의 슬픔, 그리고 무엇보다 자식을 잃은 부모의 심정은 말로 다 할 수가 없을 것이다.

여기까지가 내가 그동안 생각했던 죽음의 의미이다.

죽음은 남겨진 자의 고통.


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일 년간 힘들게 재수한 딸이 갈 대학을 마지막 순간까지 챙긴 죽음을 앞둔 한 인간.

이제 인생에서 가장 힘들 고등학교 생활을 맞이한 딸을 끝까지 돌보지 못하는 엄마의 죄책감.

스무 살, 찬란한 그 시절을 오롯이 함께 한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

부모보다 먼저 세상을 뜨는 자의 불효.




죽음이 별 건가. 세상에 대한 이런 미련이 죽음의 고통이 아닐까.

언니의 고통이 남겨진 자들의 고통보다 더 크지 않았을까?




고통의 경중을 따지는 게 의미 없긴 하겠지만 언니의 죽음으로 나는 내가 그동안 가졌던 죽음에 대한 정의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힘겹게 눈을 감았을 언니의 발인이 오늘이다. 지금 이 시각 언니의 차가운 육신은 뜨거운 불길 속에 활활 타올라 한 줌의 재가 되고 있을 것이다.

그 불길과 함께 모든 고통이 사라지길…

죽은 자의 고통도.. 남겨진 자의 고통도 …




작가의 이전글 말실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