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Young Mar 15. 2020

안일과 과민 사이

우리는 서로를 필요로 한다


 나는 매사에 안일한 편이고 아내는 매사에 과민한 편이다.


 어떤  태스크가 주어졌을 때 나는 어떻게든 되겠지 하며 데드라인까지 미뤘다가 닥쳐서 부랴부랴 하는 스타일이라면, 아내는 불확실함을 못 견디고 꼼꼼히 계획해서 미리미리 하는 편이다. 일이 하나 잘못돼도 난 어쩔 수 없지 뭐 하고 넘어가는 반면 아내는 그냥 안 넘어가고 어떻게든 바로 잡으려 백방으로 노력한다(ex. 물건 잘못 샀을 때 - 난 그냥 쓰고 아내는 무조건 반품/환불. 그게 안되면 중고로라도 팔아버림).


 이 차이는 아기를 키우면서 더 드러난다. 아기가 조금 아프면 아내는 한껏 예민해져서 이것저것 찾아보고 의사 친구들한테 연락을 돌려 물어본다. 늘 최악의 상황까지 생각하며 조금만 심하다 싶으면 응급실로 달려간다.

 나는 정반대다. "아기는 크면서 다 아픈 거야, 아파야 면역이 생겨"하면서 웬만큼 아픈 건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특별한 근거 없이 괜찮을 거라고 낙관한다. 응급실 가자고 하는 아내에게 꼭 가야겠냐고 수십 번 묻는다.

 이럴 땐 주로 과민한 사람의 말을 듣는 게 현명하다. 실제로 심각한 문제라면 안일한 태도의 대가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더라도 과민한 대응을 통해 혹시 있을지 모르는 위험을 줄이는 것이 더 낫다.

 하지만 나도 변명은 있다. 일단 매번 걱정하고 고민하는 게 정신건강에 좋지 않다. 돼도 그만 안 돼도 그만 하며 태평하게 있으면 마음은 편하다. 세상 살면서 모든 게 다 마음먹은 대로 되진 않으니 스트레스 안 받고 사는 내가 더 유리할 때가 많다(옆에 있는 사람은 복장 터짐).


 그리고 부정적인 감정에 휩싸이면 중요한 순간에 정확한 판단을 내리지 못할 수 있다. 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옳은 결정을 내리기 위해선 차분함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우리 둘의 차이 때문에 갈등이 자주 있는 게 사실이지만, 또 둘 중 하나만 있었다면 우리 삶이 얼마나 우울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대책 없이 낙관적인 나 혼자였다면 아무 성취도 없이 정신승리만 하며 살았을 것이다. 뭐든지 예민하게 걱정만 앞세우는 아내 혼자였다면 일은 완벽하게 할지언정 스트레스 속에 정신이 피폐해졌을 것이다.


 우리 둘이 대화로 서로의 차이를 잘 좁혀간다는 전제 하에, 나의 안일함과 아내의 과민함은 좋은 보완재가 된다.




 나는 이번 코로나 사태에서도 나처럼 안일한 사람이 있는 반면 아내처럼 예민하게 반응하는 사람이 있는 걸 본다. 통계적 사고가 익숙한 내 입장에서는 코로나19가 큰 위협은 아닌데,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두려워하는 사람들도 이해는 된다.


 누가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 이 사회가 그럭저럭 유지되는 것은, 두려워하는 사람이 있어서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는 한편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사람이 있어 사회가 공황에 빠져 멈춰버리지 않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한 사람이 스스로 완벽한 균형에 이르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우리는 서로를 필요로 한다. 생각이 다른 사람과 부딪히고 싶지 않다는 마음이 한켠에 자리 잡고 있으면서도, 생존을 위해 나에겐 내 아내 같은 사람이 옆에 있어줘야 한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나의 태평함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여기서 전제는 열린 마음으로 서로가 서로를 받아주는 게 아닐까 싶다. 나는 너를 필요로 하고, 너는 나를 필요로 한다.


 머리로는 아는데, 아내와 나는 이걸 못해서 맨날 싸운다.


 

매거진의 이전글 일상의 의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