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nand Feb 05. 2024

무제 (더 랍스터)

영화 속 사랑 돋보기

 누가 사랑을 사랑이라 부르기로 했는지는 몰라도, 그 역시 참 곤란했을 거 같다. 사람마다, 상황마다 그리고 그들이 각각 이루는 관계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무한으로 변하고 뻗어 나가는 무수한 행위를 뭐라고 말할 것인가. 그건 기쁨 또는 슬픔이었다가, 후회였다가 실망 안쓰러움과 용서 등 무한한 감정의 연속이다. 동시에 영원이라는 뜻도 품었다가 잠깐 불같은 것 또한 사랑의 모양이다. 이런 무수한 경우를 생각하다가 ‘에라 모르겠다’라는 심정으로 그냥 ‘사랑’이라고 한 것 아닐까. 

 사랑은 구체적이고 뾰족한 감정이거나 완성이 아닌 끊임없는 보류다. 사랑한다는 건 나 혹은 상대가 완성되지 않았어도 과정을 함께하는 것이며, 그걸 함께 하는데 어떤 조건도 없다. 그저 함께하고 싶은데, 왜 그런지는 정확히 모르겠는 것. 여기서 ‘모르겠다’가 곧 사랑이다. 왜인지 알수록 사랑에서 멀어진다. 


 <더 랍스터>는 그 알 수 없는 것을 말한다. 남녀의 사랑이었다가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이었다가 끝내 남녀의 사랑에서 다시 그 모두를 아우르는 모호한 사랑에 대해 말한다. 


 연인을 만들고, 기간 안에 사랑을 찾지 못하면 동물이 되는 호텔은 이분법적 세계관을 나타낸다. 명확한 기준과 답이 있는 세계다. 이성애자와 동성애자로만 구분하고, 신발 크기도 44, 45 등으로 나뉘며 중간은 없다. “늑대와 펭귄은 절대 함께 못 살죠.” 호텔 매니저 역시 말한다. 또 연인은 대개 서로의 공통점을 발견해 사랑을 하게 된다. 호텔에서 연인이 되는 과정도 서로 공통점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호텔은 사랑을 권장하고 맺어주지만, 답을 내리고 구분 짓는다는 점에서 ‘원인 미상’이라는 사랑의 본질은 찾아볼 수 없다. 


 사랑이 금지된 숲은 그 반대인 것처럼 보인다. 그들은 호텔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연인들에게 찾아가 사랑의 허상을 폭로한다. 사랑하는 연인에게 총구를 겨누게 하고,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접근했다는 걸 밝힌다. 결국 사랑은 둘이 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에 대한 사랑인 것이다. 공통점을 가진 상대에게서 자신을 발견해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그들은 믿는다.


 이들은 자기에 타인에 대한 거짓된 사랑보다 자신에 대한 사랑을 지지한다. 하지만 그 사랑 역시 왜인지 알 수 없는 것이 아니다. 단지 금지되어서 그렇게 할 뿐이다. 사랑은 가만히 놔두었을 때 왜인지 알 수 없게, 그저 그렇게 되어버린 것이어야 하는데, 이들 역시 그렇지 못한 것이다. 결국 사랑은 어떤 것이라고 규정하고 금기가 있는 사회나 집단에선 타인에 대한 사랑도, 자신에 대한 사랑도 찾아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영화는 이 두 세계를 오가며 타인에 대한 사랑과 자기에 대한 사랑 모두 허상임을 보여주고는 마침내 거기서 만난 두 명의 진정한 사랑을 보여주는 것처럼 보인다. 이 둘이 사랑에 빠진 데는 이유가 없다. 여자는 근시임에도 남자 주인공을 보고는 남달라 보인다는 모순된 말을 하고는 그와 도시로 나가 사랑에 빠지는 상상을 한다. 동시에 처음부터 영화를 이끄는 목소리의 주인공이 근시를 가진 여자임을 알게 되었을 때, 관객 역시 진정한 사랑을 직감하게 된다. 또한 이 둘이 사랑한다는 걸 알아챈 숲속 대장이 여자의 눈을 멀게 함에도 남자가 여전히 그녀를 사랑하고 함께 도시로 도망가는 과정에서 더더욱 그 둘의 사랑은 견고하게 다져지는 것처럼 보인다.  


 남녀주인공이 ‘근시’인 것은 명확하고 보이지 않는 사랑, 그리고 난관을 헤치고 이뤄질 것만 같았던 그 둘의 사랑 역시 남자가 결단을 내린 모습을 보여주지 않은 채 끝난다. 바닷소리가 들리는 것은 그가 그 무엇도 선택하지 않고 결국 원하는 동물인 랍스터로 변한 건지도 모른다. 그 모든 가능성이 영화 막바지에서도 흐릿하게 보일 뿐이다. 결국 구체적인 결말도 없고 답도 내려주지 않은 채 모호한 것들만 잔뜩 나열해 놓은 영화는 ‘모르겠다’라는 사랑의 또 다른 이름을 명확히 보여주는 것일지도 모른다. 

 사랑은 영원하지 않으며, 확실하지 않다. 사랑엔 제목을 달 수 없다. 


매거진의 이전글 진짜로 태우는 삶 (거미집)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