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G Jun 20. 2020

"고디국 한 냄비 끼리 났다."

지난한 삶의 소리

딱 이맘때다. 농번기가 시작되는 이 시기에 들려오는 소리.       


‘고디국 한 냄비 끼리 났다. 밥 챙기무라!’       


고디국이 뭔가 싶은 사람은 경상도 사람이 아닐 것이고, 이 글을 무리 없이 읽는 사람들은 경상도 사람일 것이다. 경상도에선 고디국이 너무 당연하다. 고디국을 고디국이라고 하지 모른다 하면 설명할 길이 없다. 그러다 한참 뒤에 고디국이 다른 지역에선 다슬기국, 혹은 올갱이국으로 불린다는 것을 알게 됐다.      


지역의 음식 문화는 결혼을 하고 나서 그 차이를 명백히 알게 됐다. 예를 들면 경상도 제사상에 필수인 상어고기 ‘돔배기’가 용인 시댁 제사상에 보이지 않아 물었더니 그게 뭐냐고 되물어 당황한 적이 있었다. 남편과 함께 친정을 갈 때마다 엄마는 “백 서방도 고디국 좋아하제?”라고 당연시 말해서 남편이 당황했다고 나중에 얘기해주었다. 참고로 남편은 나와 결혼해서 고디국을 처음 먹어봤다고 한다      


이 맛을 늦게 알게 된 남편이 불쌍하다 싶을 만큼 맛있는 고디국.     


걸쭉한 들깨 국물 안에서 숟가락을 휘이휘이 저어 고디 살을 찾아낸다. 옴폭한 숟가락에 알알이 담긴 고디살을 한입에 넣으면 씹을 때마다 톡톡 터지는 고소함과 민물 생물의 비릿함이 합해져 뭔가 유쾌한 맛이 난다. 거기에 연하고 보드라운 정구지(부추) 건더기는 미끄덩하게 목구멍을 살살 간지럽히며 넘어간다. 한 그릇 거하게 비워내고 나면 든든한 포만감으로 사람을 힘차게 만든다.      


고디국은 반듯한 차림으로 먹는 음식이 아니다. 밭일을 하다 말고 흙먼지가 가득 묻은 작업복을 입은채로, 땀에 얼룩진 얼굴로 한 대접 대충 떠서 밥을 말아 후루룩 바삐 먹고 가는 음식이다. 내가 그간 먹어온 고디국은 늘 그런 형태였다. 이건 우리 집뿐만 아니다. 친구 집에 놀러 갔을 때도 상황은 같았다. 한참 놀고 있으면 끼니 때에 등장한 친구 엄마가 이 말만 남기고 사라지셨다.  


“야들아 고디국 있으이까 먹고 놀그래이”     


눈코뜰 새 없이 바쁜 와중에도 자식 친구까지 챙기기에 적격인 음식으론 고디국만한 게 없었다. 찬의 수준으로 형편을 들킬까 조마할 염려도, 너네 엄마 음식 잘한다 만다 할 정도의 것도 아닌 어느 집에나 흔히 있는 보편적인 고디국이었으니까.


엄마의 고디국을 먹으며 딸은 어른이 됐다.   


고디국의 주재료인 고디는 사 먹는 사람도 있지만 내가 아는 한 우리 엄마는 무조건 잡아서 먹었다. 농사일로 바빠 죽겠는 와중에도 엄마는 고디가 잘 잡힌다는 냇가를 찾아 동네 엄마들을 모아 양동이를 들고 나서곤 했다. 찰랑찰랑 양동이를 앞뒤로 흔들며 “야야 나와봐라”라고 할 땐 고디를 많이 잡았다는 뜻. 인기척도 없이 와서 시무룩하게 다른 일을 하고 있을 땐 그날 잡이가 별로 였다는 뜻. 나는 엄마가 고디를 잔뜩 잡았을 때마다 양동이 안에 고디와 엄마를 번갈아 보곤 했다. 매일 밤 허리 아프다고 끙끙대는 사람이 누가 등 떠민 것도 아닌데 허리를 굽혀 물 속 돌멩이를 들추고 고디를 잡을 일인가 싶어 이해가 안갔다.


잡아 온 건 엄마지만 그걸 다듬는 건 가족 전체의 일이었다. 엄마가 고디를 삶아오면 각자 바늘을 하나씩 쥐고 고디 까는 작업에 돌입했다.     


그 풍경이 기억난다. 노란 마루 장판 위에 신문을 여러 장 겹쳐 까는 아빠. 스테인리스 볼 안에 갓 삶은 고디를 들고 오는 엄마. 뜨근한 김이 나는 고디를 촤르르 하고 쏟으면 우리 가족 모두 달려들었다. 밥! 물! 고마자자! 의 전형적인 경상도 아빠도 이때만큼은 바늘을 쥐고 새끼손톱만 한 고디를 살살 돌려가며 살이 부서지지 않게 부엌 일에 손을 더했다. 나와 동생은 바늘에 콕 찍혀 딸려 나온 고디 살이 맛있어 쏙쏙 빼먹다 보면 껍질은 쌓여가는 데 실상 주재료는 얼마 되지 않아 허탈하기도 했다.      


다음날은 보나 마나 고디국이다. 그것도 일반 냄비 수준이 아니라 대형 솥에 말이다. 그리고 몇 날 며칠 우리는 고디국을 먹는다. 가족 모두 잘 먹으니 엄마도 흐뭇해한다. 매 끼니 먹어도 물리지 않는 맛이다. 농사일과 밥 때를 맞춰야 하는 힘든 와중에 누이 좋고 매부 좋던 메뉴가 바로 고디국이었지 싶다. 아마 지금도 친정집 부엌엔 고디국이 한 솥 끓여져 있을 것이다. 얼마전 엄마가 전화와서 "엄마, 이모들캉 고디 항금 잡아가 간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난 고디국 요리법을 모른다. 엄마가 가르쳐 준 적도 없고 나 역시 배울 생각을 못 했다. 흔히 농촌에서 여자아이란 살림 밑천이라며 간단한 집안일 정도는 거들어야 했다. 그런데 엄마는 나를 전혀 살림에 관여시키지 않았다. 밖에선 무르익은 농작물들이 수확해 달라고 엄마를 기다리고 집 안에선 자식 둘이 새끼 새 마냥 목을 빼고 입만 벌리고 있었는데 엄만 한번도 일을 나눌 생각을 하지 않았다. 머리가 좀 굵어지고 엄마의 고단함이 눈에 들어올 때쯤 나도 거들겠다고 하니 엄마가 그런다.     


“니는 이런 거 하지 말고 다른 거 하매 살그라”      


엄마의 고디국이 먹고 싶다. 남편이 사다 줄까? 하는 데도 영 내키지 않는다. 이 곳 식당에서 파는 다슬기국, 올갱이 국은 내가 아는 고디국이 아니다. 내가 먹고 싶은 고디국은, 내가 좋아한다며 넙적사발 찰방찰방 넘치게 한 그릇 담뿍 담아내 주던 엄마의 고디국이다.           




작가의 이전글 이거 보면 웃게 될 걸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