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와이 Oct 22. 2021

무례함에 대한 착각


'쿨'에 대한 동경이 있었다. 내 마음은 벌새의 날갯짓마냥 초단위로 붕붕 거리는데, 아무렇지 않은 표정으로 같은 일을 대하는 타인을 보면 그게 그렇게 멋져 보일 수가 없었다. 나는 왜 저렇게 초연하지 못한지 자책했다. 


그래서 나는 그런 쿨한 친구들을 좋아라 사귀었다. 그 친구들은 몇 가지 특징이 있었는데, 일단 그들은 세상에 냉소적이었다. 현상에 대해 날선 의견을 거침없이 내뱉었다. 또 그들은 예리한 점쟁이였다. 그들은 나도 모르는 나를 한 치의 망설임 없이 진단해냈다. 너는 이래, 너는 저래. 왜 그랬어, 이랬어야지. 야, 그냥 관둬, 가망 없어. 한편 그들은 무심했다. 자신의 말에 대해, 그 말이 남기는 파장에 대해 두 번 생각하지 않았다. 간혹 그 쿨함은 일정까지도 영향을 미쳤다. 그들의 컨디션과 기분에 따라 약속은 무시로 파투났다.


그 무심함이 어른스럽다고 생각했다. 항상 쿨하고-이성적이고-싶었기 때문에, 내가 닮고 싶은 모습을 가진 친구들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의 쿨함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건, 그래서 그들의 말과 태도에 상처받는 건, 내가 쿨하지 못하고 쓸데없이 예민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 한 번 더 돌아보니, 그건 쿨한 게 아니었다. 그저 무례한 것이었다. 무례하다는 말이 의도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거라면, 그냥 그들도 어린 마음에 쿨해 보이고 싶었던 것이라고 하자. 세상에 무심한 척, 세상의 씁쓸함을 다 알고 있는 척하고 싶었을 뿐이라고. 각자 벗어날 수 없는 유년 시절의 상처와 쉽게 떨칠 수 없는 취약점이 있지만, 안간힘을 써서 그것을 티내지 않으려 노력하는 것일 뿐이었다. 끊임 없이 나는 괜찮아, 흔들리지 않아, 이건 아무 것도 아니야, 라고 스스로에 외치는 행위일 뿐이라던가. 


성시경이 남긴 희대의 명짤.


그도 아니라면 무례함을 쿨함으로 착각한 건 사실 나일지도 모른다. 그저 외롭고 질투심 많은 마음의 서툰 표현이었을 뿐인데, 내가 멋대로 그것을 쿨하다고 해석해버렸는지도 모른다.




세상에는 밤하늘의 별처럼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행복의 방식이 존재한다고 믿지만, 한편으로는 그 모든 다양함의 밑에는 생각보다도 보편적인 정서가 존재하는 것 같다. 우리 모두 따뜻함이 필요하고, 우리 모두 그대로의 자신을 인정받기를 갈망한다는.


그래서 그 모든 쿨함에 대한 착각과 쿨한 척에 대한 깨달음을 지나고나면, ‘그래, 내가 따뜻함을 주자, 내가 너그롭게 먼저 바라봐주자’라는 결심이 샘솟는다. 


세상에는 테이커(taker)가 있고 기버(giver)가 있다고 생각한다. 남에게 요구하고 자기 것만 챙기는 게 익숙한 사람과, 남에게 주고 남을 돌아보는 게 더 익숙한 사람. 숙명적 기버인 나는 테이커를 마주칠 때면 내가 왕창 손해본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기적인 테이커가 진짜 현명하게 사는 걸까 싶은 아찔함이 들 때도 있지만, 나는 그렇게 살지 않으려 한다. 기버가 그럴 수 있는 건 '멍청할' 힘이, '손해볼' 여유가 있기 때문이라고 믿는다. 네게 주어도 나는 나를 챙길 수 있다. 너에게 줄만큼 나에게는 힘이 있다. 나에게는 넘치는 사랑과 에너지가 있다.

그것이 나의 힘이고 자기 증명이라고 믿는다. 


무엇보다, 우리는 모두 불리는 대로의 존재가 되고 싶은 거스를 수 없는 욕구를 지니고 있다. 누군가 나를 착한 사람으로 봐주면 우리는 착한 사람이 되고 싶어진다. 되어야 한다고 자연스레 느낀다. 그러니 이기적인 테이커여도 이타적인 기버로서 그를 대하면 언젠가는 그도 더 따뜻하고 여유있는 기버가 되리라 믿는다.


그래서 이 세상이 테두리로 똑떨어진 도형이 아니라 물감처럼 번진 도형같은 사람이 더 많아지기를 꿈꾼다.




이전 05화 저 아세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