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종보 Jun 09. 2023

12장 도덕과 종교(5)-문화 전쟁

스티븐하이네의<문화심리학CulturalPsychology>

문화 전쟁

위에서 설명한 연구에 참여한 미국인 참가자들에 대한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지위가 높은 참가자와 낮은 참가자의 데이터가 불과 세 블록 떨어진 곳에서 수집되었다는 점이다(Haidt et al., 1993). 대학생 데이터는 펜실베니아 대학교 캠퍼스에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의 데이터는 캠퍼스와 접해 있는 도심 지역의 길모퉁이에서 수집했다. 도덕성 문제에 대한 추론의 차이를 가른 것은 단 세 개의 블록이었다. 이 차이는 중요한 점을 강조한다: 한 국가 내에서도 도덕적 문제에 대한 뚜렷한 의견 차이가 존재하며, 사회학자 제임스 헌터James Hunter는 이 사실을 미국 내에서 진행 중인 "문화 전쟁culture war"으로 묘사하였다(Hunter, 1991).

현재 미국에서는 몇 가지 첨예한 정치적 이슈에 대해 매우 양극화된 공개 토론이 벌어지고 있다(그림 12.5). 낙태, 결혼 평등, 안락사 등이 논란의 대상이 되는 주제 중 일부이다. 이러한 논쟁은 종종 분노에 찬 항의와 반복되는 논쟁으로 표시되며, 반대 집단은 대부분 이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왜 사람들은 상대방의 주장을 받아들이고 이러한 주제에 대해 평화로운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일까? 역사적으로 미국 내 정치적 문제에 대한 많은 의견 차이는 가톨릭, 유대교, 개신교 등 종교 교파를 구분하는 선을 따라 그려진 것으로 여겨져 왔다. 종교적 신념은 국가 내에서 문화적 세계관이 다른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지만, 오늘날 국가를 분열시키는 반대되는 정치적 동맹을 이해하는 데 가장 관련성이 높은 차이는 아닐 것이다.

그림 12.5 문화 전쟁: 낙태.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다양한 도덕적 견해는 국가 내에서 논란이 되는 많은 문제를 증폭시킨다.


종교적 정통파 대 진보파

사회학자 제임스 헌터는 미국에는 문화 전쟁이 존재하며, 종교적 종파에 관계없이 "정통을 따르고 싶은 충동impulse toward orthodoxy"을 가진 사람들과 "진보를 따르고 싶은 충동impulse toward progressivism"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 전선이 그려져 있다고 제안했다(Hunter, 1991, 43쪽). 정통파orthodox 종교를 신봉하는 사람들은 초월적인 권위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정통파 관찰자들은 이 권위가 인간보다 훨씬 오래 전부터 존재했으며, 인간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인간의 모든 경험보다 더 지식이 풍부하고 강력하다고 믿다. 정통파의 관점에서 보면 이 초월적 권위는 도덕 규범을 창안하여 신성한 텍스트로 인간에게 계시했다. 이러한 도덕 규범은 모든 시대와 상황에 걸쳐 적용되며, 사회적 변화나 개인적 차이를 수용하기 위해 변경되어서는 안 된다. 개인과 사회는 이 정해진 도덕 규범에 스스로 적응해야 한다(Jensen, 1997).

진보파progressive 종교를 믿는 사람들은 도덕 규범을 이해하고 공식화하는 데 있어 인간의 주체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진보파는 초월적 권위가 인간에게 자신과 그 의지를 드러낸다는 관점을 거부하며, 도덕 규범을 형성하는 데 있어 인간이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 사회 환경이 변하면 도덕 규범도 함께 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중요한 점에서 진보파는 정통파와 다르다. 그러나 이는 넓은 의미의 구분이며, 개인의 종교적 충동과 정치적 가치관이 항상 이 두 가지 범주 중 하나에 깔끔하게 속하는 것은 아니다.

슈웨더의 윤리 강령 세 가지 중 정통파와 진보파가 도덕적 문제에 대해 생각할 때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무엇인가? 문화 심리학자 르네 젠슨Lene Jensen은 신성 윤리가 정통파 도덕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보인다고 추론했다(Jensen, 1997). 정통파는 도덕적, 영적 순결에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초월적 권위가 부여한 신성한 지침을 따른다. 이러한 관점은 신성 윤리를 특징짓는 순수성을 추구하고 타락을 피하려는 노력과 매우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찬가지로 자율성 윤리는 진보파 도덕 개념과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자율 윤리는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해를 끼치지 않는 한 개인이 옳고 그름에 대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진보파와 정통파, 그리고 자율성과 신성 윤리를 구분하는 데에는 이론적으로 몇 가지 유사점이 있다.

그러나 도덕적 주체를 사회 집단의 관점에서 정의하고 도덕적 의무를 개인의 집단 구성원 자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는 공동체 윤리는 정통파든 진보파든 상관없이 모든 종교적 관점을 특징짓는 것으로 보인다. 요약하자면, 문화 전쟁의 두 진영은 도덕적으로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하는 데 사용하는 윤리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젠슨은 근본주의(정통) 종파 또는 주류(진보) 종파에 속한 미국 침례교인들을 대조하여 이 가설을 테스트했다(Jensen, 1997). 참가자들은 자살, 이혼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다양한 이슈에 대한 자신의 도덕적 판단을 설명하도록 요청받았다. 젠슨은 그들의 정당성이 세 가지 윤리 강령 각각과 얼마나 유사한지 보기 위해 그들의 반응을 조사했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에게 낙태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는지 묻고 그 대답을 설명하도록 했다. 정통파 참가자 중 100%가 신성 윤리에 부합하는 이유, 즉 인간의 생명을 끝낼 수 있는 신의 독점적 권한에 대해 말하거나 다른 사람의 생명을 빼앗지 말라는 성경의 명령을 언급하는 등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이유를 제시했다. 다음은 낙태 문제에 대한 한 정통파 침례교 신자의 답변 예시이다.

십계명에서 [하나님]은 살인을 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하나님께 불순종하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믿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을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분은 우리에게 무엇이 좋은지 알고 계시며, 우리가 그분의 말씀에 귀를 기울인다면 많은 어려움을 피할 수 있을 것입니다. (Jensen, 1997, 333쪽)

이 응답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명령을 존중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그렇게 하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하나님이 살인에 대해 무엇을 의미했을지, 또는 이 계명이 현대 서구 사회에서 낙태의 맥락이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이와 대조적으로, 진보파는 낙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설명할 때 90%가 자율성 윤리에 부합하는 이유를 하나 이상 제시했는데, 즉 개인이 경전을 해석하고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결론에 스스로 도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음은 진보파 침례교 신자의 답변 예시이다.

하나님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신부님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어머니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를 초월하는 옳고 그름에 대한 감각이 정말로 있어야 합니다. 그들에게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분에게 달려 있습니다.... 저는 궁극적으로 모든 개인이 자신이 해야 할 일을 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Jensen, 1997, 334쪽)

전반적으로 침례교 각 종파의 신도들이 어떤 관습이 도덕적으로 옳은지 그른지를 정당화하기 위해 제시한 이유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그림 12.6은 모든 다양한 정치적 이슈에서 세 가지 윤리 강령과 일치하는 중년의 성인 참가자들이 제시한 평균 사유 수를 보여준다(Jensen, 1997). 진보파들은 주로 자율성 윤리(개인의 권리를 강조)와 공동체 윤리(타인에 대한 의무를 강조)에 기초하여 도덕적 결정을 내렸다. 정통파들은 신성 윤리에 근거하여 판단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신성 윤리와 자율성 윤리에 관한 것이었으며, 이러한 종교적 신앙 간 도덕적 관점의 차이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Jensen & McKenzie, 2015).

그림 12.6 도덕적 문제에 대한 정통적 견해와 진보적 견해. 이 연구에서 정통파 침례교의 정당화는 신성 윤리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진보파 침례교의 정당화는 자율성과 공동체 윤리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었다.

출처: Jensen, 1997 발췌.


편차가 크긴 했지만, 각 종파의 사람들은 때때로 세 가지 윤리 각각에 대한 정당성을 제시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 가지 윤리를 다른 윤리보다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누구나 이 세 가지 방식으로 추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같은 종교 내에서도 사람들이 정치적 문제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에는 현저한 도덕적 격차가 있다. 젠슨의 후속 연구에 따르면 진보파 힌두교 인도인과 정통파 힌두교 인도인 사이에서 세 가지 윤리 강령의 사용에도 이와 같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Jensen, 1998). 이 연구 결과는 문화권 내에서 이러한 차이가 널리 퍼져 있으며 아마도 보편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사람들은 무엇이 옳고 그른지 판단하는 방식이 현저하게 다르다.


도덕적 직관


다양한 윤리 강령은 문화 내 종교적 다양성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태도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Koleva, Graham, Iyer, Ditto, & Haidt, 2012). 도덕적 추론의 차이가 사람들의 심리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더 깊이 탐구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슈웨더의 세 가지 윤리를 확장하여 옳고 그름에 대한 감각을 안내하는 다섯 가지 도덕적 직관을 포함시켰다(Haidt & Graham, 2007). 연구진은 자율성 윤리를 구성하는 두 가지 도덕적 직관, 즉 해악 피하기avoiding harm와 공정성 보호protecting fairness라는 두 가지 도덕적 직관을 제안했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원이나 권리가 공정한 방식으로 분배되는지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두 가지 추가 직관은 대략적으로 공동체 윤리에 해당한다: 내집단 충성심loyalty to ingroups(소속 집단과 동일시하고, 소속 집단을 위해 희생하며, 소속 집단을 외부 집단 구성원보다 더 신뢰하는 것), 권위 존중respecting authority(윗사람을 존경하고 부하 직원은 권위자의 뜻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고 믿는 것)이다. 마지막 도덕적 직관은 신성 윤리를 반영한다: 순수성 달성achieving purity은 사람들이 선한 행동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관능적 열(예: 정욕, 폭식)이 지배하는 행동과 모든 종류의 오염을 암시하는 행동에 혐오감을 느낀다. 이 다섯 가지 도덕적 직관은 보편적인 것으로 인식되지만, 특정 문화권이나 일부 사람들은 삶에서 어떤 도덕적 직관을 강조하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다.

당신이 다섯 가지 도덕적 직관을 얼마나 소중히 여기는지 알아보려면, 그 중 하나를 위반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돈을 지불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라. 아마도 금액이 높을수록 그 윤리적 원칙을 더 중요하게 여길 것이다. 예를 들어, 해악 피하기 직관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모르는 아이의 손바닥에 핀을 꽂는데 얼마의 돈이 필요할까? 만약 당신이 공짜로 그렇게 할 의향이 있다면, 당신은 해악 피하기 직관력이 별로 없다. 공정성 보호는 지난 달에 당신의 이사를 도와준 친구가 새 아파트로 이사하는 것을 도와달라는 요청을 거절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금액으로 평가할 수 있다. 내집단 충성심은 자국의 국기를 기꺼이 불태우려는 의지로 평가할 수 있다(그림 12.7).

그림 12.7 내집단 충성심. 자국의 국기를 태우는 것이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내집단 충성심이라는 도덕적 직관에 더 관심을 갖는 경향이 있다.


권위 존중은 코미디 촌극의 일부로 (아버지의 허락 하에) 아버지의 얼굴을 기꺼이 때리려는 의지로 드러난다. 그리고 순수성 달성 직관은 당신의 개가 자연사한 후에 요리하고 먹으려는 당신의 의지로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행위를 하는 데 더 많은 돈이 필요할수록 해당 직관을 지키겠다는 의지가 더 강하다.


정치적 견해.

도덕적 직관의 강도에 대한 이러한 차이는 때때로 정치적 노선을 분열시킬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자신을 정치적으로 진보적이라고 밝힌 미국인들은 해악 피하기와 공정성 보호에 대해 강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지만, 다른 세 가지 직관에는 그다지 강하게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Graham, Haidt, & Nosek, 2009). 반면, 자신을 보수적이라고 밝힌 미국인들은 다섯 가지 모두에 대해 상당히 강한 감정을 가지고 있는 경향이 있다(그림 12.8).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를 대조한 결과에서도 비슷한 패턴의 결과가 발견되었다(Graham et al., 2011).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치적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의 도덕적 직관에는 상당히 보편적인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많은 연구에 따르면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미국인이 정치적으로 진보적인 미국인보다 혐오 반응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보수적인 정치적 신념이 진보적인 신념보다 순수성에 대한 우려를 더 많이 불러일으킨다는 증거이기도 하다(Inbar, Pizarro, & Bloom, 2009).

이러한 동일한 윤리 원칙이 다양한 문화권 사람들의 도덕적 추론의 기초가 될 수 있지만, 때로는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원칙이 필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사람들은 도덕적인 이유로 채식주의자가 되지만, 그 이유는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북미에서 채식주의는 해악 피하기와 공정성 보호의 도덕적 직관에 주요 관심사를 반영하는 자유주의적 정치적 가치와 더 자주 연관된다. 반면, 인도에서는 채식주의가 다섯 가지 도덕적 직관뿐만 아니라 보수적인 정치적 가치와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인도 채식주의자들은 잡식주의자들에 비해 권위 존중, 내집단 충성심, 순수성 달성이라는 도덕적 직관을 더 강하게 받아들이는 반면, 북미 채식주의자들은 이러한 직관 측면에서 잡식주의자들과 차이가 없다(Ruby, Heine, Kamble, Cheng, & Waddar, 2013).

그림 12.8 정치적 견해와 도덕적 직관. 이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정치적으로 진보적인 사람들은 내집단 충성심, 권위 존중, 순수성 달성에 대한 직관에 비해 해악을 피하고 공정성을 보호하려는 도덕적 직관이 더 강하다. 반면 정치적 보수주의자들은 이 모든 것에 대해 강한 도덕적 직관을 가지고 있다.

출처: Graham et al., 2009 발췌.

작가의 이전글 12장 도덕과 종교(4)-자율성,공동체,신성 윤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