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종보 Feb 20. 2018

학급 운영 지식이 교사의 유능감과 자신감을 키운다.

OECD ITEL 교사 지식 설문 조사 결과

교사는 어떻게 학급 운영에 유능해지고 자신감을 가지는가? 실험 연구를 통한 고찰

번역자: 김종보

 원문 출처 : http://www.oecd-ilibrary.org/education/how-do-teachers-become-knowledgeable-and-confident-in-classroom-management_8b69400e-en


•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혁신적인 교수법(The Innovative Teaching for Effective Learning, ITEL)에 관한 교사 지식 설문 조사는 교사들의 교육학적 지식의 성격, 기능, 발달, 즉 교사들의 교수와 학습에 관한 지식을 탐구하는 최초의 국제 연구이다.


• 평가에서 예비 교사와 현직(In-service and pre-service) 교사들은 교수법과 수업 계획과 같은 교수 과정(instructional process)과 관련된 분야보다 학급 운영 부분에서 더 높은 지식을 나타냈다.


• 설문 조사 결과는 일반적으로 더 많은 교사가 학급 운영에 대해 배울수록 교수 학습 과정에 숙달하였다고 느끼는 자신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 운영은 수업 계획에 대해 배우는 것보다 자기 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급 운영에 자신감이 있다고 보고한 현직 교사는 실제 수업(instructional practices)의 질도 높다고 보고하였다.


• 학습과 발달에 관한 지식(인지 학습 전략, 기억과 정보 처리의 통합적 측면) 영역은 교육학적 지식에서 개선의 여지가 가장 많은 영역이었다.


 ITEL 교사 지식 설문 조사는 무엇인가?
ITEL 교사 지식 설문 조사의 목적은 교사의 교육학적 지식의 성격을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이다. 즉 넓은 맥락에서 교사의 지식 기반과 그것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하는지를 알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설문 조사는 교사 교육에서 교육 실습과 전문성 발달, 동기부여 요인 및 직업 선택 유인책을 포함한 학습 기회를 검사한다.
 여기서 보고한 실험 연구의 표본은 에스토니아, 그리스, 헝가리, 이스라엘, 슬로바키아 5개국에서 943명의 현직 교사와 644명의 예비 교사로 구성되었다. 실험 단계에서는 교사의 기술 향상의 필요성과 방법에 관한 정책 수립에 잠재적 지표를 제공한다. 향후 전체 연구에서 국가적 표본으로 설계될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교사의 질을 개선하는 정책 입안자를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학급 운영이란 교사들이 성공적인 학습 환경을 쉽게 하기 위해 수행하는 행위를 의미하고, 교사 지식 설문 조사가 탐구하는 교육학적 지식의 차원 중 하나이다. OECD의 교수 학습 국제 설문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은 교사의 대부분이 수업을 방해하는(disruptive) 행동을 통제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지만, 또한 교실에서 평균 교수 학습 시간의 13%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손실됨을 강조하였다(OECD, 2009). 그리고 교사가 학급 운영에 관한 전문성 개발이 강력히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OECD, 2014).

  수업을 방해하는 행동과 같은 준비되지 않은 교실 사건을 다루는 것은, 신규 교사들이 “현실 충격(reality shock)”을 일으키는 주요 이유 중 하나이다. 학급 운영에 관한 적절한 연수는 지식과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도, 교사의 자신감 향상과 행복한 교사 생활의 시작을 위해서도 중요하다(Dicke 외, 2015). 많은 OECD 국가들이 높은 신규 교사 감소율에 직면하고 있는데, 이것은 정책 입안자들에게 중요한 연구결과가 될 수 있다. 많은 교사가 학급 운영이라는 난관을 만나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깊이 이해하기 위해, 설문 조사는 네 가지 관점에서 개념을 탐구하였다. 

1)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학급 운영 지식 측정

2) 응답자들에게 초기 교사 교육 및 전문성 개발(후자는 현직 교사만 실시)에서 학급 운영에 관해 배웠는지 아닌지

3) 학급 운영에 관한 자신감을 어느 정도로 느끼는지 아닌지

4) 현직 교사들이 실제로 학급을 운영하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지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학급을 운영할 수 있는 지식을 가지고 있는가?


ITEL 교사 지식 설문 조사는 교사의 전문 역량의 폭넓은 개념 구조를 기반으로 여섯 가지 항목을 통해 교육 학적 지식을 먼저 검사한다(표 1). 학급 운영에 대한 지식은 수업 시간에 인지 활성화를 자극하는 방법(how to stimulate cognitive activation in the class), 교수 속도(pace), 교실 규율(classroom discipline), 학생들의 학습 시간을 극대화하는 방법(methods to maximise students’ learning time), 교실 규칙(classroom rules), 정적/부적 처벌과 강화의 개념(concepts of positive/negative punishment and reinforcement.)에 관한 항목을 통해 평가된다.


표 1. ITEL 교사 지식 조사를 위한 평가 체제

 그림 1에서 보듯이, 현직 교사와 예비 교사 모두 교수법과 수업 계획과 같은 교수 과정의 다른 영역보다 학급 운영에 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교사 중 학급 운영은 두 번째로 강력한 항목으로 나타나 의아스러울 수 있다. 이것은 교사가 취하는 행동과 직접 연관된 실제 경험 영역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학습과 발달 항목은 두 표본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영역은 뇌 기능과 기억, 학습 성향과 분류체계, 비판적 사고와 메타인지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지식은 더욱 이론적이고 실천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덜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복잡하고 다양한(heterogeneous) 교실을 다룰 때와 같은 전문성 영역에서 중요하다.


그림 1. 현직 교사 및 예비 교사의 교육학적 지식 조사 결과

참고 : 각 영역에서 최소한 60%의 항목에 정확하게 응답한 현직 교사 및 예비 교사의 비율.

출처 : Sonmark, K. 외(2017), “교사의 교육학 지식 이해 : 국제 시험 연구 보고서”, OECD 교육 실무 보고서, No. 159, OECD Publishing, Paris, http://dx.doi.org/10.1787/43332ebd-en.


교사들은 어떻게 학급 운영 능력을 확신하는가?


  일반적으로, 교사의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교사의 교수 열정, 교육 실천, 직무 만족도와 헌신도 만큼이나 학생들의 동기 및 성취와 정적 관계에 있다(OECD, 2014). ITEL 프로젝트는 응답자들에게 초기 연수 및 전문성 개발뿐만 아니라 자기 효능감과 교수의 질(instructional quality)에 관한 자기 보고(self-reported)를 요청했다. 설문 조사 결과는 일반적으로 더 많은 교사가 학급 운영에 대해 배울수록, 교수 학습 과정에 숙달하였다고 느끼는 자신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 운영에 관해 배우는 것은 수업 계획에 대해 배우는 것보다도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학급 운영에 대해 자신감을 느끼는 것은 교사의 다른 교육 실천이 구체화하고 효과적이기에 앞서 갖추어야 할 중요한 요소일 가능성이 있다.


  두 표본은 중요한 차이가 있다. 초기 교사 교육 및 전문성 개발에서 학급 운영에 관해 배울 비슷한 기회를 보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직 교사는 학급 운영의 모든 측면에서 예비 교사보다 높은 수준의 자기 효능감을 나타냈다(그림 2). 이것은 아마 오랜 경험의 영향일 것이다. 이것은 교사가 직업에서 상당한 경험을 얻을 때까지 완전히 확신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실험 조사 결과는 예비 교사를 위한 초기 교사 교육 실습과목(practicum)이 얼마나 자신감을 얻을지를 예측하고, 신규 교사가 최대한 빨리 교사로서의 직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특히 중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험 조사 결과는 현직 교사들 사이에 강의의 질(teaching quality)과 자신감 사이가 연관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학급 운영 능력에 대해 자신감을 더 많이 느낄수록 수업을 방해하는 소란이 덜한 경향이 있었다. 가르치는 것에 강한 자신감을 느끼는 현직 교사일수록 교실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고, 학생들에게 명료한 교실 행동 규칙을 만들고, 학생들에게 즐거운 학습 환경을 조성하려고 노력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 교사들의 교육 기간 동안 경험에 기반을 둔 학습(practice-based learning)과 교실 경험이 증가해야 할 필요성과 특히 교사 경력 초기에 학급 운영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 전문성 개발 활동이 증가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그림 2 현직 교사와 예비 교사의 학급 운영에 대한 자기효능감

참고 : 7점 척도로 6점 또는 7점을 보고하는 현직 교사 및 예비 교사의 비율 (1 : 전혀 그렇지 않음, 7 : 많은 경우). 출처 : OECD (2016), ITEL TKS 2016 시범 연구 데이터베이스.

    교실에서의 수업을 방해하는 행동을 얼마나 통제할 수 있습니까?   

(How much can you do to control disruptive behaviour in the classroom?)

    아이들이 교실 규칙을 얼마나 지키도록 할 수 있습니까?  

(How much can you do to get children to follow classroom rules?)

    수업을 방해하고 산만한 학생을 얼마나 진정시킬 수 있습니까?  

(How much can you do to calm a student who is disruptive or noisy?)

    학생 그룹별로 학급 운영 체계를 얼마나 구축할 수 있습니까?  

(How well can you establish a classroom management system with each group of students?)


 연구의 실험적 특성으로 인해 결과는 신중히 해석해야 한다. 제시된 데이터는 도구의 분석 가능성을 입증하고 대표 표본에 대해 수행된 분석을 예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는 주요 연구 데이터 수집 후에 제공될 것이다.


결론


  ITEL 교사 지식 설문 조사 실험 연구의 이러한 초기 결과는 국제 비교 방법으로 교사의 교육학적 지식을 조사하기 위한 혁신적인 도구의 분석 가능성을 보여준다.


  첫째, 이 결과는 교육학적 지식의 다양한 영역의 상대적인 강점과 약점을 보여줌으로써 교사 교육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지식 분석표(profiles)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학급 운영은 현직 교사 및 예비 교사 모두가 교수법 및 수업 계획과 같은 다른 형식의 교수 과정보다 가장 강력한 지식 기반을 보유하고 있는 영역이다.


  둘째, 이 결과는 학급 운영에 대한 자신감이 다른 교육 실천이 발달하고 효과적이게 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기초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가능한 한 일찍 예비 교사를 준비시키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교사 교육이 학급 운영에 대한 강력한 지식을 개발하는 동안 능력과 자신감을 키우는 데 경험이 중요하다. 따라서, 교사 경력의 초기 단계에서 학급 운영에 중점을 둔 연수 및 전문성 개발 과정은 현직 교사와 예비 교사 간에 발견된 자기효능감 격차를 줄이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찾아보기

www.oecd.org/edu/ceri/innovative-teaching-for-effective-learning.htm

연락처: 크리스티나 손 마크(kristina.sonmark@oecd.org)


더 알아보기


Dicke, T. et al. (2015), ‘‘Reducing reality shock: The effects of classroom management skills training on beginning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 48, pp. 1-12.

Evertson, C.M. and C.S. Weinstein (eds.) (2006), Handbook of Classroom Management: Research, Practice, and Contemporary Issues, Erlbaum, Mahwah, NJ.

OECD (2016), ITEL TKS 2016 Pilot Study Database.

OECD (2014), TALIS 2013 Result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Teaching and Learning, OECD Publishing, Paris, http://dx.doi.org/10.1787/9789264196261-en.

OECD (2009), Creat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First Results from TALIS, OECD Publishing, Paris, http://dx.doi.org/10.1787/9789264068780-en.

Sonmark, K. et al. (2017), “Understanding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 report on an international pilot study”, OECD Education Working Papers, No. 159, OECD Publishing, Paris, http://dx.doi.org/10.1787/43332ebd-en.


이 문서는 OECD 사무총장의 책임하에 게시됩니다. 여기에 언급된 의견과 논거는 OECD 회원국의 공식 견해를 반드시 반영하지는 않습니다.

여기에 포함된 모든 자료와 지도뿐만 아니라 이 문서는 어떤 영토의 지위나 주권, 국제 국경과 경계의 제한, 영토, 도시 또는 지역의 명칭을 침해하지 않습니다.

이스라엘에 대한 통계 자료는 관련 이스라엘 당국의 책임하에 공급됩니다. OECD에 의한 이러한 자료의 사용은 국제법의 규정에 따라 웨스트 뱅크의 Golan Heights, 동 예루살렘 및 이스라엘 정착촌의 지위를 침해하지 않습니다.

OECD 콘텐츠를 복사, 다운로드 또는 인쇄할 수 있으며 OECD 출판물, 데이터베이스 및 멀티미디어 제품의 발췌문을 자신의 문서, 프레젠테이션, 블로그, 웹 사이트 및 교재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상업적 사용 및 번역 권한에 대한 모든 요청은 저작권 소유자인 rights@oecd.org로 제출해야 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미인은 잠꾸러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