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 댓글 1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미인은 잠꾸러기?>

잠꾸러기가 미인일 가능성을 알아보자.

by 김종보 Jan 10. 2018

뉴스를 듣다가 누가 “미인은 잠꾸러기”라고 하자, “잠꾸러기가 미인은 아닙니다.”라고 응수하였다. 거기서 “잠꾸러기가 미인일 확률을 알 수 없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지난주에 공부한 베이즈 Bayes 정리를 응용해보고 싶어 졌다. 여기서의 수치는 내가 임의로 설정한 것이라 실제로 믿으면 곤란하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베이즈 정리는 다음과 같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임의로 수치를 가정해보자. 미인 10명 중에 잠꾸러기인 경우는 6명이다. 미인이 아닌 사람이 잠꾸러기인 경우는 10명 중에 5명이다. 세상의 미인은 100명 중 1명꼴이다. 그럼 잠꾸러기가 미인일 확률은 얼마일까?


이것을 수학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미인

B=잠꾸러기

P(B|A)=미인이 잠꾸러기인 확률=6/10=0.6

P(B|Ac)=미인이 아닌 사람이 잠꾸러기인 확률=5/10=0.5

P(A)=미인일 확률=1/100=0.01

P(A|B)=잠꾸러기가 미인일 확률=?


그럼 베이즈 정리에 대입해보도록 하겠다.

P(A|B)=0.01*0.6/(0.01*0.6+0.99*0.5)=6/1000*6/501=0.011976048

그러면 잠꾸러기가 미인일 확률은 약 1.2%, 1000명 중 12명 정도인 것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서 잠과 미인의 상관성을 생각해보면 1.2%는 상관성이 낮다는 결론을 낼 수 있겠다.


예전 논리학에서는 A는 B일 수 있지만 B가 A인 것은 아니다는 것으로 그 논파하는 경우가 있었던 것 같은데, 관련된 데이터가 많이 축적된다면 B가 A인 경우를 알 수 있게 된 것 같다. 그럼 B가 A일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커리, 커피, 변증법과 친박연대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