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돌고 돌아 결국 나의 매일 행적을 기록하는 훈련일지로

자신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자기만의 훈련을 찾아서 행해야 한다는 말

꽤 오랜 시간 나는 많은 양의 정보를 단시간에 파악해서 일을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생산적이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그렇기도 했다.

눈치가 빨라서 내가 생각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할 일이 떠오르면 빠르게 처리하는 편이었다.

그런데 사람이 특정 능력에 대해 칭찬을 받거나 본인도 잘하는 것 같다고 느끼면 그것에 함몰되기 쉬운 것 같다. 어느 순간부터 나는 더 빨리 일처리를 하려고 했고 모르는 분야가 있으면 다독, 속독으로 짧은 시간 안에 파악해서 현장에 적용하는 습관이 가속화되었다. 그것이 일을 잘하는 거라고 생각했다.



이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걸 깨닫게 된 건 문제의 난이도가 올라가면서였다.



다니던 회사를 나와 자영업 시작하고 다시 공부하러 대학원에 가서였다.

한눈에 보이는 건커녕 내 위치 파악도 안 되고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 것들이 투성이었다. 속도와 (당시 내가 생각한) 일잘러 모드에 집중한 사이 생겨버린 약점이 이때 드러났다. 해결해야 할 과제가 복잡하고 한눈에 안 들어오면 속도가 안 나니까 답답하고 불편해서 피하고 미루는 버릇이 생긴 것이다. '빠릿빠릿함', 그것이 내가 사회생활 초반에 내세웠던 특기였지만 쉬운 문제에만 머물고 싶게 한 원인이 되어버린 거다.


생각보다 큰 문제였다.

자존감이 떨어졌고 위축되게 만들었다. 왜냐하면 당시 내가 생각했던 유능감이 '속도'와 '능숙함'이었기 때문이다. 연구는 새로운 문제를 풀어야 하기 때문에 로드맵이 당연히 없고, 자영업 역시 영양상담을 한 사례가 앞서 없었으니 모두 처음 풀어야 하는 낯선 문제인데 어떻게 빨리 능숙하게 하겠는가.

지금 생각하면 참 짧은 생각인데 그땐 내가 무엇 때문에 힘든지 파악조차 못해서 불안감만 점점 올라갔다.

세상에 안 풀리는 문제 천지고, 안 풀리는 걸 풀려면 풀 때까지 매달려야 하니까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게 당연한데, 그걸 무능함으로 잘못 연결 지으면서 악순환의 고리에 들어간 것이다.




사실은 이제야 성장할 수 있는 도전 과제를 받은 것이었다.



예능 중에 일타강사 정승제 선생님과 조정식 선생님이 공부 습관 개선하는 '티처스'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거기 사례 중 한 학생이 본인이 아는 문제는 풀고 빨리 안 풀리는 문제는 뒤로 미뤘다가 틀리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 친구를 보면서 내 생각이 났다.

 "이건 실력을 기르는 게 아니라 공부를 안 하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예요."

그 말을 들으니까 지난 몇 년간 내가 겪고 있었던 문제와 원인이 구조화되고 이해 됐다.


프로그램에서 두 선생님이 자주 이야기하는 것이 '사고력'이다.

사고력을 키운다는 건 문제를 많이 푸는 게 아니라 안 풀리는 문제를 붙잡고 늘어져보면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인데 우리는 자꾸 되든 안되든 빨리빨리를 종용한다. 수능도 결국 사고력으로 풀어야 하는데 연습할 때 문제에 매달려봐야지 속도부터 내면 진짜 문제를 안 풀어본 사람이 어떻게 본인을 믿겠냐는 거다.



이번 대학원 연구 과정에서 다시 배운 건 풀리지 않는 것을 붙잡고 늘어지며 사고해 보는 것이었다. 하루에 체크리스트 10개를 쳐내는 것이 아니라 해결해야 할 문제 2개를 가지고 씨름해 보는 것. 그것이 여유 부리거나 노는 것이 아닌, 무능력한 것도 아닌 어쩌면 진짜 문제에 도전하고 있는 과정이라는 걸 이해하게 되었다.


책도 마찬가지다.

책을 많이 읽기만 하면 읽는 행위에 중독된다. 읽기만 하면 읽을거리는 많지만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같았다. 중요한 것은 오늘 읽은 한쪽에서 나온 내용을 가지고 곱씹고 음미해 본 다음 나만의 결론을 내보는 것이 책이 가지는 진정한 의미라는 걸 뒤늦게 이해했다. 책이 나에게 던진 질문을 생각하고 답해보고, 실천해 봤을 때 나를 성장시켜 준다는 것을 말이다.



많은 직업군에서 형식은 달라도 맥락은 동일한 '훈련 일지'를 쓴다.


연기노트 (배우)

연구노트 (연구자)

오답노트 (학생, 수능)

사고 훈련 노트 (철학가)

철학가 별 사고 훈련법 - https://brunch.co.kr/@haminmom/208

운동하는 철학자 - https://m.blog.naver.com/netbar/221443190154


P.G. 해머튼이 쓴 책 '지적 즐거움'에서 이런 말이 나온다.

독창적인 능력을 가진 사람은 자신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자기만의 훈련을 찾아야 한다.


훈련일지란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하기 위해 해야 할 것을 실천하고, 복기하고 진도가 나가지 않았다면 무엇이 힘들었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그에 대해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를 고민하며 매일을 살아가는 가장 상식적이고 생산적인 방식 같다. 너무 당연한 건데 이걸 왜 지금 알았을까.


지금까지는 감정일기로 매일을 기록했는데 이젠 훈련을 더 기록해보고 싶어졌다.

우린 모두 각자의 무언가를 훈련하며 능숙해지고 싶어 하니 자기만의 훈련을 세우고 적용해 보면 되지 않을까? 그렇게 실천한 매일 끝에 이루어질 다음 도약이 기대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