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알화 '사상 최저'… 5조 투자자 패닉
브라질 헤알화 가치가 원화 대비 사상 최저로 떨어지면서 브라질 채권 투자자들이 속을 끓이고 있다. 대규모 환차손으로 수익률이 곤두박질치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외환시장에서 원·헤알 환율은 63전(0.23%) 하락한 헤알당 271원27전을 기록했다. 지난 6월 초 헤알당 276원13전으로 최저를 기록한 뒤 반짝 반등했다가 다시 하락 중이다. 브라질이 경제위기를 겪었던 2015년의 헤알당 280원대보다도 낮다. 미국 달러화 대비 헤알화 가치도 달러당 4.1051헤알로 2년6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오는 10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진 데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에 따른 달러 강세, 현지 트럭운전사들의 파업 사태 등 경제적 불안 요인이 겹친 탓이다.
헤알화 가치 폭락은 국내 투자자에게도 ‘남의 일’이 아니다. 작년 이후 팔린 브라질채권만 5조원어치가 넘는다. 주식보다 투자 위험이 낮고 연 10%에 가까운 이자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점이 입소문을 타면서 개인투자자들에게 불티나게 팔렸다. 하지만 환율이 문제였다. 브라질 채권은 대부분 환 헤지(위험 회피)를 하지 않아 환 변동에 그대로 노출된다. 원·헤알 환율은 작년 고점 대비 약 25% 떨어졌다. 연 10%의 이자소득을 고려하더라도 브라질채권 투자자는 환손실과 채권값 하락으로 올해만 약 17%의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된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http://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18082723941&category=NEWSPAPER&sns=y
"안전 제일"… 美로 쏠리는 글로벌 자금
브라질 채권 투자자 '패닉'
북미 주식형 펀드에
1주일새 50억弗 순유입
글로벌 자금이 신흥국을 떠나 미국으로 쏠리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 신흥국 정치불안 등으로 투자심리가 악화되면서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짙어졌다는 분석이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글로벌 선진국 주식형 펀드 전체에는 지난 23일 기준 1주일 동안 27억4900만달러(약 3조630억원)가 순유입됐다. 13일 터키 리라화 폭락으로 터키발(發) 금융위기에 대한 우려가 불거진 뒤 신흥국뿐 아니라 서유럽 지역에서도 자금이 급격히 빠져나갔지만 북미 주식형 펀드에는 50억7500만달러가 순유입됐다. 신흥국 주식형 펀드에서는 1억6000만달러가 순유출됐다.
채권형 펀드도 사정은 다르지 않았다. 북미지역에만 자금이 크게 유입됐을 뿐 다른 모든 지역에서 자금이 빠져나갔다. 신흥국 채권 펀드에선 15억6100만달러(약 1조7400억원)가 빠져나갔다. 선진국 채권 펀드는 북미 시장에만 30억8000만달러가 순유입돼 총 10억1700만달러가 새로 들어왔다.
환차손 탓 브라질 국채 17% 손실… "10월까지 헤알화 하락 가능성"
올초만 해도 글로벌 자금은 신흥국으로 흘러들어갔다. 미국 금리인상기에도 원자재 가격 인상, 글로벌 경기 회복 등 신흥국에 유리한 환경이 이어져 투자 유망지역이 될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상황이 바뀐 건 아르헨티나가 지난 4월부터 5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금리를 연 45%까지 인상하면서다. 신흥국이 미국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을 것이란 전망에 자금이 썰물처럼 빠지자 이를 막기 위해 단행한 조치다. 최근 3개월 기준 신흥국 주식형 펀드에서는 169억달러, 채권형 펀드에서는 108억달러가 빠져나갔다. 같은 기간 북미 주식형 펀드에는 134억달러, 채권형 펀드에는 306억달러가 순유입됐다.
북미 지역에만 자금이 몰리는 현상이 일어나는 건 미국 경기 확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글로벌 투자심리가 얼어붙고 있어서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는 지난 23일 사상 최장 기간 강세장 기록을 깼다”며 “글로벌 증시에서 돋보이는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북미지역으로 투자자 쏠림현상이 반복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2723551
단순히 브라질 채권의 금리 10%만 봤다면 망할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너무 많은 이해관계가 얽혀있기 때문이다.
일단 모든 경제문제는 정치문제와 엮여 있다.
요즘에 미중무역전쟁이다 해서 미국과 중국이 전쟁중이다.
미국이 중국을 엿멕이려고 미국의 주식과 기준금리 이자율을 올리고 있다.
왜냐하면 그래야 미국으로 돈이 몰리니까
이자율을 올려야 미국으로 돈이 몰리고 이정도 가지고 안 되니까 주식까지 올려서 최대한 미국에 투자하면 손해는 안 본다.
그리고 돈을 오히려 번다는 시그널을 국제사회에 주고 있다.
그러니 국제사회가 이것을 인정하면 미국으로 투자하는 것이다.
채권이건 주식이건.
그래서 미국으로 돈이 몰리면 뭐가 좋은가?
중국과 무역전쟁이라고 하지 않았나?
그러니 중국으로 갈 돈이 미국으로 갔다.
그러면 중국은 뭐가 모자르는가?
결제통화인 미국통화 달러가 모자른다.
달러가 모자르면 석유를 사올 수가 없다.
중국은 제조업 천국이니 석유를 못 사오면 정전되고 망한다.
그러니 중국에게 미국이 큰소리 칠 수 있는 발판이 만들어지는 것이 세계에서 모든 달러가 미국으로 몰리면이다.
그래야 중국이 미국에게 달러 받으려면 미국 말 잘 듣지 않는가?
중국이 달러를 찍어 낼 수도 없는 노릇이고 말이다.
그래서 중국에 관세를 때려도 중국이 그 관세를 다 뒤집어 쓰고 중국에 금융시장 개방하라고 하는 민감한 문제도 다 들어줄 수밖에 없지 않는가?
그러니 오늘부터 중국이 경기부양정책을 써서 중국증시를 올리려 하고 있다.
우리나라로치면 국민연금 같은 것을 동원한다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증시 부양하면 어떻게 되나?
중국이 노리는 것은 달러화다.
중국이 달러화를 끌어 들이려면 외국인 자금이 들어와야 한다.
사실 미국에 수출하지 않고 달러화를 끌어 당길 수 있는 방법은 세계에 흩어져 있는 달러화를 모으는 방법이 있다.
유럽이나 일본, 한국 등에 달러화가 있을텐데 이런 달러화를 끌어 들이면 미국의 달러가 필요 없어도 된다.
그러니 증시를 올려서 외국인 자금이 몰리면 달러화 숨통을 틔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 중국이 증시를 올리려고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돈이 어떻게 될까?
돈이 무한정 있지도 않으니 돈이 몰리는 곳은 현재 미국으로 강력하고 몰리고 있고 다음으로 중국으로도 몰려고 하고 있으나 중국이 성공할지는 두고 봐야 한다.
그래서 미국도 중국을 압박해서 시장개방하는 시기를 3년에서 5년으로 보고 있다.
그러면 미국도 중국도 서로 주식시장이나 채권의 이자율 올리면서 자기네 시장으로 들어오라고 할 것 이다.
그러니 이처럼 쉬운게임이 어디있나?
미국에만 들어가면 된다.
중국은 그정도 돈이 없고 미국이 조그만 말 한마디에도 그럼 그렇지 그러면서 해외자금은 다시 미국으로 몰릴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해외에 흩어져 있는 자금은 주로 어디에 있을 것인가?
주로 채권시장과 주식시장에 있다.
채권시장이 주식시장보다 2배는 크다.
그러니 신흥국 채권시장에서 돈 빼서 미국주식시장이나 채권시장에다 박을 것 아닌가?
그러면 신흥국 채권을 팔면 어떻게 되나?
브라질 채권 팔아서 달러로 바꾸니 브라질이란 나라는 헤알화 받고 달러화 내줘야 한다.
물론 채권뿐 아니라 주식도 팔 것이다.
이것은 브라질만의 얘기가 아니다.
인도, 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등과 같은 나라들 신흥국 전부의 얘기다.
그러니 여기가 주식시장이 좋을리가 있는가?
다들 돈 빼서 미국 투자하깅 바쁜데?
그러니 얘네들도 같이 달러가 빠져 나가니 달러가 모자르게 된다.
그러니 헤알화 환율이 떨어지는 것이다.
미중무역전쟁이 일어나고 이런 일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이 된다면 애초부터 투자를 하지 않았겠지.
그렇다면 주식과 채권중에 어느것이 안전한가?
주식이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위험 상황을 재빨리 알아챌 수 있으니까 말이다.
알아 채는 것은 주가가 떨어지면 안 좋은 것이다.
주가가 떨어지는 것이 사람들은 저평가의 매력이라고 보는데 잘못된 생각이다.
왜냐하면 이런 시나리오를 아는 투자자들이 이미 돈을 빼서 미국으로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주가가 떨어지면 안 좋은 것 아닌가?
투자자가 가장 돈도 많고 머리도 똑똑하고 이쪽에 빠꼼히 애들인데? 그런데 안 좋은데 안 빼고 좋은데 안 넣을리가 있는가?
아주 상식적인것이다.
그래서 존버는 안 좋은 것이다.
그런데 주가가 떨어지면 바로 팔면 된다.
그리고 올라가는데 베팅하면 된다.
그러니 주가는 빨리 대응이 가능하다.
그러나 채권은 이렇게 대응하는 것이 실시간으로 가능하지 않다.
그러니 공부하자.
공부하다 안 되면 강의라도 듣자.
그래야 내 돈을 지키고 내 돈이 앞으로 어떻게 가야할지 알 수 있다.
대신에 판단은 자신이 하는 것이다.
강의가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
투자는 언제 어떻게 해야하는지 말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