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美 이어 호주·인도·영국…세계 중앙은행들 잇따라 '긴

美 이어 호주·인도·영국…세계 중앙은행들 잇따라 '긴축 카드' 포기


호주, 기준금리 1.5%로 동결
 부동산 폭락·무역전쟁 영향

 지난해 금리 두 단계 올린 인도
 불과 6개월 만에 다시 인하

 영국, 기준금리 0.75% 유지
 브렉시트 탓…인상계획 철회


 미국 중앙은행(Fed)이 지난달 30일 기준금리 인상을 사실상 중단하겠다는 뜻을 밝힌 뒤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잇따라 통화정책 완화에 나서고 있다. 2015년 말 Fed의 금리 인상을 신호로 확장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여겨졌던 세계 경기에 대한  불안감이 다시 확산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의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는 데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이 어떻게 마무리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어서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통화정책을 완화하려는 각국 중앙은행의 움직임과 관련해 “Fed의 우려를 거울처럼  반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 중앙은행(RBI)은 지난 7일 시장 예상을 깨고 기준금리를 연 6.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인도는 작년 6월과 8월에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다며 금리를 0.25%씩 두 차례 올렸다.

하지만  6개월 만에 방향을 바꿨다.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RBI는 “세계 수요 증가세가 둔화하는 가운데 무역분쟁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성장 속도를 늦출 것”이라고 평가했다. 식료품 등에서 물가상승 압력이 우려했던 만큼 강하지  않은 점도 금리정책을 전환한 이유로 꼽히고 있다.


호주 중앙은행(RBA)은 8일 통화정책 결정회의 후 발표한 보고서에서 2018회계연도(작년 7월~올해 6월)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25%에서 2.5%로 뚝 떨어뜨렸다. 기준금리는 2016년 8월 이후 유지해온 연 1.5%를 유지했지만 다음 회의에선 인하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필립 로위 RBA 총재는 “세계 경제 리스크가 커졌고 호주 주택시장 경기가 가라앉는 등 여러 위험이 누적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리 인하와 인상 가능성이 엇비슷한 수준”이라고 했다. 벤 어디 캐피털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경제 둔화로 호주 중앙은행이  갈수록 더 비둘기적(통화완화적)으로 바뀔 것”이라며 “내년 말까지 기준금리를 연 1.0%로 떨어뜨릴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영국은행(BOE)도  7일 금리를 동결(연 0.75%)했다. BOE는 작년 말까지만 해도 긴축을 지속해야 한다는 기조였다. 하지만 이날 통화정책 회의 후 마크 카니 BOE 총재는 브렉시트 불확실성을 거론하며 금리 인상 카드를 폐기했음을 시사했다.

태국,  필리핀, 브라질, 멕시코 중앙은행도 각각 이달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한 뒤 물가상승 위험은 줄어들고 경기 부양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사벨 마테오스 이라고 블랙록투자자문 전략가는 작년 4분기에 미·중 무역분쟁이 터졌고 이후  시장이 크게 흔들린 점을 들어 “브레이크(긴축정책)에서 발을 떼는 중앙은행들의 행동에 일리가 있다”고 말했다.


스티븐 킹 HSBC 고문은 중앙은행들이 긴축을 밀어붙이지 못하는 배경에 부채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부분의 국가가 금융위기  이후 부채비율을 떨어뜨리지 못했다”며 “부채가 위기와 관련돼 있다면 세계 경제는 매우 취약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영국에서는 1884년 필 은행법이라는 것을 제정한다.


이유는 무엇일까?


영국은 나폴레옹과의 전쟁에서 금태환을 중지시키는 조치를 했다.


금태환이란 영국의 중앙은행이 마구 파운드화를 발행하는 것이 아니고 금을 쟁여놓은만큼만 발행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전쟁 났는데 돈이 많이 필요한데 금을 어디서 꿔 올수도 없으니 그냥 금 없이도 돈을 발행하는 조치를 바로 금태환 중지라고 얘기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쟁이 끝난 후에 봤더니 영국의 파운드화 가치가 떨어졌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파운드화를 많이 발행해 인플레이션이 일어났고 그로인해 물가가 올라 서민들이 고통 받았다는 것이다.


그러니 앞으로는 금이 있는 만큼만 파운드화를 발행하자고 하는 것이 바로 필 은행법이다.




그런데 이것을 시행하자 문제가 생겼다.


왜냐하면 영국이 수출을 잘 해서 면직물 등을 팔아 금을 영국으로 잘 가져올 때는 관계가 없다.


그런데 만약 영국이 수출이 잘 안 되었을 때는 면직물을 팔지 못하니 금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영국이 수출이 안 되 경기가 안 좋아지면 대출을 거둬 들이고 그로인해 경기가 안 좋아져 금융공황이 일어나더라 이것이다.


아무리 흑자기업이라도 흑자 도산하는 사태가 일어났다.


게다가 은행도 연쇄도산하게 되었고 사람들은 은행이 도산하자 뱅크런이 일어났다.




뱅크런(영어: Bank run)은 은행이 기업에 대출해 준 돈을 돌려받지 못한다거나, 주식 등의 투자 행위에서 손실을 입어 부실해지는 경우, 은행에 돈을 맡겨 두었던 예금주들이 한꺼번에 돈을 찾아가는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를 의미한다.




이것이 매 10년 마다 3회 연속으로 일어나게 되어 이 법이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금융공황이 일어났을 때 그렇다면 어떻게 위기를 극복했을까?


바로 영국의 영란은행장이 필 은행법을 중단하고 무제한 파운드화를 풀겠다.


대신 금리를 올리겠다.


이렇게 말하자 뱅크런도 멈추고 기업도 살아나고 은행도 도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자 이것의 모순을 지적한 사람이 나타났는데 그 사람이 바로 배지엇이다.


중앙은행이 만약 금융공황이 일어날 것 같으면 금융시장의 은행의 연쇄도산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영란은행이 충분히 대출을 늘리되 금융기관의 대출에는 고금리를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 




지금 이러한 사태는 바로 작년 Fed에서 양적완화 축소와 함께 금리를 올리는 조치를 취했고 바로 주식시장이 반응한 결과였다.


때문에 주식시장은 폭락했고 10년물 국채금리는 3.2%를 찍다가 지금 2.6%까지 내려왔다.


긴축의 결과이다.




지금은 Fed가 올해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며 양적완화 축소를 멈출 것이라는 메세지를 보냈다.


바로 배지엇이 말한 그대로인데 고금리는 아니고 금리를 올리지 않겠다는 혹은 금리를 내리겠다는(이 말은 옐런 전의장이 했다.) 말까지 하고 현재 주가가 반등하고 잇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각국 중앙은행은 현재 아직은 세계경제상황이 취약하니 양적완화 축소 금지, 금리 인하 카드까지 빼 낸 상황이다.




그래서 상황이 얼마나 안 좋으면 각국 중앙은행장들이 이렇게 얘기를 할까? 보다는 오히려 긍정적 신호로 받아 들이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즉 영란은행장이 더 이상 필 은행법을 중단한 행위와 같다는 것이다.




사실 2008년도 금융위기는 2009년도 9월 정도부터 바닥을 찍고 반등하기 시작하는데 그 때 Fed 의장 벤버냉키가 바로 이러한 양적완화 제로금리를 취했기 때문이다.




그러니 오히려 시장상황보다는 Fed의장의 말을 더 주목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래서 Fed 의장의 말 한 마디 한 마디를 분석하는 사람도 있지 않은가?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저출산은 왜 심각한 문제일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