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트럼프 '관세 울타리' 1년…녹슬던 美 철강사 용광로

트럼프 '관세 울타리' 1년…녹슬던 美 철강사 용광로 펄펄 끓는다


관세 폭탄에 수입품 사라지자
 문 닫았던 공장 속속 재가동
US스틸 순이익 1년새 3배

 전기로 증설 내년 하반기 가동
 수입 의존하던 송유관 생산
 포드·월풀 등은 원가 올라 '비명'


US스틸 등 미국 철강 기업들이 설비 투자를 늘리고 있다. 수입 철강에 대한 25% 관세 부과 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주의 정책에 힘입어 이익이 증가한 미 철강 회사들이 중장기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첨단 설비 확보에 나서는 모습이다.  한국 철강업계가 주로 수출하던 송유관 등을 미국산으로 대체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US스틸은 11일(현지시간) 앨라배마 전기로 공장의 생산능력을 160만t 늘릴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여기엔  2억1500만달러(약 2416억원)가 투입되며 내년 하반기 완공된다. 이 전기로에선 한국 철강업계가 주로 수출해온 송유관, 유정용 강관 등의 재료를 생산한다.  



US스틸은  2015년 3월 전기로 공사에 착공했다가 유가가 폭락하자 그해 말 공사를 중단했다. 데이비드 버릿 최고경영자(CEO)는  “전기로가 완공되면 강관 제조원가를 낮춰 중장기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며 “이런 투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행동과 나아진  시장 환경 덕분”이라고 말했다.




US스틸은 작년 3월 트럼프 행정부가 외국산 철강에 대한 고율 관세를 부과한 뒤 세인트루이스 제련소의 연산 280만t 규모 용광로를  재가동했다. 또 지난 4일 텍사스 공장의 연산 40만t급 용광로도 다시 가동한다고 발표했다. 2016년 가동을 멈춘 설비다.

트럼프 정부는 지난해 3월 일본, 중국 등의 철강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6월엔 대상을 유럽과 멕시코, 캐나다로 확대했다.  덕분에 미 철강업계 실적은 대폭 개선됐다. 값싼 수입 철강이 사라지자 미국 내 철강값이 급등해서다. 작년 초 t당 600달러대이던 열연코일값은 가을께 t당 1000달러까지 올랐다.

덕분에  US스틸은 2018년 11억1500만달러의 순이익을 냈다. 2017년(3억8700만달러)에 비해 세 배가량 늘었다. 뉴코,  스틸다이내믹스 등 다른 철강회사들도 마찬가지다. 존 펠리오라 뉴코 CEO는 “2018년은 어떤 면으로 봐도 최고의 한 해였다”고  말했다.




실적 호전에 투자도 급증하고 있다. US스틸은 2017년 5억50만달러를 투자했지만 지난해 10억100만달러로 늘렸고 올해는  11억2000만달러를 투입한다. 뉴코, 스틸다이내믹스 등도 앞으로 3년 동안 미국에서 1000만t 이상의 제강 능력을 추가하겠다고 발표했다.

수십 년간 별다른 투자를 못한 미국 철강  업체들은 첨단 설비를 도입해 비용 절감 등 체질을 개선할 계획이다. 최근 완공된 오스트리아의 푀스트알피네 철강공장에선 1960년대  1000여 명이 생산하던 강선 50만t을 현재 14명이 만들고 있다.

부작용도 있다. 철강재 수요가 많은 포드자동차는 지난해 철강 가격 상승으로 원자재값만 11억달러를 추가로 지출했다. 거기에 관세 비용도  7억5000만달러를 냈다. 캐터필러는 지난해 원자재 부담이 1억달러 더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월풀도 철강과 알루미늄 가격 상승으로 인한 부담이 지난해 3억달러 증가했다.




미국 내 철강 가격은 작년 가을 이후 내려가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이 불거진 데다 증산 투자로 철강 공급량이 늘어나고  있어서다. 알렉산더 해킹 씨티그룹 애널리스트는 “철강 수요가 약해질 가능성이 있는데 업체들이 증산을 계획하고 있어 공급 과잉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21222231







美, 한국산 송유관에 또 '관세폭탄'…"이젠 정부가 나서야 할 때"




박효정 넥스틸 사장의 호소

"이대로라면 美 수출길 막혀…법리적 대응만으론 한계 직면"




“이대로라면 사실상 미국 수출길은 막히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박효정 넥스틸 사장(사진)은 12일 “미국은 철강 쿼터(수출 물량 제한)도 모자라 고율의 관세까지 부과하려 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넥스틸은 유정용 강관(OCGT)과 송유관 등 강관류를 생산하는 매출 5000억원대의 중견 철강업체다.  그동안 생산량의 70~80%를 미국에 수출해왔으며 대미 OCGT 수출 실적은 국내 1위다.




박 사장은 “산업통상자원부뿐만 아니라 청와대가 직접 나서 정치·외교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그동안 넥스틸을  비롯한 국내 철강업체들은 미국 상무부의 고율 관세 부과와 관련해 미국 국제무역법원(CIT)에 소송을 내는 등 개별적으로  대응해왔는데 이마저도 한계에 다다랐다는 얘기다.








미 상무부는 지난 7일 한국산 송유관 반덤핑 관세 연례재심(2016~2017년)의 예비판정 결과를 공개했다. 관세율은  넥스틸 59.09%, 세아제강 26.47%, 현대제철 등 기타업체 41.53%다. 이전(2015~2016년) 연례재심에선 세아제강  14.39%, 현대제철 18.77%, 넥스틸 등 기타업체 16.58%였다. 넥스틸의 관세율이 3.5배 이상으로 높아졌다.

박 사장은 미 상무부의 이번 판정이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상무부는 생산국(한국)과 수출국(미국)의 제품 가격 차이, 송유관 원료인  열연의 출처 비율, 생산국(한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 여부 등을 고려해 매년 연례재심을 거쳐 관세율을 재산정한다. 박 사장은  “한국 정부에서 보조금을 받는 포스코로부터 열연을 공급받아 송유관을 생산했다는 게 상무부의 논리”라며 “하지만 포스코는 정부  보조를 받지 않을뿐더러 100% 한국산 원료를 썼다는 이유로 ‘관세 폭탄’을 부과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오는  7월 최종판정이 예정돼 있지만 상무부가 관세율을 다시 낮출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그는 전망했다. 지난달 미 CIT가 송유관과  유사 제품으로 분류되는 OCGT에 고율의 관세를 매긴 것은 부당하다고 판정했는데도 상무부가 또다시 높은 관세를 부과했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가 기존 보호무역주의를 그대로 고수하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드러낸 것이라고 박 사장은 설명했다.




그는 “올해 대미 수출량은 가장 수출이 많았던 2014년(55만4000t)의 절반 정도에 불과할 것”이라며 “이대로 59%에 달하는 관세율을 적용받으면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21222121







美 의회, 장벽 건설예산 잠정 합의…트럼프 지지율 52% '2년 만에 최고'







< 트럼프 지지자들 “장벽 건설하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멕시코 국경 지대인 텍사스주 엘패소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연설에서  “장벽이 세워지면 엘패소는 미국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가 된다”며 국경 장벽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미국 공화당과 민주당은 이날  국경 장벽 예산 13억7500만달러에 잠정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한 57억달러엔 크게 못 미치는 금액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에서 “어쨌든 우리는 벽을 쌓을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이 ‘장벽을 완공하라(finish the  wall)’ ‘장벽을 건설하라(build the wall)’ 등의 손팻말을 들고 있다. /AFP연합뉴스 





미국 의회가 연방정부의 두 번째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을 막기 위한 협상에서 잠정 합의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 합의에 동의할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2년 만에 최고를 기록하며 급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P에 따르면 미 의회는 역대 최장기간 연방정부 셧다운을 초래한 멕시코 국경장벽 건설예산에 대한 원칙적 합의에 이르렀다. 합의안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한 57억달러의 국경장벽 건설 비용 중 13억7500만달러만 반영됐다. 이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합의  예산안을 거부해 연방정부 셧다운이 재개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저녁 국경지역인 텍사스주 엘패소를 방문해 불법 이민자 유입을 막기 위한 국경장벽 필요성을 연설했다. 그는  “셧다운이 없었더라면 바깥 세계와 정치인들은 미국 국경에서 어떤 일들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관심 갖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론조사회사 라스무센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52%로, 취임 직후였던 2017년 3월 이후 가장 높게 나왔다고 발표했다. 투표 의사가 있는 5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조사(표본오차 ±2.5%포인트)한 결과다.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7%였다.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지난달 14일 발표된 조사에선 지난 1년 새 최저인 43%에 머물렀다. 하지만 지난 5일 진행된 신년 국정연설을 계기로 지지율이 반등세를 타고 있다. 의회 전문매체 더힐은 자체 조사 결과를 인용해 국정연설 이후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이  3%포인트가량 상승했다고 밝혔다. 야당인 민주당 지지자들의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이 국정연설 이후 많이 높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정연일 기자 

neil@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21222271









현대차 中생산라인 절반 이상 멈췄다





현대자동차의 중국 사업 상황이 심각하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후폭풍으로 몸살을 앓았던 2017년보다 최근이 더 나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는 베이징  공장 직원들을 창저우·충칭 공장으로 전환 배치하고, 지난해 말 인적 쇄신을 통해 위기를 돌파하려고 하지만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현대(베이징현대)·기아(둥펑위에다기아) 모두 중국 업체와 합작 투자로 법인을 설립한 탓에 GM이 군산공장을  폐쇄한 것과 같은 인력·설비 구조조정도 어려운 처지다.




12일 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차의 중국 생산량은 80만6214대로 사드 보복으로 큰 위기에 빠졌던 2017년 82만7941대보다 2만1727대 감소했다.  

현대차의 중국 공장 연간 총 생산능력이 181만대라는 점을 고려해 단순 계산하면, 가동률은 44.5%에 그친다. 2017년 45.7%와 비교해 1.2%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특히 상용차를 생산하는 쓰촨현대(CHMC)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쓰촨현대의 연간 생산능력은 16만대에  이르지만 지난해 총 판매량은 1만2228대에 불과했다. 공장 가동률이 10%대에 머물러 있다고 현지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사드  타격을 입었던 2017년 판매량이 2만8786대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용차 상황 역시 훨씬 더 심각해졌다는 의미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가 중국 내 전략을 수정하고 있지만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기엔 역부족이라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고 말했다. 

중국에 진출한 부품업계 관계자는 "중국과의 관계 때문에 구조조정을 할 수 없다는 것도 큰 문제"라며 "1차  협력사들은 중국 현지 업체의 매출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하지만, 2·3차 협력사들은 그마저도 쉽지 않아 고사 위기에 빠져 있다"고 지적했다. 




현대차는  `빅2` 시장 중 하나인 미국 수출 길에도 복병이 도사리고 있다. 미국 정부가 국가안보를 구실로 수입 자동차에 고율의 관세 부과 결정을 곧 내릴 예정인데, 현대차가 포함되면 연간 30만대 수준인 현대차의 미국 수출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9&no=86547







4개의 신문기사를 가지고 통합해서 현재 어떤 상황인지 보자.




일단 첫 번째 기사는 미국의 철강업체가 좋다는 얘기다.




US스틸 등 미국 철강 기업들이 설비 투자를 늘리고 있다. 수입 철강에 대한 25% 관세 부과 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주의 정책에 힘입어 이익이 증가한 미 철강 회사들이 중장기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첨단 설비 확보에 나서는 모습이다. 한국 철강업계가  주로 수출하던 송유관 등을 미국산으로 대체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한국의 송유관 업체도 대체하려고 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 상무부는 지난 7일 한국산 송유관 반덤핑 관세 연례재심(2016~2017년)의 예비판정 결과를 공개했다. 관세율은 넥스틸  59.09%, 세아제강 26.47%, 현대제철 등 기타업체 41.53%다. 이전(2015~2016년) 연례재심에선 세아제강  14.39%, 현대제철 18.77%, 넥스틸 등 기타업체 16.58%였다. 넥스틸의 관세율이 3.5배 이상으로 높아졌다.

박 사장은 미 상무부의 이번 판정이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상무부는 생산국(한국)과 수출국(미국)의 제품 가격 차이, 송유관 원료인  열연의 출처 비율, 생산국(한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 여부 등을 고려해 매년 연례재심을 거쳐 관세율을 재산정한다. 박 사장은  “한국 정부에서 보조금을 받는 포스코로부터 열연을 공급받아 송유관을 생산했다는 게 상무부의 논리”라며 “하지만 포스코는 정부  보조를 받지 않을뿐더러 100% 한국산 원료를 썼다는 이유로 ‘관세 폭탄’을 부과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미국이 관세 폭탄 때려서 한국의 유정용 강관은 미국으로 들어가지 못한다는 얘기다.


이것은 미국의 철강업계가 좋은 경우다.


그로인해 미국의 철강업계가 반사이익을 보고 있다.




유정용강관은 미국이 이제 셰일가스로 인한 인프라투자를 할 때 핵심이다.


셰일가스가 솔직히 러시아의 가스 파이프라인처럼 그냥 파이프라인으로 옮겼을 때 좋다.


왜냐하면 대규모로 움직이려면 압축하여 액화해서 탱크에 담아야 하는데 그러면 돈이 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냥 가스파이프라인으로 밀어 버리면 그럴필요가 없다.


그러니 향후 미국은 셰일가스로 미국에 난방 및 에너지를 해결하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미국은 국제표준을 만들지도 모른다.


아예 탄소 제로가 아니라 천연가스 정도는 허용하고 석유 등 불완전 연소 되는 액체연료는 금지하는 식으로 말이다.


그러면 중동이 타격을 받는다.




미국은 이 외에도 트럼프의 장벽건설이 합의 되면서 일단 어제 주가가 올랐다.


미국은 장벽 건설도 철강으로 해야 한다.


철강주 사라는 얘기가 아니다.


즉 미국은 내년에 대대적인 인프라 투자 아니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인프라 투자에 나설 수 있다.


그래야 내년 대선에 일자리를 잇빠이 만들 수 있으니 말이다.




부작용도 있다. 철강재 수요가 많은 포드자동차는 지난해 철강 가격 상승으로 원자재값만 11억달러를 추가로 지출했다. 거기에 관세  비용도 7억5000만달러를 냈다. 캐터필러는 지난해 원자재 부담이 1억달러 더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월풀도 철강과 알루미늄 가격  상승으로 인한 부담이 지난해 3억달러 증가했다.




미국 내 철강 가격은 작년 가을 이후 내려가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이 불거진 데다 증산 투자로 철강 공급량이 늘어나고  있어서다. 알렉산더 해킹 씨티그룹 애널리스트는 “철강 수요가 약해질 가능성이 있는데 업체들이 증산을 계획하고 있어 공급 과잉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런데 부작용이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포드 등의 자동차가 원가가 올랐다는 것이다.


캐터필러도 건설기계 만드는데 원가가 올랐다는 것이다.




그러나 걱정할 필요 없다.


업체들이 증산을 하고 있어 조금 있다면 공급과잉을 걱정해야 한다는 기사가 떴다.




즉 이것은 무엇인가?


다른 나라 철강업체는 못 들어오게 하고 오히려 미국 철강만이 이 수요를 독식하고 게다가 조금 있다면 공급과잉으로 원가마저 낮아져 미국의 제조업의 단가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 아닌가?


중국의 철강업체는 당연히 못 들어온다.




현대차는 `빅2` 시장 중 하나인 미국 수출 길에도 복병이 도사리고 있다. 미국 정부가 국가안보를 구실로 수입 자동차에 고율의  관세 부과 결정을 곧 내릴 예정인데, 현대차가 포함되면 연간 30만대 수준인 현대차의 미국 수출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현대차에 관한 기사다.


중국이 내수 개판 났다는 얘기다.


그래서 지금 현대가 죽을 맛인데 지금 미국은 현대차의 수출도 막으려고 하고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 전부 내수 박살 나고 미국만 좋다는 얘기가 된다.


그런데 미국은 자국의 인프라부터 시작해서 제조업까지 엄청 좋다는 얘기다.




美 Fed, 긴축 멈췄는데…달러 가치 '이상 강세'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21222241




미국의 달러가치가 높아지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


금리 올릴 때와 미국이 경기 좋아질 때 아닌가?


그런데 금리를 안 올린다 했다.


그렇다면 달러 가치가 높아질 이유는 미국이 경기가 좋을 때라는 얘기다.


결국 달러가치가 높아진다는 얘기는 미국이 향후 경기가 확장세로 들어간다는 얘기다.




당분간 미국이다.


다만 메뉴얼을 잘 참조하여 -3%가 뜨는지 확인하고 투자하자.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김장섭)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광역 17개 시도 중 11곳 `역전세 위험지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