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파월, 금리 동결 재확인…"물가 2% 넘어도 참겠다"

파월, 금리 동결 재확인…"물가 2% 넘어도 참겠다"


"트럼프, 나 해임할 권한 없어"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사진)이 ‘기준금리 조정을 서두르지 않는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또 인플레이션율이 2%를 조금 웃돌더라도 과잉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10일(현지시간) CBS방송의 ‘60분’ 프로그램에 나와 “우리의 정책금리는 적당한 수준이므로 참을성을 갖겠다”고  말했다. 그는 Fed가 여러 차례 밝힌 ‘참을성’이란 용어에 대해 “금리 정책을 바꾸는 데 전혀 급하지 않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에 유연하게 대응할  것이라는 점도 확인했다. 그는 “2%를 약간 웃도는 물가상승률에 대해 2%를 약간 밑도는 것과 마찬가지로 과잉대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일시적 요인을 빼면 인플레이션은 2% 부근으로 수렴할 수 있기 때문에 양쪽에 똑같이 대칭적 방식으로  대하겠다”고 설명했다. Fed는 현재 2%인 물가 안정 목표를 1.5~2.5% 범위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미국의 경기 전망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경기가 금융위기 이후 성장률이 가장 높았던 지난해보다는 둔화하겠지만 플러스 성장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파월 의장은 지난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이뤄진 금리 동결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따른 것이냐는 질문에 “전혀 아니다”고 일축했다. 그는 “(대통령이 나를) 해임할 권한이 없다고 생각하며 4년 임기는 법에 명시된 것으로 충실히 임하겠다”고 말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3112416i







파월 의장이 




“2%를 약간 웃도는 물가상승률에 대해 2%를 약간 밑도는 것과 마찬가지로 과잉대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 말을 하고 안정적으로 가고 있다.




찰스 P. 킨들버거는 패권 (헤즈몬 Hegemon)이라는 개념을 정의했다.




찰스 푸어 "찰리" 킨들버거는 30권 이상의 저서를 남긴 미국의 경제학자다. 1978년에 펴낸 주식시장 버블에 대한 저서 '광기, 패닉, 붕괴'는 2000년의 닷컴버블 이후 재판됐다. 킨들버거는 패권안정론으로 잘 알려져있다.




킨들버거는 패권 안정이론을 제시했다.


패권 안정이론은 패권국이 어떻게 해야 자유시장경제가 잘 작동할 것인지를 역할을 제시한 것이다.




첫째 : WTO와 같은 자유무역기구를 만든다.


둘째 : 기축통화를 발행한다.


세째 : 패권국이 스스로 세계의 수출을 받아줄 수 있는 수입시장을 제공한다.


네째 : 금융위기 발생시 최종 대부자가 된다.




그런데 미국이 오히려 금융위기를 막아야 하는데 미국이 금융위기를 주기적으로 일으키고 있다.


그렇다면 금융위기를 일으키는 주범은 누구인가?




바로 금융엘리트집단이다.




그렇다면 이들이 금융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


갚을 수 없을 정도의 빚이 세상에 깔려 있어야 한다.


그러니 거품을 만들려면 미국 연준이 오랫동안 낮은 이자율을 유지하면 된다.


반대로 거품을 꺼트리는 방법은 높은 이자율로 올리면 된다.




연준이 일으키는 부채는 양적완화 또는 낮은 이자율을 통한 인위적인 부채다.


부채는 중앙은행, 국제은행, 신용평가사, 정부가 합작한다.




그렇다면 낮은 이자율을 통한 버블은 어디서 만들어지는가?




주택시장과 자동차 시장이다.


이 두 시장은 낮은 이자율이 장기간 지속되면 버블이 만들어지기 딱 좋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자기돈으로만 사기 힘든 상품이라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대출을 끼고 살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대출들의 특성상 이자율이 올라가면 대출을 갚을 수 없는 계층이 바로 파산할 수밖에 없고 주택과 자동차 판매에서 버블의 붕괴가 일어난다.




그래서 미국의 주택 판매량과 자동차 판매량이 중요하다.




요즘 GM에서 감원계획을 발표 했다.




대규모 구조조정 나선 GM, 4일부터 4천명 이상 해고


이는 지난해 11월 GM이 발표한 대규모 구조조정 작업의 일환이다. 당시 GM은 북미 5곳과 해외 2곳 등 모두 7곳의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북미에서 1만여 명의 인력을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car/880970.html#csidx65d9a0e02f8e395abb42a8e8264cf3d 


이는 지난해 11월 GM이 발표한 대규모 구조조정 작업의 일환이다. 당시 GM은 북미 5곳과 해외 2곳 등 모두 7곳의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북미에서 1만여 명의 인력을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car/880970.html#csidx65d9a0e02f8e395abb42a8e8264cf3d 


이는 지난해 11월 GM이 발표한 대규모 구조조정 작업의 일환이다. 당시 GM은 북미 5곳과 해외 2곳 등 모두 7곳의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북미에서 1만여 명의 인력을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car/880970.html#csidxcee4ee0e32e066f99f6317aae875882 


이는 지난해 11월 GM이 발표한 대규모 구조조정 작업의 일환이다. 당시 GM은 북미 5곳과 해외 2곳 등 모두 7곳의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북미에서 1만여 명의 인력을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car/880970.html#csidxcee4ee0e32e066f99f6317aae875882 


이는 지난해 11월 GM이 발표한 대규모 구조조정 작업의 일환이다. 당시 GM은 북미 5곳과 해외 2곳 등 모두 7곳의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북미에서 1만여 명의 인력을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car/880970.html#csidxdeee6f822a9305882516a73bd27aea9 




감원은 이자율을 올리면 현금흐름이 좋지 않은 GM과 같은 곳이 감원을 할 수밖에 없다.


지금 GM뿐 아니라 포드도 같이 감원에 들어가고 있다.


포드·재규어 1만명 감원… 글로벌 기업 무서운 구조조정

포드는 유럽에서 직원 5만3000명을 고용하고 있는데, '디젤 게이트'로 최근 2년 사이 차량 판매 감소 등으로 영업이익률이  마이너스로 추락했다. 스티븐 암스트롱 포드 유럽 담당 사장은 "우리는 모든 옵션(option)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혀 단순히  인력 감축에 끝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재규어랜드로버는 이날 영국을 중심으로 직원 4500명을 줄이기로 했다. 지난해 세계에서  59만2708대를 팔아 전년보다 판매 실적이 4.6% 감소한 탓이다. 특히 중국 시장 판매량은 21.6% 줄었다. 독일의  폴크스바겐은 전기차 생산에 대응하기 위해 향후 수년간 종업원 7000여 명을 줄이는 계획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2/2019011200063.html


즉 연준이 지속적으로 금리를 올리면 채권시장 붕괴와 자동차 시장, 주택시장 붕괴로 이어진다.


그러니 연준의 금리 인상신호는 정말 위험한 신호다.


그래서 지금 트럼프가 연준이 금리를 올리지 못하도록 하고 내년 대선 이후로 금리를 지속적으로 동결하거나 낮추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과의 합의가 끝나면 아마도 연준의 파월에 압력을 가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렇다면 연준을 비롯한 투자은행 등은 왜 금리인상으로 시장을 붕괴로 내모는가?

주식시장의 붕괴로 천문학적인 이득을 취하려는 것이다.


언제 금융위기가 올지 모른다.

그러나 온다 하더라도 신호는 반드시 온다.

그것은 나스닥 일간지수 -3% 이다.

우리같은 개미들은 그래서 항상 나스닥 일간지수 -3%를 지켜보고 그에 맞게 대응해야 할 것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美 석유 수출 5년 후 2배…'오일 패권' 지각변동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